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김경태 교수팀, 대사질환 잡는 단백질, 치매도 잡는다? [POSTECH-노브메타파마 공동연구팀, 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몇 해 전 방영했던 인기 드라마 ‘눈이 부시게’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주인공이 등장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치 2022-08-1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창의재단, 11일 로봇공방 OPEN DAY 개최 “겨울방학, POSTECH 로봇공방에 놀러오세요”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과학기술진흥센터가 11일 한국로봇융합연구원에서 ‘로봇공방 OPEN DAY’를 개최한다. 디지털 장비를 활용, 아이디어 시제품 창출 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반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02-04915 연구성과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나노재료 성장법 개발 대면적 및 원하는 기하학적 형태 제작…안게반테 케미 표지 장식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원장 오세정·IBS)「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단장 염한웅, POSTECH물리학과 교수)의 최희철 부단장 겸 그룹리더(POSTECH화학과 교수)연구진은 금 촉매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2014-01-271,507 대학소식 27일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와 한국원자력연구원 협약 중성자 빔 연구 분야 발굴 및 공동연구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MPK, 소장 김동언)은 27일 대전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과학기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협약을 맺었다.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박재훈 복합물질 연구센터장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과학연구부 이기홍 부장은 이날 협약식을 갖고 중성자 빔 이용과 관련 연구분야 발굴 2014-01-151,159 대학소식 포스텍 학생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에 선정 대학생 대상 해외탐방프로그램 ··· 47:1 팀 경쟁률 속 최종 15개팀 선정 포스텍(POSTECH) 재학생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에 최종 선정됐다.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는 잡코리아가 전국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 팀방 지원 프로그램으로, 포스텍 2014-01-15853 대학소식 [IBS 보도자료]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나노재료 성장법 개발 대면적 및 원하는 기하학적 형태 제작…안게반테 케미 표지 장식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원장 오세정·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단장 염한웅, POSTECH 물리학과 교수)의 최희철 부단장 겸 그룹리더 (POSTECH 화학과 교수) 연구진은 금 촉매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2014-01-151,947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창의재단, 11일 로봇공방 OPEN DAY 개최 “겨울방학, POSTECH 로봇공방에 놀러오세요”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과학기술진흥센터가 11일 한국로봇융합연구원에서 ‘로봇공방 OPEN DAY’를 개최한다. 디지털 장비를 활용, 아이디어 시제품 창출 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반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01-091,278 연구성과 POSTECH, 식물 기관 형성 조절 리모컨 단백질 첫 규명 식물 속 ‘성장 리모컨’ 누르면 환경변화에도 생장 ‘문제 없어’ 뿌리는 식물이 자라고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기관으로,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 위해 필요한 물과 무기염류를 제공한다. 또, 이 뿌리는 토양에 따라 식물체를 지지하는 정도와, 외부 환경 변화를 인식해 생장을 조절하는 감각기관이기도 하다. 이 뿌리 속에 있는 2014-01-07969 연구성과 POSTECH 생명과학과 황철상 교수팀, Cell지 통해 새로운 단백질 분해신호 밝혀내 “세포내 단백질은 태어남과 동시에 운명이 결정된다” POSTECH 생명과학과 황철상 교수팀, Cell지 통해 새로운 단백질 분해신호 밝혀내 사람의 삶은 태어날 때 운명으로 정해진 것일까?, 아니면 살아가면서 일정한 인과관계의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까? 철학적으로는 끊임없이 논쟁이 이루어지는 주제지만, 우리 몸에 존재하는 세포 2014-01-071,033 연구성과 당류의 선택적 인지 및 안정화를 이루는 수용체 규명 당류의 선택적 인지 및 안정화를 이루는 수용체 규명 – 당류의 감지 및 운반, 구조 변화 등 의약분야 응용가능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원장 오세정·IBS)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단장 김기문, POSTECH 교수)은 당류의 선택적이고 안정화된 담지를 가능하게 하는 합성수용체의 메커니즘을 규명했 2014-01-071,126 연구성과 임근배 교수팀, 이온농도분극현상 이용한 입자분리장치 개발 이온의 반발력으로 바닷물에서 리튬 캔다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등에 반드시 들어가는 금속, 리튬은 국내에서는 전혀 생산되지 않아 연간 1만2000여톤을 수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리튬 매장량이 거의 없는 나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는 것이 바로 2300억톤의 리튬이 녹아 있는 바다에서 리튬을 회수하는 기술이다. 보다 값싸고 간편하게 리튬을 분리할 수 2014-01-061,20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