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보도자료]소재공학 전문가가 인간 노화 예측하는 생존곡선 개발 POSTECH 원병묵·제정호 교수팀, 미래 수명과 고령화 속도 예측 가능한 모델 개발 노화와 기대수명은 전 인류의 중대한 관심사이자 인문학은 물론 이공계 학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의 숙명이다. 우리나라 역시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면서 노화의 속도와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소재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던 재료분야 전공 연구팀이 인간의 노화와 고령화 예측이 가능한 생존곡선 수학모델을 … 더 보기 "[보도자료]소재공학 전문가가 인간 노화 예측하는 생존곡선 개발" 2012-07-121,381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국제IT융합공학 심포지엄 개최 융합공학 선두주자들 한국에 모인다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유비쿼터스 의료(U-Health)와 유비쿼터스 환경(U-Environment)의 세계적 석학들이 한국에 모인다. POSTECH WCU 정보전자융합공학부(ITCE, 주임교수 홍원기)는 12일부터 13일까지 양일간 KT종합기술원과 공동으로 KT종합기술원에서 ‘제 4회 국제IT융합공학 심포지엄(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T Convergence Engineering)’을 개최한다. 올해로 4번째를 맞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Smart ICT △Bio-Nano Covergence △Smart Healthcare △Smart Green 등 4개 분야에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국제IT융합공학 심포지엄 개최" 2012-07-111,171 대학소식 [보도자료]’감동’과 함께하는 학과모임 "화제" 산악인 허영호 특강․하우스콘서트로 꾸며 ‘음주가무’로 대표되는 ‘모임’의 틀을 POSTECH이 바꾼다. POSTECH 생명과학과·융합생명공학부·시스템생명공학부가 주관하는 ‘조금 특별한’ 행사가 열려 눈길을 모으고 있다. POSTECH은 생명과학분야 교수와 학생, 연구원, 직원등 모든 구성원이 모여 12일 저녁 5시부터 이 대학 생명공학연구센터 강당에서 ‘포스텍 바이오인의 밤’을 개최한다. 산악인 허영호 대장이 초청되어 ‘도전과 극복-미래를 향한 상상에 도전하자’를 주제로 시련과 한계에 도전하는 인간의 ‘감동’을 … 더 보기 "[보도자료]’감동’과 함께하는 학과모임 "화제"" 2012-07-111,325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교수, 학생 "청출어람" 김대진 교수 논문공헌상․전영수씨 국제합동심포지엄서 최우수상 POSTECH 교수와 학생들이 최근 열린 학술대회에서 잇달아 수상했다. POSTECH 컴퓨터공학과 김대진 교수(54)는 최근 열린 2012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에서 ‘논문공헌상’ 은상을 수상했다. 김 교수는 한국정보과학회가 발간하는 ‘정보과학회논문지’를 통해 우수한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 학계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편, 지난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광주과기원에서 열린 ‘21세기 재료과학과 공학 합동 심포지엄(Joint Symposium on Materials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교수, 학생 "청출어람"" 2012-07-091,399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일주수학학교 개최 보형형식과 정수론주제, 김민형 교수 등 석학들 모여 ‘수학의 여왕’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들이 여름을 맞아 POSTECH에 모인다. POSTECH 포항수학연구소(PMI, 소장 최영주)는 7월 2일부터 6일까지 태광그룹 산하 일주(一洲)학술문화재단과 한국연구재단의 후원을 받아 제6회 POSTECH 일주수학학교를 개최한다. <보형형식과 정수론>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일주수학학교는 국내 외 수학교수들, 박사후 연구원,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물론, 정수론에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참가할 수 있는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일주수학학교 개최" 2012-07-041,228 연구성과 이시우교수팀, 포도당이용 탄소 양자점 소재 합성 기술 개발 (2012.5.14) 포도당이 ‘탄소 양자점’ 산업화 열쇠?! 흔히 구할 수 있는 포도당이 태양전지나 양자 컴퓨터는 물론 조영제(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차세대 소재, 탄소 양자점의 산업화를 이끌 열쇠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화학공학과 이시우 교수·박사과정 권우성씨 팀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기름에 포도당 수용액을 넣어 만든 역마이셀(reverse micelle)*1 형태의 유화액(emulsion)을 통해 균일한 크기의 탄소 양자점 소재를 효율적으로 … 더 보기 "이시우교수팀, 포도당이용 탄소 양자점 소재 합성 기술 개발 (2012.5.14)" 2012-06-071,107 연구성과 전상민 교수팀, 나노기술 이용 조기암진단기술 개발 (2012.5.10) 원스톱으로 조기암 진단하는 ‘겉 다르고 속 다른’ 나노입자 겉과 속이 다른 나노입자가 조기암을 진단해내는 것은 물론, 원스톱으로 여러 암을 한꺼번에 알아낼 수 있는 ‘진단물질’로 개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주진명 연구원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 진동자와 겉은 광촉매 물질, 속은 자기(磁氣) 성질을 띄는 이중 나노입자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ACS … 더 보기 "전상민 교수팀, 나노기술 이용 조기암진단기술 개발 (2012.5.10)" 2012-06-071,085 연구성과 홍석봉 교수팀, 제올라이트 촉매상 메타-자일렌 전환반응 메커니즘 규명 (2012.5.24) ‘가설’ 속 폴리에스테르섬유 원료 제조 메커니즘 첫 규명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페트병, 필름의 원료로 사용되는 파라-자일렌은 메타-자일렌*1의 이성질화 반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석유화학 기초 소재지만, 그 생성 메커니즘이 전적으로 가설에 의존하고 있었다. POSTECH 연구팀이 이런 ‘가설’을 실제로 규명해내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화학공학과·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박사과정 민형기씨 팀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2과 동위원소 치환법을 … 더 보기 "홍석봉 교수팀, 제올라이트 촉매상 메타-자일렌 전환반응 메커니즘 규명 (2012.5.24)" 2012-06-071,478 연구성과 원병묵 교수팀, 연성물질 합체시 위치 결정 원리 발견 (2012.5.29) 연성물질에도 ‘빈익빈 부익부’ 있다 사회적 현상으로 여겨지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연성물질*1의 세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크기가 서로 다른 연성물질이 하나로 합쳐질 때 합체된 물질의 위치는 큰 물질 쪽에 가깝게 놓인다는 원리가 POSTECH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신소재공학과 원병묵 연구교수와 제정호 교수는 대표적인 연성물질인 공기방울과 물방울이 합쳐질 때 합체된 물질의 위치를 측정, 연성물질의 합체 과정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원리를 밝혀내 … 더 보기 "원병묵 교수팀, 연성물질 합체시 위치 결정 원리 발견 (2012.5.29)" 2012-06-072,567 대학소식 [보도자료]원자력 안전성 확보 위해 전세계 과학자 한 자리에 4~5일 원자력 안전과 환경오염 국제워크샵 개최포스텍-원자력 공동 개최․․․세계 10개국 100여명 전문가 참석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성 확보가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의 해결을 위해 세계 각국의 원자력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범세계적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주임교수 김무환)은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과 공동으로 6월 4일과 5일, 포스텍 국제관에서 ‘후쿠시마 이후 원자력 안전과 환경 오염’(Post-Fukushima … 더 보기 "[보도자료]원자력 안전성 확보 위해 전세계 과학자 한 자리에" 2012-06-041,39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711721731741751761771781791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