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이정수 교수팀, ㈜아이엠헬스케어와 조류독감‧말라리아 진단센서 응용 나선다 ‘심근경색’ 찾는 그물센서 개발 흔히 심장마비로 알려진 ‘심근경색’은 2시간 이내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세포가 썩기 시작해 사망에 이르는, 특히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이자, 돌연사의 큰 원인으로도 손꼽힌다. 전자전기공학과 이정수 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김기현 박사팀은 NASA 연구팀과 함께 3차원 나노 그물망 구조를 이용해 심근경색 여부를 진단하는 단백질 트로포닌 Ⅰ(Troponin Ⅰ)을 … 더 보기 "이정수 교수팀, ㈜아이엠헬스케어와 조류독감‧말라리아 진단센서 응용 나선다" 2015-11-102,538 연구성과 이준식‧장호영 동문, 4세대 가속기 이용 “성과” 사이언스 통해 발표 세상에서 가장 밝은 X-ray로 고온초전도체 ‘미스터리’ 다가가 * 사진설명: 장호영 박사, 이준식 박사(좌로부터) 물질이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내부 자기장을 밀쳐내는 ‘초전도 현상’은 그 특성을 이용해 MRI(자기공명현상) 촬영에 활용되고, 에너지원이나 자기부상열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현상이다. 하지만 초전도현상은 물질의 온도가 영하 240℃ 이하로 아주 낮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너무 … 더 보기 "이준식‧장호영 동문, 4세대 가속기 이용 “성과” 사이언스 통해 발표" 2015-11-09833 연구성과 우수 연구 결실에 국내외 대회서 ‘잇단’ 수상 POSTECH 교수와 학생들이 우수한 연구성과로 국내·외에서 잇단 수상소식을 전해오고 있다. – 최윤성 교수, 2015년도 대한수학회상 학술상 수상자에 선정 대한수학회는 지난 10월 23일부터 사흘 동안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2015 정기총회 및 가을연구발표회’ 개최에 앞서 2015년도 대학수학회상 학술상 수상자로 최윤성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로체스터대학(University of Rochester)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 교수는 부산대학교를 거쳐 … 더 보기 "우수 연구 결실에 국내외 대회서 ‘잇단’ 수상" 2015-11-05977 연구성과 김동성 교수, 마찰전기를 이용한 나노발전기 상용화 원천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국내 연구진이 일상에서 버려지는 마찰전기를 모아 전력으로 재활용하는 나노발전기1 제조에 있어서 복잡한 제작과정을 단순화한 저비용․고효율․고속생산의 대량생산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POSTECH 김동성 교수 연구팀은 얇고 투명하며, 휘어지는 나노발전기의 대량생산 및 상용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재료분야의 권위있는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트리얼즈(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 10월 15일자에 게재되었다. … 더 보기 "김동성 교수, 마찰전기를 이용한 나노발전기 상용화 원천기술 개발" 2015-11-041,239 대학소식 창업캠프 ‘과매기 창업원정대’ 개최 POSTECH,“과하게 매력적인 기술” 창업 겨룬다 “지금까지 ‘창업’을 추상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캠프를 진행하면서 아이디어의 사업화에는 고민해야할 다양한 면들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POSTECH이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세계적인 벤처기업으로 이어질 2015-11-021,022 대학소식 POSTECH-서울대-KAIST, 이공계 온라인 명품강의 함께 만든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이공계 대학들이 국내 최고 수준의 이공계 기초과목 온라인 강좌(MOOC)*1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POSTECH은서울대학교(총장 성낙인), KAIST(총장 강성모)와 지난 10월 과학기술 MOOC 콘텐츠 공동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서울대학교에서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국내 이공계 대학의 교육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 온라인 강의가 절실하다는데 대한 3개 … 더 보기 "POSTECH-서울대-KAIST, 이공계 온라인 명품강의 함께 만든다" 2015-10-30980 연구성과 김대진 교수 연구팀, ‘3D 신체 관철 정밀 추적기술’로 구현 POSTECH이 누구나 손쉽게 가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따라 할 수 있는 ‘가상 춤 선생’ 기술을 개발해 대중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능형 미디어 연구실 김대진 교수 연구팀은 3D 신체관절 정밀 추적 기술을 기반으로 누구나 손쉽게 각 가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배울 수 있는 K팝 춤 선생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 논문을 영상 처리 관련 … 더 보기 "김대진 교수 연구팀, ‘3D 신체 관철 정밀 추적기술’로 구현" 2015-10-30789 연구성과 물의 특성 손쉽게 파악하는 초저가 플랫폼 만들었다 * 사진 설명: 김동성 교수, 학사과정 이동현씨, 박사과정 최동휘씨(좌로부터) POSTECH 연구팀이 물이 지나간 자리에 저절로 형성되는 알짜 전하*1를 이용하여 물의 여러 가지 특성에 대해 정밀하게 평가하고, 물속 미세한 기포까지 찾아낼 수 있는 플랫폼을 제작해 학계에 관심을 끌고 있다.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박사과정 최동휘씨, 학사과정 이동현씨 연구팀은 물과 같은 액체가 고체 표면 위를 … 더 보기 "물의 특성 손쉽게 파악하는 초저가 플랫폼 만들었다" 2015-10-30711 대학소식 철강대학원 이종수 원장, 대한금속·재료학회장 선출 POSTECH 철강대학원 이종수 원장이 2016년 대한금속·재료학회를 이끌 차기 회장으로 선임됐다. 대한금속·재료학회는 29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15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이종수 원장을 제46대 대한금속·재료학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발표했다. 국내·외 재료금속공학 분야의 권위자인 이종수 원장은 서울대학 2015-10-30691 연구성과 김윤호 교수 연구팀, 양자얽힘 손실 없이 재분배하는 기법 시현 * 사진설명: 김윤호 교수, 임향택 박사, 홍강희 씨(좌로부터) 양자통신*1, 양자컴퓨터*2와 같은 양자정보기술은 아직 초기단계이지만, 현대 정보사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신기술이다. 이 양자정보기술이 다양한 영역에서 응용되기 위해서는 양자얽힘*3 현상 유지가 중요하다. 그러나 양자 상태는 주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 하고 있어, 먼 거리에 있는 두 곳 끼리 양자얽힘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결맞음 특성이 보호되지 … 더 보기 "김윤호 교수 연구팀, 양자얽힘 손실 없이 재분배하는 기법 시현" 2015-10-301,11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