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 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2025-01-16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김진곤 교수팀, 차세대 반도체용 리소그라피 기술 개발 (2012.8.29) 수소결합이 그리는 비대칭 나노선 수소결합*1을 이용해 지금까지의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비대칭적이며 폭 간격이 수 나노미터(1nm는 머리카락 10만분의 1)에 불과한 나노패턴을 실리콘 기판 위에 구현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연구단 김진곤 교수·한성현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의 벤캣 가네산(Venkat Ganesan) 교수팀과 공동으로 바텀업(Bottom up)*2의 자기조립방법으로는 불가능했던 패턴 간격이 다른 비대칭 나노패턴을 실리콘 기판 위에 수직으로 정렬하는 기술을 … Continue reading "김진곤 교수팀, 차세대 반도체용 리소그라피 기술 개발 (2012.8.29)" 2012-10-09987 연구성과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인간 노화 예측하는 ‘생존곡선’ 개발 (2012.7.12) 미래 수명과 고령화 속도 예측 가능한 모델 개발 노화와 기대수명*1은 전 인류의 중대한 관심사이자 인문학은 물론 이공계 학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의 숙명이다. 우리나라 역시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면서 노화의 속도와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소재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던 재료분야 전공 연구팀이 인간의 노화와 고령화 예측이 가능한 생존곡선*2 수학모델을 개발해 화제다. 신소재공학과 … Continue reading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인간 노화 예측하는 ‘생존곡선’ 개발 (2012.7.12)" 2012-08-231,811 연구성과 홍석봉 교수팀, 제올라이트 촉매상 메타-자일렌 전환반응 메커니즘 규명 (2012.5.24) ‘가설’ 속 폴리에스테르섬유 원료 제조 메커니즘 첫 규명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페트병, 필름의 원료로 사용되는 파라-자일렌은 메타-자일렌*1의 이성질화 반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석유화학 기초 소재지만, 그 생성 메커니즘이 전적으로 가설에 의존하고 있었다. POSTECH 연구팀이 이런 ‘가설’을 실제로 규명해내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화학공학과·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박사과정 민형기씨 팀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2과 동위원소 치환법을 … Continue reading "홍석봉 교수팀, 제올라이트 촉매상 메타-자일렌 전환반응 메커니즘 규명 (2012.5.24)" 2012-06-071,561 연구성과 원병묵 교수팀, 연성물질 합체시 위치 결정 원리 발견 (2012.5.29) 연성물질에도 ‘빈익빈 부익부’ 있다 사회적 현상으로 여겨지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연성물질*1의 세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크기가 서로 다른 연성물질이 하나로 합쳐질 때 합체된 물질의 위치는 큰 물질 쪽에 가깝게 놓인다는 원리가 POSTECH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신소재공학과 원병묵 연구교수와 제정호 교수는 대표적인 연성물질인 공기방울과 물방울이 합쳐질 때 합체된 물질의 위치를 측정, 연성물질의 합체 과정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원리를 밝혀내 … Continue reading "원병묵 교수팀, 연성물질 합체시 위치 결정 원리 발견 (2012.5.29)" 2012-06-072,636 연구성과 이시우교수팀, 포도당이용 탄소 양자점 소재 합성 기술 개발 (2012.5.14) 포도당이 ‘탄소 양자점’ 산업화 열쇠?! 흔히 구할 수 있는 포도당이 태양전지나 양자 컴퓨터는 물론 조영제(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차세대 소재, 탄소 양자점의 산업화를 이끌 열쇠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화학공학과 이시우 교수·박사과정 권우성씨 팀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기름에 포도당 수용액을 넣어 만든 역마이셀(reverse micelle)*1 형태의 유화액(emulsion)을 통해 균일한 크기의 탄소 양자점 소재를 효율적으로 … Continue reading "이시우교수팀, 포도당이용 탄소 양자점 소재 합성 기술 개발 (2012.5.14)" 2012-06-071,170 연구성과 전상민 교수팀, 나노기술 이용 조기암진단기술 개발 (2012.5.10) 원스톱으로 조기암 진단하는 ‘겉 다르고 속 다른’ 나노입자 겉과 속이 다른 나노입자가 조기암을 진단해내는 것은 물론, 원스톱으로 여러 암을 한꺼번에 알아낼 수 있는 ‘진단물질’로 개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주진명 연구원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 진동자와 겉은 광촉매 물질, 속은 자기(磁氣) 성질을 띄는 이중 나노입자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ACS … Continue reading "전상민 교수팀, 나노기술 이용 조기암진단기술 개발 (2012.5.10)" 2012-06-071,143 연구성과 용기중 교수팀, 물속에서도 젖지 않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 원천기술 개발 (2012.4.25) 국내 연구진이 나노선* 구조를 이용해 물속에서도 젖지 않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방수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개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되었다. ※ 나노선 : 수 십 ~ 수 백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의 굵기를 갖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머리카락 형태의 나노 구조체 용기중 교수와 이승협 박사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과 글로벌연구네트워크사업(GRN)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 Continue reading "용기중 교수팀, 물속에서도 젖지 않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 원천기술 개발 (2012.4.25)" 2012-05-111,087 연구성과 차형준·조동우 교수팀, 홍합 이용해 손상된 뼈조직 재생 기술 개발 (2012.4.25)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접착력과 코팅력이 뛰어난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손상된 뼈 조직을효과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성 3차원 지지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차형준 교수와 조동우 교수 및 가톨릭대학교 이종원 교수 연구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과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생체소재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ctaBiomaterialia’지에 온라인으로 (4월 2일자) 게재되었다. (논문명: Enhancement of bone regeneration through … Continue reading "차형준·조동우 교수팀, 홍합 이용해 손상된 뼈조직 재생 기술 개발 (2012.4.25)" 2012-05-111,001 연구성과 이건홍 교수팀, 새로운 청정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 (2012.4.27) 석유나 석탄에 비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고, 엄청난 매장량으로 인해서 미래의 에너지로 각광받는 가스하이드레이트*1. POSTECH 연구팀이 작은 수정을 이용해 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상용화에 필수적인 기술을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 기존 방식에 비해 30배 가량 가속시킬 수 있는 연구성과를 내놔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크게 주목을 끌고 있다. 화학공학과 이건홍 교수, 이보람 박사·전상민 교수팀은 최근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술에서 핵심적인 기술로 … Continue reading "이건홍 교수팀, 새로운 청정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 (2012.4.27)" 2012-05-111,604 연구성과 최희철 교수팀, 광민감제 공정 간편화 기술 개발 (2012.4.17) 항암치료에서 가장 촉망받고 있는 ‘빛의 치료’, 광치료법. 하지만 치료에 사용되는 광민감제의 치료 효율이 낮은 것은 물론, 포르피린으로 만들어진 광민감제는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어 있어 치료비가 높아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 같은 단점을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새로운 광민감제 공정이 국내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화학과 최희철 교수․문혜경 박사팀과 고신대 의대 이상호 교수팀은 순수 아연-프탈로시아닌 분자를 나노선으로 합성하는데 성공, 이 나노선은 물에 … Continue reading "최희철 교수팀, 광민감제 공정 간편화 기술 개발 (2012.4.17)" 2012-05-111,34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