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과 박문정 교수팀, 전기차, 지구와 운전자 모두를 지켜라 [박문정 교수팀, 이온 전도성과 안정성이 높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 소방청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작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는 44건이다. 이는 전년도인 2021년에 발생한 24건보다 약 두 배 많으며, 올해 상반기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이미 40건을 넘었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전기차, 지구와 운전자 모두 지킬 수 2023-09-2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한반도 가뭄의 ‘250년’ 기록을 파헤치다 [감종훈 교수팀, ‘자가교정 유효가뭄지수(scEDI)’ 개발…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강수량 기록 총망라해 비교·분석] [“가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객관적으로 평가…향후 선제적 대응 기대”] 올해 극심한 가뭄과 폭염으로 많은 농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일으키는 가뭄은 오늘날의 문제만은 아니다. 특히 벼농사 중심의 농업 사회였던 조 2022-09-05414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내 세포는 얼마나 뜨거울까?” [韓·日 공동연구팀, 세포 소기관별 온도 빛으로 볼 수 있는 형광 온도계 개발] 회사에서 팀마다 각기 다른 업무를 처리하듯이, 세포에서도 여러 소기관이 각자 맡은 역할을 쉴새 없이 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포 소기관의 온도가 미세하게 변화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세포 속 변화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 한국과 일본 공동연구팀이 이처럼 미 2022-09-01522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팀, ‘오염 제로’ 열교환기로 에어컨 청소 걱정 던다 [POSTECH·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실리카 나노입자 덧씌워 열교환기의 윤활액 코팅의 지속성 대폭 향상] 여러 해 동안 유난히 더운 여름이 이어지면서 이제 에어컨은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는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한데, 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미생물에 의해 열교환기의 표면이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오염되면 열이 잘 전달되 2022-08-31360 연구성과 신소재 김연수 교수팀, 몸속에서도 전기 통하는 ‘특별한’ 하이드로겔로 신경 조절한다 [POSTECH·케이메디허브 공동연구팀, 신경에 도포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하이드로겔 개발] [“쥐 좌골 신경에 이식 후 저전류 전기 자극 가해 신경 조절 성공”] 우리 몸의 중심에서 여러 기관을 통제하는 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몸을 움직이거나 감각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신경을 조절하면 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나 통증을 개선할 수도 있다고 알려져 2022-08-30995 연구성과 화공 이기라 교수팀, 원하는 빛만 반사하는 만능거울 나왔다 [POSTECH·성균관대 교수팀, 초고굴절률 메타물질과 저굴절률 고분자 결합해 반사경 개발] [“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에서 역대 최고 굴절률 기록…정밀 반도체 공정·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 기대”] 하루에 꼭 한 번씩은 보게 되는 거울.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원리에 의해 우리는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거울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반 2022-08-29537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징검다리’ 놓아 저전력 반도체 소자 실현한다 [손준우 교수팀, 반도체 소자 속에 백금 나노 입자 ‘쏙‘…소비전력 절반 ‘뚝’] [메모리 효과 ‘100만 배’ 연장…차세대 저전력 소자 활용 기대] 청계천에 가면 징검다리를 건너는 시민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천 양쪽의 길을 잇는 징검다리만 있으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단 몇 걸음 만에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 속에도 이처럼 ‘징검다리’를 2022-08-2345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거울 대칭 구조’로 저주파 소음 싹 잡는다 [노준석·이안나 교수팀, 카이랄 구조 이용해 저주파 진동 줄이는 방법 개발] ‘위잉위잉’ 울리는 저주파 진동. 큰 소리가 나지 않아 쉽게 느끼지 못할 수도 있지만, 한 번 인지하면 그 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특히나 최근에는 층간소음과 같은 저주파 진동을 지속적으로 들으면서 정신적인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2022-08-22464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더 크게, 더 진짜같이’…인공장기의 미래는? [장진아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 활용 인공장기 제작법 집대성] 3D 프린터로 ‘생생하게’ 움직이는 우리 몸속 장기를 만드는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최근, 살아 있는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로 인공조직을 만들어내는 바이오프린팅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인공조직을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더 큰 조직이나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어,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2022-08-19660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단일분자에 ‘이불 덮어’ 생명의 기원 밝힐 실마리 찾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1나노미터 단일분자 자세 변화 관측 성공] [“향후 난치병 원인·치료법 개발 연구에 적용 기대”] 약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단일분자는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약 100nm 크기의 코로나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생각하면 단일분자 관측이 얼마나 어려 2022-08-17514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세포’처럼 촉매 반응도 정밀하게 조절한다 [이인수 교수팀, 자기 물질 촉매와 플라즈몬 촉매 합친 나노반응기 개발] [“단계별 촉매 반응을 원격으로 조절…95% 수율의 시남알데하이드 생성”] 우리가 가만히 있을 때도 몸속 세포는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다. 세포에서는 다양한 화학반응이 잇달아 일어나는데, 반응의 각 단계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조절되면서 생명이 유지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2022-08-1640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