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준민 교수팀, 무릎 통증을 위한 월동준비 “연골모방조직” 구현 [이준민 교수팀, 줄기세포 둘러싼 PCM-ECM 연골세포로의 분화 조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뼈마디가 시리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월동준비가 시급하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무릎 연골의 미세구조를 그대로 재현한 연골모방조직을 구현하는데 성공함으로 2023-02-0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기계 이승철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의 한계 극복한다 [POSTECH-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미세조직 이미지 초해상화 기술 개발] 최신 8K 프리미엄 TV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초해상화 영상 기술이 재료과학 연구의 필수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 영상에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POSTECH과 한국재료연구원(원장 이정환) 공동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분석장비로부터 얻은 저해상도 전자 2021-07-1441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느 방향이든, 어떤 빛이든 스핀홀 효과 만든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통합과정 김민경씨 연구팀이 최초로 임의 편광 또는 무편광된 입사 빛에서의 광스핀홀 효과를 최초로 검증했다. 이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과학 저널인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Laser and Photonics Reviews)’ 7월호 표지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광스핀홀 효과는 굴절·반사 현상에서 빛이 2021-07-13390 연구성과 기계 박재성 교수팀, 분자 움직임 추적해 ‘나노 입자’ 하나까지 파헤친다 [순차적 조광 및 추적에 의한 세포 밖 소포 분석] 물질과 빛의 상호작용 원리를 바탕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나노미터(nm) 크기 분자들의 브라운 운동을 추적해 관찰하고, 하나하나의 생체 나노 입자가 가진 서로 다른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나노 입자 추적분석법은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나노 입자 정량법으로, 촬영된 영상 속에 있는 2021-07-08533 연구성과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팀, 지구 자기권 ‘분기된 전류 시트’ 현상 원인 규명 [POSTECH-PAL 연구팀, 우주 및 핵융합 플라즈마 연구 광범위한 적용 기대] 지구 자기권과 자기화 플라즈마 물리의 난제 중 하나로 꼽히는 ‘분기된 전류 시트’ 현상의 원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물리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포항가속기연구소 윤영대 박사 공동연구팀이 비평형 상태의 플라즈마 전류 시트*1가 비충돌 평형화하는 과정을 이 2021-07-07639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생물체 내 대사작용에 의한 자율운동은 분자, 단백질, 세포기관 등 모든 규모의 생명활동에서 핵심적인 신호요소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는 자율운동을 통해 더 높은 농도의 포도당을 향해 헤엄쳐 이동하거나 독성 환경으로부터 벗어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러한 생체 내 자 2021-07-0641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창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투명성, 에너지 효율 동시에 잡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태양 빛에 투명한 복사 냉각 소재 개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가 화석연료 소비 줄이기에 나섰다. 우리 정부 역시 작년 12월 7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탄소중립 2021-07-05688 연구성과 환경 홍석봉 교수팀, 세계 촉매시장 판도 바꿀 제올라이트 촉매 합성 성공 [새로운 석유 접촉분해용 제올라이트 촉매 발견] POSTECH 연구팀이 정유·석유화학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올라이트 원천소재를 찾아냈다. 연구결과는 7월 2일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합성전략인 ‘다중무기 양이온 방법’과 ‘전하밀도 비대칭 방법’ 2021-07-021,970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갑상선 암, 이제 인공지능으로 진단한다 [머신러닝 기반 갑상선 결절 다중 매개변수 광음향 분석] 갑상선에 혹이 생기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고,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는 갑성선 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선 암은 치료 예후가 좋아 생존률도 높고, 재발도 적기 때문에 조기진단과 조기 치료가 특히 중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광음향 및 초음파와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해 비침습 검사로 갑상선 결 2021-07-01378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뚜껑 열었다 닫았다 하며 세포 기능 조절하는 나노 구조체 합성 – 화학-효소 구획된 실리카 나노 반응기 설계 – 살아있는 세포 내부 인공 촉매 세포 기관으로…세포 기능 조절 가능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도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희귀 혈전증 같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 때문에 두려움 또한 커지고 있다. 생명 활동은 체내의 물질이나 에너지가 이동하면서 유지되는데, 2021-06-29628 연구성과 전자 이병훈 교수팀, ‘이미지 센서의 눈’ 그래핀으로 밝히다 [그래핀-실리콘 포토디텍터의 광검출능 향상법]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포토센서는 이제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원을 넘어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식 등 생체 인식도 가능해졌다.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해 ‘이미지 센서의 눈’이라고 불리는 광검출기, 즉 포토디텍터는 그만큼 더 정교하고 안정된 인식능력이 요구된다. 간편한 방법으로 포토디텍터의 광검출 능을 높이는 2021-06-281,17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