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장지원 교수, 인간 만능줄기세포 분화의 핵심 기전 규명 [POSTECH-UCSB 공동연구팀,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 막는 분자 장벽 ‘ZBTB12’ 발견] 인간 만능줄기세포는 분화를 통해 다양한 체세포를 만들어낸다. 만능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 활동의 기초원리를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미국 2023-03-2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이형주 교수팀, 인공위성은 알고 있다…“이산화질소 배출”의 숨은 범인 [이형주 교수팀, 유럽인공위성 통해 이산화질소 노출 평가] [“고층 아파트 밀집단지도 주요 배출원…대기환경정책 반영 필요”] 이산화질소는 초미세먼지와 오존의 원료 물질이자, 대표적인 대기 오염 물질 중 하나다. 이 물질은 주로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유럽우주국 위성 자료 분석을 통해 2023-03-0889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여름 같은 가을, 일상화 되나? [민승기 교수팀, 2021년 10월 전례 없는 한반도 이상고온 원인 규명] 2021년 10월에 대한민국에 전례 없는 이상고온이 발생했다. 10월 상반기 (10월 1일~15일) 평균 기온은 19.9°C로 예년 평균보다 3.9°C나 높았으며 이는 수천 년에 한번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였다. 한여름 폭염을 일으키는 기압계 패턴이 뒤늦게 나타나면서 남 2023-03-0761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흡연과 안구질환 인과관계 밝힐 “인공 눈” 개발 [조동우·장진아 교수팀,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프린팅 기술 이용해 망막색소상피 모델 개발 및 흡연 영향 분석] 흡연이 인체와 눈 건강에 해롭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통계적으로도 흡연자들에게 안구질환 발생 비율이 높다. 하지만 그 인과관계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인공 눈’을 개발해 2023-03-06128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단백질로 줄기세포는 붙잡고, 뼈 재생은 빠르게 [POSTECH-경북대-고려대 안암병원 공동연구팀, 골 유도 재생술 효과 극대화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코팅 개발] 성공적인 치과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임플란트 주변 치주조직의 상태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주변에 충분하고 건강한 치조골의 존재는 필수적이다. 치조골이 부족하여 임플란 2023-03-05108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머신러닝으로 나노보다 작은 세상 정확하고 빠르게 본다 [POSTECH-연세대, 주사투과전자현미경 원자구조영상 해석기술 개발] 조류독감,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과 인간이 싸워나갈 수 있는 것은 바로 미생물의 구조를 살필 수 있는 “눈”이 있기 때문이다. 안토니 레벤후크가 17세기 처음 미생물을 단식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래, 지금까지 인간은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을 관찰하고 다양한 생존 방법을 발견해왔다. 최근에 2023-03-03118 연구성과 IT융합 박성민 교수팀, 방광 관찰하는 초유연 하이드로젤 센서 개발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초유연 하이드로젤 기반 이식형 센서 및 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현대인의 내장이 예민해지고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나 과민성방광증후군과 같이 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도 갑작스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는 것도 이런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KAIS 2023-03-0212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광결정 연구의 기초 계산 프로그램 개발 [노준석 교수팀, 결합 쌍극자 모델 기반의 광밴드 구조 계산 프로그램(CDPDS) 개발·배포]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로운 광전자 소자 개발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최근 차세대 고집적화를 구현하고자 미시적 공간에서 광자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소재, 즉 광결정(Photonic crystal)이 기존 광소 2023-03-01153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악어가죽처럼 신축성 있는 전자피부 기대! [POSTECH-울산대 연구팀, 악어 피부의 감각 기관 모사해 높은 신축성 지니는 압력센서 개발] 재활치료나 헬스케어, 의족·의수, 로봇 등에는 다양한 감각 감지가 가능한 전자피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축성을 가진 압력센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최근 POSTECH과 울산대학교 공동 연구진이 악어의 피부를 모사하여 신축성이 높은 압력센서를 개발하는 데 2023-02-28101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유방암 탐지 위한 ‘인공지능’ 초음파 나온다 [김철홍 교수팀, B-모드 및 초음파 변형탄성 영상 이용한 딥러닝 기반 다중 모달 융합 네트워크 개발] 유방암은 부동의 여성암 1위일 뿐만 아니라 6대 암 중 유일하게 20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생존할 확률이 높지만 3기 중반부터는 생존율이 75% 이하로 급격히 낮아지는 만큼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 2023-02-2788 연구성과 IT융합 박성민 교수팀, 약물에 반응없는 ‘난치성 뇌전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뇌심부자극술 개발 [박성민 교수-삼성서울병원 손영민 교수팀, 순차적 협장 전기장 기반의 난치성 뇌전증 조절용 혁신적 뇌심부자극 기술 선보여] 뇌전증은 반복적인 발작을 일으키는 만성적인 뇌 장애로 과거 ‘간질’로 알려졌던 질환이다. 뇌전증 환자의 약 30% 정도는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고, 이를 ‘난치성 뇌전증’이라 한다. 난치성 뇌전증은 발작병소를 제거하는 뇌절제술을 통해서 2023-02-2660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