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의료보국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하겠다” [19일, 의사과학자 양성 출범식…23년 개원 의과학대학원도 공개] 교육보국(敎育報國)의 뜻으로 세워진 POSTECH이 의사과학자 양성을 통한 의료보국(醫療報國)에 나선다. 19일, POSTECH은 경상북도, 포항시 등 지자체와 과학‧의료계 인사들과 함께 의사과학자 양성 출범식을 가졌다. 이 출범식에서는 2023년 개원하는 의과학대학원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2022-05-19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물리 송창용 교수팀, 2m 길이 DNA가 100만분의 1 크기로 줄어드는 비밀 밝힌다 [송창용 교수팀, 방사광가속기 이용해 인간 염색체의 고해상도 입체 구조 관측] 실이나 이어폰 줄을 좁은 공간에 아무렇게나 두면 쉽게 꼬여버린다. 이와 달리 우리 몸의 DNA는 실처럼 길게 풀어져 있다가도 세포가 분열할 때 100만분의 1 크기인 막대 모양 염색체로 뭉치는 과정을 반복한다. 길이가 2미터(m)에 달하는 DNA에 그대로 세포 분열이 일어나면 유 2021-11-1610 대학소식 김무환 총장, 美 위스콘신대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POSTECH총장으로서 학계‧교육계 발전 기여 공로] 김무환 총장(63)이 13일(현지시간 12일) 미국 위스콘신대 공과대학이 수여하는 ‘자랑스러운 동문상(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을 수상했다. 원자력안전기술 분야 전문가인 김 총장은 서울대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1982년 도미(渡美), 위스콘신 2021-11-159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위(胃)에 ‘쏙’ 들어가서 ‘쑥’ 빠지는 경구 약물 전달용 모터 나왔다 [한세광 교수팀, 헬리코박터균 모사 마이크로모터 개발] 국내 연구팀이 위점막을 통과해 24시간 이상 위에 머물면서 약물을 전달한 후 완전히 몸 밖으로 배출되는 마이크로모터를 개발했다.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서 기생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효과적으로 위점막을 통과하는 특성이 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최현식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2021-11-101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커피 증발하는 원리로 눈 ‘번쩍’ 뜨이는 반도체 입자 만든다 [노준석·조항진 교수팀, 커피링 효과 이용해 기존 소재 대비 20배 밝은 퀀텀닷 배열법 개발] 흘린 커피를 바로 닦아내지 않으면 커피 자국의 가장자리가 다른 부분보다 진하게 남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커피링 효과(coffee ring effect)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같은 원리를 이용해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퀀텀닷, quantum dot 2021-11-0918 연구성과 전자·IT융합 김철홍 교수팀, AI가 내 몸 영상 바로잡아 선명도 높인다 [김철홍 교수팀, AI 이용해 음속 차이로 인한 광음향 영상 왜곡 제거 기술 개발] 몸 안에 퍼지는 음파의 속도(음속)를 정확히 알수록 선명한 초음파나 광음향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속은 사람마다 다를뿐더러 한 사람의 몸속에서도 근육, 뼈, 지방 등 서로 다른 음속을 가진 성분이 임의로 분포돼 있어 정확하게 예측하기 더욱 어렵다. 최근 국내 연구팀은 2021-11-0811 대학소식 신근유·국종성·노준석·유환조 교수, 국가 우수연구성과 100선 선정 신근유, 국종성, 노준석, 유환조 교수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뽑혔다. 생명·해양 분야에서 과기부 부처의 최우수성과 연구자로 선정된 생명과학과 신근유 교수는 인체 장기를 재현한 조립형 미니 장기 ‘어셈블로이드’를 개발해 조직 재생과 암 발생 기작을 규명했다. 환경공학부·수학과 국종성 교수는 순수기초·인프라 2021-11-0413 대학소식 산업은행, 포스코‧포스텍과 함께 친환경‧미래산업에 2,000억 투자 [산-학-금융 협업으로, 대한민국을 미래로 연결하는 스타트업 발굴] [2050 탄소중립 실현, 혁신벤처를 통한 지역경제 도약에 기여] 산업은행은 포스코, 포스텍과 11월 4일 친환경·미래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산업은행 장병돈 부행장, 포스코 정창화 신성장부문장, 포스텍 김무환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 체인지 2021-11-0411 대학소식 삼성SDI, 포스텍과 배터리 인재 육성에 손 모아 [맞춤형 교육 통해 배터리 소재, 셀, 시스템 전문 인력 양성 주력] [이차전지 분야 관련 주요 6개 학과 25명 이상의 교수 참여] [2022학년도부터 2031학년도까지 총 100명 이상의 삼성SDI 장학생 선발] 삼성SDI가 포항공과대학교와 함께 배터리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맺었다. 삼성SDI는 3일 포스텍과 함께 ‘포스텍-삼성SDI 2021-11-0417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지진에 대한 관심도 ‘부익부 빈익빈’, 빅데이터가 말한다 [감종훈·김진희·서영주 교수, 국제적 지진 관심도 분석] [사망자 多 10개 지진 중 개발도상국 발생 7개는 관심도 낮아] 2010년 아이티 대지진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중 국제 사회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은 지진은 무엇일까? 빅데이터가 그 답을 제시했다. 흔히 피해가 클수록 관심도 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지진 발생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 2021-11-0414 대학소식 철강·에너지소재 강윤배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 ‘윤동석 상’ 수상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강윤배 교수(45)가 최근 대한금속재료학회로부터 윤동석 상을 수상했다. 강윤배 교수는 POSTECH에서 신소재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고 캐나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 대학을 거쳐, 2009년 POSTECH에 처음 부임했다. 이후 포스코 기술연구원 방문연구원, 에콜 폴리테크니크 대학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철강과 금속의 고온 공정 분야에서 활 2021-11-03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