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POSTECH-에이비엘바이오, 4-1BB 이중항체가 종양 성장 막는다 [4-1BB 이중항체 연구결과, SCI급 학술지 ‘Science Advances’ 등재]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유기훈씨, 에이비엘바이오 공동연구팀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를 도입한 4-1BB 이중항체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내에서만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 2021-01-20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POSTECH 연구팀, 표면 오염 및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코팅 기술 개발 [광학용 센서를 위한 초발수성 김 서림 방지 코팅 기술 개발]최근 미래 자동차가 큰 관심을 받으면서, 자율주행차 또한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을 위해선 전방 사물 인식 센서인 ‘라이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가 자동차의 눈 역할로써 매우 중요하다. 라이다 LiDAR는 주행 경로뿐만 아니라 전방에 위치 2020-07-29535 화학 이인수 교수팀, 생체 내 화학반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나노촉매” 개발 [자기장 유도 발열 ‘속 빈 나노반응기’ 개발]우리 몸속의 다양한 생체반응에서 촉매반응을 담당하는 효소들은, 특정 분자에 한정된 반응이나 낮은 안정성 등 약점 때문에 다양한 진단 및 치료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소의 특성을 보완하거나 생체 내에서 효소와 만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인공촉매를 이용한다면, 질병을 2020-07-28695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미지의 신소재’ 합성하는 비밀 밝히다 [원자구조 이미징을 통해 물질 합성의 근원 밝혀]반도체나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재를 먼저 찾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를 관찰해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소재 이미징’을 통해서 신소재가 발굴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소재 이미징 기술을 통해 품질이 뛰어난 신소재 합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혔다.신소재공학과 최시영 2020-07-271,065 기계 이상준 교수팀, 딥러닝 이용해 ‘2D를 3D홀로그램으로’ 간단하게 변환한다 - 백색광을 사용한 딥러닝 기반 홀로그래피 기법 개발- 현미경에 값비싼 장비 추가 없이 2D 광학영상을 3D 홀로그램으로 본다기존의 광학현미경(bright—field microscopy) 기법에서는 염색 과정을 포함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잘 보이지 않는 세포들을 관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오염되어 생물리학적 특성이 변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2020-07-23423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암 ‘표적 단백질’만 노리는 ‘암살자’ 분해제 - N-데그론 경로 이용해 단백질 분해제 개발- 세포 종류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백질 분해...다양한 암 발생 및 전이 방지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는 날아가면서도 표적을 이리저리 끝까지 추적해 표적을 정확히 명중시킨다고 해서 마법의 탄환이라 불리는 ‘스마트 탄환’을 만들었다. 이 탄환은 표적이 이동하거나, 모래바람이 불어도 추적을 멈추지 않는다. 우리 몸에 2020-07-22570 화학 김기문 교수팀, 분자 끈끈이 원리를 이용한 고순도 고효율 항바이러스, 항암 단백질 의약품 정제 기술 개발 [바이러스 잡는 ‘분자 끈끈이’]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 추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백신 개발만이 코로나19 종식의 근원적 해결책으로 꼽힌다. 하지만 어렵게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잘 정제된 의약품으로 제조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새로운 전염병에 대처할 수 2020-07-21341 화공 차형준 교수팀, 거저리 유충, ‘환경 골칫덩이’ 플라스틱 먹어치운다 [산맴돌이거저리 유충 이용한 폴리스타이렌 생분해 확인]북태평양에는 한반도의 7배의 크기에 달하는 거대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고 불리는 이 쓰레기섬은 1초마다 2만 개가 소비되는 플라스틱이 매년 1300만 톤씩 바다로 유입되며 생겨난 것이다.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썩어 2020-07-15872 화공 한정우 교수팀, ‘헤어지면’ 효율 올라가는 연료전지 [POSTECH-KAIST-GIST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엑솔루션 현상 제어]삼성전자가ᅠ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ᅠ일환으로ᅠ지원한ᅠ엑솔루션ᅠ연구가ᅠ결실을 맺었다. 엑솔루션*1 기술은 산화, 환원에 따라 금속산화물의 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현상은 특별한 공정과정 없이 환원 분위기에서 자발적으로 고성능·고안정성의 나노촉 2020-07-14593 창의IT 정성준 교수팀, 잉크젯 프린팅으로 ‘방광암’ 만들다 [잉크젯 세포프린팅을 이용해 방광암 이질성 분석]3D 바이오프린팅은 3D 프린팅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기술로서,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쌓아 올려 생체조직이나 인공장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극복하고,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2020-07-13374 물리 이길호 교수팀, 예측만 무성한 미스테리 속 ‘물질’, 실제로 존재했다 [韓‧美‧獨‧香 공동연구팀, 고차원 위상부도체 실존 여부 최초로 관측]‘겉과 속이 다른 물질’로도 불리는 위상부도체(topological insulator)는 고체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물질이다. 위상부도체는 원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위상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전도성을 갖는다. 이 독특한 성질 때문에 양자 컴퓨터 등 미래 과학 분야의 2020-07-09643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