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IT융합/기계/전자/융합 박성민 교수팀, 정전기가 생체 이식 기기 ‘수명’ 바꾼다 [POSTECH·연세대 연구팀, 안전하면서도 오래 가는 고효율 생체 이식형 기기 개발]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통한 의료 기술 혁신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특히, 심장이나 뇌 등 몸속에 이식하는 전자기기는 생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해 파킨슨병 등 난치병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한 번 이식한 전자기 2023-12-05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이기택·김자명 교수팀, ‘물먹는 하마’처럼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기택·김자명 교수팀, 북동중국해 해역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기작 밝혀] [“여름엔 식물 플랑크톤, 겨울엔 매서운 바람이 이산화탄소 줄여”] 자취생의 천적인 습기. 특히 장마철과 같이 습한 날씨에는 옷장에 꿉꿉한 냄새가 진동하기 마련이다. 이때 ‘물 먹는 하마’를 넣어두면 한층 상쾌하게 옷장을 관리할 수 있다. ‘물 먹는 하마’가 습기를 흡수하듯이, 2022-07-1267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도장 찍듯이’ 한 번에 세계 최고 효율의 메타 홀로그램 찍어낸다 [노준석 교수팀, “원스텝 프린팅 공정으로 쉽고 빠르게 메타 홀로그램 제작”] 최근 ‘맘마미아’ 노래로 유명한 가수 ‘아바(ABBA)’가 40년의 공백을 깨고 홀로그램 콘서트를 연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무대에는 1970년대 모습을 재현한 홀로그램 아바타가 등장해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처럼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불러낼 수 있는 홀 2022-07-05714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면역 항암치료의 효과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인공지능을 이용해 면역 항암치료법에 효과를 볼 환자 예측하는 정밀 의료 기술 개발] 면역항암요법(Cancer immunotherapy)은 화학치료나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고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암세포와 싸우게 하는 새로운 암 치료법이다.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세포만 공격하기 때문에, 기존 항암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다. 그리고 면역시스템의 기 2022-06-30672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1,222 연구성과 전자·반도체 정윤영 교수팀, 범퍼카처럼 ‘쾅’ 부딪혀 메모리 성능 높인다 [정윤영 교수팀, 의도적으로 결함 만들어 데이터 저장량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멀티 데이터 구현… 고성능 인공지능 반도체로 활용 가능”]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범퍼카. 이곳저곳을 시원하게 질주하는 것도 즐겁지만 주변 사람과 일부러 ‘쾅’ 부딪히면서 스트레스를 풀 수도 있다. 이러한 범퍼카처럼 입자를 의도적으로 충돌시켜 플 2022-06-2177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으로 흉터 없이 피부 되살린다 [차형준 교수팀,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무(無)봉합 피부 이식용 의료접착제 개발] [두 가지 약물로 피부 재생효과 ‘극대화’] 피부 이식술을 할 때 환자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수술 후 남는 흉터와 이식된 피부의 재생이다. 피부 이식술을 주도하는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 후 흉터의 깊이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봉합 부위의 상처가 회복되는 데만 한 달이 넘 2022-06-16988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파이프라인도 ‘카멜레온’처럼 색깔 바꾼다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온도에 따라 색깔 바뀌는 고체 산화물 개발] [“300℃의 고온에서도 변형 無…산업 적용 가능성 ↑”] 뜨거운 커피가 담긴 머그컵에 무심코 손을 댔다가 황급히 뗀 경험이 한 번쯤 있기 마련이다. 온도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색깔이 바뀌는 컵을 사용하면,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컵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컵뿐만 아니라 산 2022-06-14874 연구성과 기계 이승철 교수,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KRISS‧포스텍 공동연구팀, 물리 이론 학습하는 AI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음향‧소음‧진동 실시간 감지 및 최적화 가능해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트윈에 활용 전망]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포항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음향 물리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 2022-06-13804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이슬을 톡’…물방울로 전기 만든다 [POSTECH·경희대·안동대 공동연구팀, 연잎 모사한 물방울 기반 발전기 개발] [물방울 기반 발전기 중 최고 효율(13.7%) 달성…6µL 빗방울로도 작동] 여름이 되면 더욱 생각나는 강과 바다. 우리에게 시원한 풍경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는 ‘착한’ 에너지원이다. 그동안 전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선 이처럼 대량의 물 2022-06-13650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두근두근’ 뛰는 손가락 혈관 본다 [POSTECH·삼성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광혈류측정기·광음향현미경 결합 시스템 개발] [“맥파 신호 변화에 따른 혈관 이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손목에 차기만 해도 우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알려주는 스마트워치. 이 스마트워치는 빛을 이용해 측정한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알려준다. 이때 심박수의 변화는 수치로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2022-06-0950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