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4주 단기 앱 개발 과정 ‘Apple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앱 개발 과정을 통해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높이는 단기 집중 교육] [2월 18일까지 참여자 모집,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는 코딩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4주 단기 앱 개발 교육 과정인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이면 학력, 경력, 성별에 2025-02-1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용기중 교수 공동연구팀, ‘연잎’과 ‘홍합’의 강력한 콜라보…몸속 의료 기구에 적용하면 혈전과 유착 방지 [복합적 생체모방을 통한 고내구성 초발수 표면 개발] 홍합 연구와 연잎 연구의 두 권위자가 만났다. 거센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에서 바위에 딱 붙어있는 홍합의 접착 단백질을 연구하는 차형준 교수와 폭우에도 젖지 않고 물방울을 또르르 흘려보내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잎을 연구하는 용기중 교수가 손을 잡고 몸속에 넣을 수 있는 초발수 표면(superhydrophob 2019-03-14800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이 분해하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제거 고체산화물 전해전지용 촉매 개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불리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은 지구촌의 큰 관심사다. 이산화탄소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도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 개발에 국내 연구팀이 2019-03-11988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버려지는 달걀 껍질·거미줄로 전기 만든다 [무독성·생분해 가능한 생체적합 나노발전소자 개발] 가정마다 냉장고 한쪽에 꼭 자리하고 있는 친근한 식자재인 달걀의 껍데기와 거센 바람과 폭우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탄력 좋은 거미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연구팀이 거미줄 섬유와 달걀껍질의 단백질을 이용해 친환경 압전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연구단 2019-03-11791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 공동연구팀,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새로운 형광물질 발견 [살아있는 조직에서 활성화대식세포만 선택적 염색…동물실험으로 효능 확인] 동맥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동맥경화는 나이가 들수록 발병하기 쉬운 질환이다. 최근에는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젊은 나이에 발생하거나, 증상이 없는 뇌혈관 동맥경화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정확한 진단이 치료와 예방에 중요하다는 의미다. 동맥경화 2019-03-08697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산호 닮은 실리콘으로 전기자동차 5배 빠르게 충전한다 [에너지 밀도와 출력 문제 모두 해결…고속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상용화 기대]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용량을 높이면서도 더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 새로 개발된 소재는 산호와 꼭 닮은 모양의 실리콘 소재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흑연 음극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화학과 박수진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로드니 루오프(Ro 2019-03-06936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 공동연구팀, 엘니뇨·열대 대양의 상호작용, 엘니뇨 장기예측의 key [환경 국종성 교수·전남대 함유근 교수 등 전 세계 35명의 전문가 엘니뇨와 열대 대양간 상호작용 밝혀 엘니뇨 장기 예측과 기후 활동 예측] 열대 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는 엘니뇨가 발생하면 세계 곳곳에서 극심한 기상 이변이 일어난다. 엘니뇨는 가장 잘 알려지고 강력한 기후 변동 현상으로 폭염과 혹한, 가뭄과 홍수 등 전지구적으로 큰 피해를 불러 일으 2019-03-04701 대학소식 환경 최원용 교수, 대한환경공학회 학술상 수상 환경공학부 최원용 교수가 대한환경공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대한환경공학회 학술상은 환경공학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루고, 환경공학분야 학문발전과 기술개발에 현저한 업적이 있는 개인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다. 최 교수는 98년 POSTECH에 부임한 이후 20여 년간 ‘환경화학 및 고도산화공정’ 연구분야에서 독보적인 학술적 연구성과를 발표해 국제적으로 인정 2019-02-28558 대학소식 Bio Open Innovation Center(BOIC) “첫 삽” – 제넥신, 아리조나주립대 등 20여개 제약사, 연구기관 입주 – – 국내 최초 세포막단백질전문연구소 설립 추진단 출범식도 가져 – 2016년, 가치창출대학으로서의 지향점을 발표한 우리대학이 직접적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는 Bio Open Innovation Center(BOIC)가 2월 26일 첫 삽 2019-02-272,267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리튬 금속 전지 폭발 문제점 잡고 안전성·성능 높여 상용화 앞당긴다 [리튬 금속 음극 단점 극복 가능한 복합 보호층 개발] 전기차의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성능이다. 한번 충전에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대폭 늘일 수 있길 때문이다. 배터리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올리려는 방안에 대해 세계 각국이 고민 중인 가운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10배 이상 높지만, 폭발의 우려 때문에 상용화할 수 2019-02-221,262 대학소식 학생회관, 정보통신연구소 후원으로 새롭게 리모델링 대학설립 초기 지어진 학생회관 1층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학생회관 1층은 간단하게 식사나 간식을 즐길 수 있는 스낵바 ‘오아시스’와 카페, 다목적 공간인 아틀라스홀, 서점과 은행 등이 있어 학생들의 이용이 특히 많은 곳 중 하나다. 대학은 정보통신연구소(소장 서영주)가 전달한 기여금 12억을 들여 11월부터 최근까지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해왔다. 1 2019-02-221,41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