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4주 단기 앱 개발 과정 ‘Apple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앱 개발 과정을 통해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높이는 단기 집중 교육] [2월 18일까지 참여자 모집,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는 코딩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4주 단기 앱 개발 교육 과정인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이면 학력, 경력, 성별에 2025-02-1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수학 박지훈 교수, 대한수학회 논문상 수상 수학과 박지훈 교수(47)가 대한수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2017년 미국수학회록(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에서 3차원 파노(Fano) 초곡면에 관한 90년대의 가설에 대한 증명을 117쪽의 논문으로 발표, 다양한 파노 다양체 증명에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서울대에서 2017-05-191,523 연구성과 물리 김범준 교수팀, 우주 탄생의 비밀 밝힐 힉스 입자, 응집 물질에서 찾았다 [세계 최초로 이차원 양자 자석에서 힉스 입자의 붕괴 과정 관측] 힉스 입자는 신이 모든 생명체에게 생명을 부여하듯 소립자에 질량을 부여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소립자는 힉스 입자의 붕괴를 통해 질량을 갖는다. 때문에 힉스 입자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붕괴 과정의 규명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우주 기원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2017-05-182,743 연구성과 POSTECH, 버려지는 폐열 이용한 발전시스템 상용화 나선다 [미래부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융합 컨소시엄’ 선정 2년간 총액 89억원 투입] POSTECH은 철강산업, 열병합발전, 열화학공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친환경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ICT융합 미이용 에너지 열전발전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열전발전’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기술로 2017-05-162,742 대학소식 신소재 이병주․조문호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서 학술상 수상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가 지난 4월 27일 대한금속․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학회 최고의 영예인 ‘POSCO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교수는 전산소재․공정설계 분야에서 탁월하고 독창적인 연구로 새로운 연구기법을 개발하고, 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등 대한민국 금속 및 재료분야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신소재공학과 조문호 교수도 이 학술 2017-05-11919 대학소식 산경 김기훈씨, 국제학술대회 최우수학생논문상 수상 산업경영공학과 통합과정에 재학 중인 김기훈씨(지도교수 김광재)가 최근 중국에서 열린 ‘국제시스템엔지니어링 ・ 경영학술대회(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on Syste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Science 2017, IRC-SEMS 2017)’에서 최우수학생논문상을 수상했다. 김 씨는 ‘ 2017-05-11858 대학소식 POSTECH, “과학, 재미있게 즐겨요” 5월 12일 POSTECH 캠퍼스서 Science & Engineering Festival 개최 재학생들 나서 과학 체험프로그램 마련 어렵고 멀게만 느껴지는 과학과 공학을 더욱더 재미있고 가깝게 즐길 수 있는 과학 축제가 POSTECH에서 열렸다. POSTECH은 5월 12일 이 대학 국제관과 학생회관, 지곡회관 일대에서 초․중․고생, 일반인을 위한 2017-05-081,000 대학소식 화공 김동표 교수, 대한화학회 학술상 수상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가 대한화학회 학술상을 받았다. 대한화학회 학술상은 매년 화학분야 및 화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김 교수는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작 및 합성공정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서, 마이크로 반응기 소자 및 응용화학분야에서의 탁월한 연구 성과를 높이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미국 템플대학교(Temple Universit 2017-04-27879 대학소식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 세계 최대 규모 국제광자공학회 ‘신진과학자상’ 수상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가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적인 학술단체인 국제광자공학회(SPIE)에서 수여하는 2017년 신진과학자상(DCS Rising Researchers)을 수상했다.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14년 POSTECH에 부임한 노 교수는 ‘투명망토’ 물질로도 잘 알려진 첨단 신소재 메타물질을 활용 2017-04-2697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한 땀 한 땀’ 만들던 하이퍼렌즈, 대량생산이 눈 앞에 보인다! [초고해상도 광학현미경 실용화 공정 개발]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을 함께하는 미생물부터 투명망토와 같은 꿈의 기술을 현실로 만드는 나노물질까지. 작디작은 미세물체들은 인간의 눈엔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중요한 존재들이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이런 물체들을 수천~수백만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게 되면서 더욱 더 작은 세상을 들여다보려는 연구자들의 시도는 2017-04-251,633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열대지역 넓어지는 이유는 ‘인간 탓’ 첫 발견 [인간 활동에 의한 해들리순환 확대 밝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속 생태계는 지구 전역의 대기의 순환에 따라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급격한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혼란은 물론, 우리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구의 대기 대순환을 주도하고 있는 ‘해들리순환(Hadley cell)’이 확대되면서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동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변 2017-04-241,03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