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BRIC 보도자료] 연구자가 선정한 바이오분야 올해의 키워드는 “에볼라, 기초연구비, 나고야의정서” BRIC ‘2014 국내 바이오 성과∙뉴스 Top 5’s’ 발표 POSTECH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브릭, http://bric.postech.ac.kr)는 생명과학관련 연구자들이 선정한 ‘2014년도 국내 5대 바이오 성과∙뉴스(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 5’s)’를 1 2014-12-181,713 연구성과 POSTECH, 홍합접착단백질이 “골이식재 붙이는 본드”로 차형준 교수팀, 홍합접착단백질로 골형성 유도 바인더 활용 기술 개발 아무리 센 파도가 쳐도 홍합이 바위에 끄덕없이 붙어 있을 수 있는 비결은 그만큼 강한 접착력을 가진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을 상처를 꿰매지 않고 피부나 몸 속 장기를 붙이는 생체접착제나 지혈제 등에 활용하는 연구가 계속되는 가운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과 고려대 안암병원 공동연구진에 의해 임플란트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 더 보기 "POSTECH, 홍합접착단백질이 “골이식재 붙이는 본드”로" 2014-12-181,308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이상준 교수,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선임 첨단 유동가시화기술 개발과 실험유체역학분야 기여 공로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가 미국물리학회(APS. American Physics Society) 최고 영예인 석학회원(Fellow)에 선임됐다. 이 교수는 유체흐름의 전체 속도장을 순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X-ray PIV, 홀로그래픽 PIV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 유동 2014-12-151,165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이시우교수, ‘소자재료공정개론’ 출간 POSTECH 화학공학과 이시우 교수는 고체 상태의 기본원리를 다룬 <재료과학과 공학>에 이어 공정기술을 다룬 <소자재료공정개론>을 출간했다. 이 책은 화학공학 뿐만 아니라 화학, 전자, 기계, 재료공학과 물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융합기술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든 하드웨어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공정을 통해 상품화된다. 2014-12-121,153 대학소식 [보도자료]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2014 미래전략포럼 개최 9일 포스코국제관서…‘21세기 미래리더는 어떻게 배출되는가?’ 한국사회에서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포스코와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을 설립하고 이들을 각각 세계적인 철강기업과 대학으로 성장시킨 고 박태준POSTECH설립이사장의 리더십이 재조명되는 가운데21세기를 이끌 새로운 리더십을 모색하는 포럼이 열렸다. 2014-12-09910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정우성 교수, 미래준비위원회 위원선임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정우성 교수가 미래 사회를 전망하기 위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미래준비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한국이 당면할 미래 사회를 종합적으로 전망해 주요 이슈들을 발굴해내기 위해 민간 전문가들을 모아 ‘미래준비위원회’를 구성,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8일 2014-12-081,347 대학소식 [보도자료] 퀄컴, 미래 혁신 이끌 POSTECH 인재에 “투자” 퀄컴, POSTECH서 ‘퀄컴 이노베이션 어워드’ 개최 첨단 디지털 무선통신 기술, 제품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퀄컴의 자회사 퀄컴 테크놀로지 Inc.(Qualcomm Technologies Inc.)가 미래 무선 통신과 모바일 혁신을 이끌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인재들의 연구에 ‘투자’한다. POSTE 2014-12-041,015 연구성과 “나노선으로 인쇄용 유기태양전지 효율 향상의 ‘길’ 열려” POSTECH 조길원 교수팀, 반도체 고분자 나노선을 이용하여 고성능 유기태양전지 개발에 성공 종이처럼 가볍고 유연한 차세대 에너지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는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고분자 반도체 잉크의 인쇄공정을 통해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58), 이재원 박사(32), 조새벽 박사(27) 연구팀은 유기태양전지용 반도체 고분자가 코팅과정에서 나노선 형태로 자기조립 되는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응용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 더 보기 "“나노선으로 인쇄용 유기태양전지 효율 향상의 ‘길’ 열려”" 2014-12-01760 연구성과 POSTECH, ‘사다리’로 효율 높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작 성공 화공 박태호 교수팀, 전자전달․염료재생성우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개발 페인트를 바르듯 유리창에 염료를 바르는 것만으로도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태양전지로 주목받아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따로 충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움직이는 스마트워치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자 전달이나 염료 재생성 면에서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한 이 기술을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전자 … 더 보기 "POSTECH, ‘사다리’로 효율 높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작 성공" 2014-12-01895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사다리’로 효율 높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작 성공 화공 박태호 교수팀, 전자전달․염료재생성우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개발 페인트를 바르듯 유리창에 염료를 바르는 것만으로도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태양전지로 주목받아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따로 충전하지 않아도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움직이는 스마트워치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자 전달이나 염료 재생성 면에서 아직 2014-12-011,25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