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APGC(POSTECH 연계성장기업 협의체) 신년워크샵 개최 POSTECH-APGC(POSTECH 연계성장기업 협의체) 신년워크샵 개최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용민)과 POSTECH 출신 기업가 모임인 ‘APGC(POSTECH 연계성장기업 협의체, Association of POSTECH Grown Companies)’와 22일 오후 4시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에서 POSTECH-APGC 공동 발전을 위한 신년 워크샵을 가졌다. 이번 워크샵은 POSTECH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성과를 POSTECH이나 POSTECH 동문 기업 뿐만 아니라 신기술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업, 기관과 함께 협력해 … 더 보기 "[보도자료] POSTECH-APGC(POSTECH 연계성장기업 협의체) 신년워크샵 개최" 2013-01-221,137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학과 책임․권한 대폭 늘린다” POSTECH, “학과 책임․권한 대폭 늘린다”세계 정상급 대학 도약 위해 올해부터 경영방식 ‘대전환’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은 2013학년도부터 세계를 선도하는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월드리딩대학사업(World-leading University Initiative)’을 본격 추진한다. ‘월드리딩대학사업’은 지금까지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대학 사업을 학과가 전략적인 발전계획을 수립, 이를 평가해 대학이 지원하는 ‘바텀업(bottom-up)’방식으로 방향을 대폭 전환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학들은 대학 차원의 발전계획을 발표하면 이에 따라 학과들이 사업전략을 계획하고 … 더 보기 "[보도자료] POSTECH, “학과 책임․권한 대폭 늘린다”" 2013-01-221,654 연구성과 POSTECH-KIST 공동연구팀, 의식-무의식간 ‘임계전이 현상’ 밝혀 (2012.12.18) <인셉션>처럼 의식과 무의식이 공존할 수 있을까?POSTECH-KIST 공동연구팀, 의식-무의식간 ‘임계전이 현상’ 밝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대표작이자, 결론을 놓고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한 영화 <인셉션(Inception)>은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인간이 개입해 생각을 훔치고 현실을 바꾸는 설정으로 많은 화제를 모았다. 영화 속에서 무의식 영역인 ‘림보’에서 주인공은 기억에 의존해 새롭게 세계를 구축한다. 이처럼 의식과 무의식은 한꺼번에 공존할 수 있을까.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 더 보기 "POSTECH-KIST 공동연구팀, 의식-무의식간 ‘임계전이 현상’ 밝혀 (2012.12.18)" 2013-01-14854 연구성과 최원용 교수, 페놀수지 이용한 태양전지 관련 기술 개발 (2012.10.12) 영국왕립화학회 케미스트리 월드 통해 소개 태양전지에서 태양에너지를 전환하는 물질로 값싼 페놀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 가시광촉매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학계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적인 학술소식지 ‘케미스트리월드(Chemistry World)’는 최근, POSTECH 환경공학부/화학공학과 최원용 교수가 발표한 ‘가시광용 광촉매로 사용가능한 페놀수지로 만든 저렴한 감응제(sensitizer)’ 기술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등에 흔히 사용되는 값비싼 금속유기화합물을 저렴한 페놀수지로 … 더 보기 "최원용 교수, 페놀수지 이용한 태양전지 관련 기술 개발 (2012.10.12)" 2013-01-14852 연구성과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2013.01.14) “커피 얼룩은 왜 동그란 띠 모양으로 남을까?“POSTECH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커피를 마시다 옷이나 책상에 흘리면, 동그란 띠 모양의 얼룩이 남는다.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이 현상은 전자소자나 생체소자를 만드는 최첨단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도 흔히 일어난다. ‘커피 얼룩 효과’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고품질 소자 제작에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POSTECH 신소재공학과 … 더 보기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2013.01.14)" 2013-01-141,153 연구성과 POSTECH-차의과대 연구팀, 신개념 폴리스티렌 세포배양 기판의 대량성형 기술을 개발 (2012.11.08) POSTECH-차의과대 연구팀,“요구르트 병 만드는 폴리스티렌이 줄기세포 분화 ‘마음대로’ 조절하는 기판으로?“줄기세포 분화 조절 가능한 기판 대량생산 ”길 열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210여개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 손상 조직의 재생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줄기세포. 흔히 가전기기 케이스나 요구르트 병 등에 활용되는 폴리스티렌을 이용해, 이 줄기세포의 분화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판을 대량생산해 보다 … 더 보기 "POSTECH-차의과대 연구팀, 신개념 폴리스티렌 세포배양 기판의 대량성형 기술을 개발 (2012.11.08)" 2013-01-14947 연구성과 POSTECH-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세계최초 성체줄기세포만 이용한 전이암 완치법 개발 (2012.12.04) ‘논개’ 줄기세포가 폐 전이암 완치 “길 연다”POSTECH-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세계최초로 성체줄기세포만을 이용한 전이암 완치법 개발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끌어안고 투신한 ‘논개’. 이처럼 암세포와 함께 자살, 암세포를 없애는 성체줄기세포로 폐에 전이된 암세포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치료법이 세계 최초로 개발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학간 공동연구소인 POSTECH(포항공과대학교)-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의 성영철 POSTECH 교수․전신수 가톨릭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1를 … 더 보기 "POSTECH-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세계최초 성체줄기세포만 이용한 전이암 완치법 개발 (2012.12.04)" 2013-01-14989 연구성과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물방울이 공기방울 형성하는 원리 밝혀내 (2012.11.19) POSTECH, “물방울은 왜 떨어지면서 공기방울을 만들까?”원병묵·제정호 교수팀, 물방울이 공기방울 형성하는 원리 밝혀내 하늘에서 내리는 빗방울, 수도꼭지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등 우리가 흔히 접하는 물방울은 표면으로 떨어지는 아주 짧은 찰나에 물방울 속에 아주 작은 공기방울을 만든다. 물방울은 왜 이런 공기방울을 만드는 것일까? 나노크기처럼 눈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 작은 불순물이나 공기방울에도 크게 영향 받는 첨단 반도체 분야의 오랜 … 더 보기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물방울이 공기방울 형성하는 원리 밝혀내 (2012.11.19)" 2013-01-14930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커피 얼룩은 왜 동그란 띠 모양으로 남을까?“POSTECH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커피를 마시다 옷이나 책상에 흘리면, 동그란 띠 모양의 얼룩이 남는다.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이 현상은 전자소자나 생체소자를 만드는 최첨단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도 흔히 일어난다. ‘커피 얼룩 효과’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고품질 소자 제작에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POSTECH 신소재공학과 원병묵 … 더 보기 "[보도자료] POSTECH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커피 얼룩 원인 규명" 2013-01-141,277 연구성과 POSTECH 연구팀, 정상적 신경신호 전달 가능 메커니즘 풀어 (2012.12.26) “지난 크리스마스의 추억”, ‘뉴로리긴’과 ‘글루탐산’이 좌우한다POSTECH 연구팀, 정상적 신경신호 전달 가능 메커니즘 풀어 우리 뇌는 과연 어떤 작용을 통해 ‘즐거운 혹은 괴로운 추억’을 기억하는 것일까?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던 이 질문에 POSTECH-스위스 바젤대학 공동연구팀은 ‘뉴로리긴’과 ‘NMDA타입 글루탐산 수용체’*1가 바로 그 해답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POSTECH 생명과학과 김정훈 교수․권오빈 박사, 스위스 바젤대학 공동연구팀은 신경 세포간의 … 더 보기 "POSTECH 연구팀, 정상적 신경신호 전달 가능 메커니즘 풀어 (2012.12.26)" 2013-01-1489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