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소중한 정보, 빛의 열쇠로 안전하게 잠금 해제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가시광선에서 스핀·파장 다중화 가능한 메타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성준화 씨 연구팀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아우르는 영역에서 빛의 회전 방향과 색깔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과 응용 물리 분야 국제 학술지 2024-10-08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연세대 개방‧공유캠퍼스, ‘블록체인’으로 경계 허문다 국내 대학 첫 블록체인 캠퍼스 구축 지식콘텐츠 공유‧투표‧출결석‧기부금 시스템 도입…성공사례 양교 공유 지난해 3월 개방‧공유캠퍼스를 선언한 POSTECH과 연세대 두 대학이 블록체인 캠퍼스를 구축, 블록체인 분야 선도에 나선다. 두 대학은 우선 각 대학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 검증한 후, 서로 내용을 공유하면서 최적화 된 공통시스템으로 발전시켜 2019-04-032,240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전기 먹는 하마 ‘알파고’ 단점 보완할 인공지능 시냅스 개발 [강유전체 물질 도입해 고성능의 아날로그 메모리 특성 구현] 인간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바둑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인간을 이긴 알파고의 등장은 전 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알파고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에 비해 하드웨어는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둑 한판을 두는데 엄청난 전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알파고가 바둑 한 2019-04-011,641 연구성과 전자 홍원빈 교수팀, “5G 미래형 스마트폰”…세계 첫 ‘안테나 디스플레이’로 한 발 더 앞서나간다 – 동우화인켐‧SKT‧LG전자‧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와이테크와 미래형 5G 단말 안테나 시스템 개발 – 5G 28GHz 신호로 안테나 실제 측정 확인…신개념 5G스마트폰 탄생 기대 높여 버튼을 없애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키패드를 옮겨놓은 ‘풀터치폰’은 어느 나라에서 최초로 출시됐을까? 정답은 우리나라다. 지금은 우리에게 ‘당연한’ 휴대폰의 2019-03-271,916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 회수용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성공] 우리나라 산업 폐열량은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4분의 1 정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진다. 이 폐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것이 열전소자인데, 이렇게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를 열전소자라고 부른다. POSTECH 연구팀이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 2019-03-261,02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난치성 뇌암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 –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암 세포 환경과 동일한 칩 제작, 항암 치료 재현 – 향후 환자별 최적 항암치료 조합 도출 가능 5년 이내 생존률이 2%에 불과한 난치성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항암 치료로 증세가 호전된 환자와 암이 2019-03-22852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벌집 구조 활용해 리튬-황이온전지 전극 개발 [5배 높은 용량 리튬·황배터리 개발로 전기자동차 대중화 앞당겨] 크기는 줄이고 효율은 획기적으로 높인 성능이 뛰어난 배터리를 만드는 일은 전 세계 과학자들의 숙제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엔 배터리의 성능이 산업의 성공 여부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 연구팀이 층층이 쌓인 벌집 모양의 구조체를 만들어 2019-03-211,169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 공동연구팀, 나방 눈 모사 유리로 흐린 날씨에도 태양광 발전 맑음 [김동성 교수와 기계연 임현의실장 공동연구팀, 태양광 패널 보호 유리에 나방 눈 모사한 무반사 자가세정 유리 및 마찰전기 수확장치 개발] 야행성인 나방은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야행성 동물들과 달리 깜깜한 밤에 작은 빛을 받아도 눈이 반짝이지 않는다. 나방 눈 안에 나노 크기의 작은 돌기가 가득 덮여 있어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작고, 겹눈으로 여러 방향의 빛 2019-03-191,372 대학소식 “세상을 바꾸는 뇌과학, 손에 한 번 잡아볼까” [POSTECH, 15일 ‘세계 뇌주간’ 맞아 공개강연 개최] POSTECH 뇌연구센터(센터장 박상기 생명과학과 교수)와 한국뇌연구협회는 ‘세계 뇌(腦) 주간(World Brain Awareness Week)’을 맞아 3월 15일 오후 7시부터 생명공학연구센터 대강당에서 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공개 강연을 펼친다. ‘뇌과학이 세상을 바꾼다’를 주제로 2019-03-15893 첨부파일(1)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용기중 교수 공동연구팀, ‘연잎’과 ‘홍합’의 강력한 콜라보…몸속 의료 기구에 적용하면 혈전과 유착 방지 [복합적 생체모방을 통한 고내구성 초발수 표면 개발] 홍합 연구와 연잎 연구의 두 권위자가 만났다. 거센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에서 바위에 딱 붙어있는 홍합의 접착 단백질을 연구하는 차형준 교수와 폭우에도 젖지 않고 물방울을 또르르 흘려보내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잎을 연구하는 용기중 교수가 손을 잡고 몸속에 넣을 수 있는 초발수 표면(superhydrophob 2019-03-14786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이 분해하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제거 고체산화물 전해전지용 촉매 개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불리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은 지구촌의 큰 관심사다. 이산화탄소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도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 개발에 국내 연구팀이 2019-03-1196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1121131141151161171181191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