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친환경소재 박수진 교수팀, 불타지 않는 배터리, 수계 리튬이온배터리의 한계를 넘다 [POSTECH·서울대, 전해질 설계 및 계면 최적화로 고전압과 장기 수명 동시 구현] 전기차는 친환경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지만,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런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물을 가두어’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한 배터리의 내구성과 고전압 구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2025-02-1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그린 수소 위한 음이온 교환막 기술 찾았다 [POSTECH · 한국재료연구원, AEMWE 장기 내구성 높일 새로운 전략 제시] 그린 수소(green hydrogen)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거의 없어 가장 친환경적인 수소다. 주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하여 물로 수소를 만드는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 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이 그린 수소를 얻는 수전해 2024-07-01767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식품 당도 측정, 딥러닝으로 더 간편하게 [POSTECH · 대구대 연구팀, 혁신적인 마이크로웨이브 당도 측정 센서 개발] 최근, 통화 중에 실시간으로 음성을 번역해주는 휴대폰 기능이 화제가 됐다. 이 기술은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기계를 학습하는 딥러닝(deep learning)의 결과다. AI는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뿌리를 내렸으며,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도 AI를 활용하여 큰 성과를 내고 있다 2024-07-01408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 교수팀, 루푸스 발병 메커니즘, 드디어 밝혀냈다 [이윤태 교수팀,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조절 표적 단백질 규명] 최근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 · 통합과정 박지호 씨 연구팀은 특정 단백질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이하 SLE)의 발병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PNAS(Proceedings of the Nat 2024-07-01409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초전도체 양자속박상태 새로운 조절법 찾았다 [POSTECH·日NIMS, 이중층 그래핀 기반 초전도 소자의 양자 특성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 발견]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 · 조길영 교수 연구팀은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켄지 와타나베(Kenji Watanabe) 박사 · 타카시 타니구치(Takashi Taniguchi)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중층 그래핀 기반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An 2024-06-26475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 김형섭 교수팀, 인공지능과 함께 여는 금속 연구의 미래 [POSTECH ·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연방대, 금속 항복강도 예측 AI 기술 개발] 최근 친환경소재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 통합과정 이정아 씨 연구팀은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연방대(Federal University of Minas Gerais) 금속재료공학과 피게이레두(Figueiredo)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기존의 비용과 시간 제 2024-06-25389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사소한 변화가 만든 소재 연구의 혁신 [이대수 · 최시영 교수팀, 원자 수준 제어로 차세대 고효율 메모리 소재 개발] 나비의 날갯짓처럼 미세하고 작은 변화가 때로는 우리의 삶에서 예상치도 못한 큰 성과와 변화를 만들기도 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아주 사소한 부분을 바꾸어 차세대 DRAM 메모리 분야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스핀-궤도 토크(spin-orbit torque, 2024-06-25367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이온-이온 덜 친해야 전지 효율 높인다 [POSTECH · 성균관대 · 충남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 ] 친한 관계에서도 적당한 거리가 중요하다. 친밀한 관계가 모든 것을 해결하지는 못하며, 개인적인 공간과 독립성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는 화학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POSTECH · 성균관대 · 충남대 연구팀은 양쪽성 이온(Zwitterion) 분자 간 친밀도를 낮춰 2024-06-21521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신소재 정성준 교수팀, 투명 기판의 오염과 김 서림 막는 다기능성 테이프 [이효민·정성준 교수팀, 김 서림 방지와 자가 세정 가능한 테이프 개발] 최근 화학공학과 이효민 교수 · 통합과정 김형정 씨,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미터 규모로 패턴화된 탄성중합체 위에 부분적으로 하이드로젤 패턴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테이프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 2024-06-21356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전해질을 지배하는 자, 전기차 시장을 선도한다 [박수진 교수팀, 상용성 · 안전성 모두 확보한 리튬 배터리용 겔 전해질 개발] 화학과 박수진 교수 · 통합과정 남서하 씨 · 손혜빈 박사 연구팀은 안정성과 상용성을 모두 갖춘 겔 전해질 기반 배터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스몰(Small)’에 최근 게재됐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를 포함해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에너지 저장 2024-06-19589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인간의 활동, 가뭄 앞에서는 양날의 검 [감종훈 교수, 봄철 극심한 가뭄에 대한 인간 활동의 상충되는 영향 분석] 지구-환경과학자들은 인간의 사회 · 경제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 가뭄과 홍수와 같은 기상 이변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런데, POSTECH 연구팀이 인위적인 온실가스가 오히려 가뭄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하며, 인간 활동이 자연에 미 2024-06-17347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