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POSTECH-에이비엘바이오, 4-1BB 이중항체가 종양 성장 막는다 [4-1BB 이중항체 연구결과, SCI급 학술지 ‘Science Advances’ 등재]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유기훈씨, 에이비엘바이오 공동연구팀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를 도입한 4-1BB 이중항체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내에서만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 2021-01-20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기계 김기현 교수팀, 우연한 발견,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 [ASCRS에서 ‘Best of Best’ 선정]뢴트겐은 캄캄한 실험실 안에서 음극선 실험을 하다 우연히 아내의 손을 찍었는데 검판에는 반지를 낀 아내의 손가락뼈가 보였다. 최초의 X선 발견은 이렇게 우연한 계기로 이뤄졌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 김성한, 이중빈 씨 2020-06-10546 기계 김동성 교수팀, 나노다공성 막, 원하는 형태로 미세 장치에 손쉽게 제작한다 - ‘3차원 나노 유체역학 장치’ 실현-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 분야에 고효율·대용량 장치 개발 가능성 제시POSTECH 연구팀이 미세유체 장치에 원하는 형상과 두께의 나노다공성 막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의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적용되는 나노 유체역학 장치의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상업 2020-06-08571 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더 강하고 더 다루기 쉬운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단상 균질구조에서 벗어난 다상 헤테로구조 합금 개발]더 강하면서 잘 늘어나는 합금을 향한 산업현장의 끝없는 고민에 답이 될 수 있을까. 합금계의 이단아, 고엔트로피 합금을 만드는 새로운 설계방식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팀이 고강도·고연성·고가공성의 고엔트로피 합금을 개발했다.고엔트로피 합금은 주된 금속에 보조원소를 더하는 2020-06-02664 POSTECH-연세대 공동연구팀, 태양광을 활용한 과산화수소 생산용 고효율·고내구성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 태양광을 이용, 물과 산소에서 동시에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세계적인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3.250) 표지논문으로 선정POSTECH과 연세대학교가 개방·공유 Campus 협력 사업을 통한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친환경적인 과산화수소(H₂O₂) 생산용 고효율·고안전성 광전기화학전 2020-06-02901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오는 날 스스로 밝아지는 ‘스마트 윈도’ 구현한다 -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자가발전 가능한 색변화 습도센서개발- 스마트 윈도우, 헬스 케어, 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햇빛의 강도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의 색이 변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는 여름철 가시광선 투과를 차단하여 냉방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장마철이나 한여름 바깥 2020-05-27557 환경 민승기 교수팀, 화산 폭발이 전 지구 강수량 줄인다 - 화산 폭발 후 강수 감소 메커니즘 밝혀- 화산이 유발한 엘니뇨가 강수 감소 심화시켜…화산 모방한 지구공학기법 안정성 담보 못해지구의 온도가 1℃ 상승하는 것만으로도 해수면이 높아지고, 북극의 얼음이 녹고, 때아닌 폭염과 강한 호우가 찾아오는 등 지구 곳곳에서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인위적인 기후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태 2020-05-25516 기계 김동성 교수팀, 증식과 분화 촉진하는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공장’ 줄기세포(Stem Cell)는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뿌리가 되는 어린 세포를 말한다. 죽지 않고 끝없이 반복해 분열하면서 혈구와 피부 등을 만들고, 상처가 나면 스스로 치료한다. 골수, 혈액, 피부, 지방, 간, 신경 등에 주로 존재한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신체 내 어떤 조직으로든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된 장기에 인위적으로 줄기세포를 2020-05-22638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 1/100 가격, 1/10000 두께 ‘VR·AR 장치’ 나온다 -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新나노성형소재 및 원스텝 프린팅 기술 개발- 저비용·대면적·초박막 제작기술로 메타물질 상용화 가능성 열어바로 눈앞에 좀비나 적들과 마주한 장면, 아찔한 절벽 위에 선 듯한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은 이제 게임이나 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전유물이 아니다. 가상공간에서 가상회의와 PPT,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공 2020-05-14897 화학 이인수 교수팀, 태양광으로 물질 만드는 ‘세포’ 닮은 촉매 나왔다 [플라즈몬 이중층 구조 나노카탈로좀 개발]45억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태양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존재다. 최근에는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법으로 태양이 보내오는 빛, 즉 태양광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태양광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척 다양한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2020-05-13627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의 반란’ 식물이 숨을 안 쉬면, 북극이 녹는다 [POSTECH-취리히대학 공동연구팀, 식생의 생리학적 작용에 의한 북극 온난화 규명]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증기는 더운 날 마당에 물을 뿌리는 것과 같이 지면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지구 기온 상승은 온실효과가 원인으로 지적돼왔지만,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서 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분량이 감소해 북극의 온도가 올라간다는 흥미로운 연구 2020-05-12485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