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준민 교수팀, 무릎 통증을 위한 월동준비 “연골모방조직” 구현 [이준민 교수팀, 줄기세포 둘러싼 PCM-ECM 연골세포로의 분화 조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뼈마디가 시리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월동준비가 시급하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무릎 연골의 미세구조를 그대로 재현한 연골모방조직을 구현하는데 성공함으로 2023-02-0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당뇨 피부질환, 직접 겪지 않고 눈으로 본다 [3D 세포 프린팅 기반 당뇨성 인공 피부 개발] 인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피부는 몸에서 가장 크고 넓은 기관이다. 뿐만 아니라 장기나 생리 활동의 변화를 가장 먼저 보여주는 기관이기도 하다. 특히, 당뇨병 환자가 피부질환이나 피부 감염을 앓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 POSTECH 연구팀이 당뇨 환자의 피부질환을 살펴볼 수 있는 3D 인공 피부를 만드는 2021-04-14602 연구성과 기계 김준원 교수-화공 차형준 교수 공동연구팀, 뇌동맥류, 새로운 방법으로 치료한다 [구조 강화된 광가교성 생체친화 소재를 미세섬유 형태로 활용한 신개념 뇌동맥류 치료법 개발]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에 이상이 생겨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병이다. 뇌 속 혈관이 터지게 되면 약 30%가 그 자리에서 죽기도 해 ‘머릿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린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혈관 내에서 동맥류를 새로운 방법으로 채워서 시한폭탄을 해체할 수 2021-04-1366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영기 교수 공동연구팀, 가스누출 잡는 웨어러블 센서 나온다 [즉각적인 홀로그램 알람 신호를 보여주는 웨어러블 가스센서 개발] 공장 유독가스 유출, 보일러 일산화탄소 유출 또는 맨홀 청소 도중 유독가스 질식사와 같은 가스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유독가스나 생화학 물질을 빠르게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 것은 공중 보건, 환경 모니터링, 군사 분야에서도 여전히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최 2021-04-08698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강력한 홍합접착단백질로 손상된 조직에 혈관 형성한다 – 생체 혈관 형성 과정 모사한 약물전달 접착패치 개발 – 원하는 곳에, 원하는 모양으로 … 심근경색, 중증 피부손실 재생에도 적용 가능 혈관은 우리 몸에서 각 기관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혈관이 심근경색이나 허혈성 중증 질환으로 한번 손상이 되면 다시 복원하기는 어렵다. 혈관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2021-04-0666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100nm급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 개발 [POSTECH-서울대 연구팀 Nature지 발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은 서울대학교 최만수 교수팀과 공동으로 100 나노미터 수준의 3차원 나노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을 Nature지에 온라인으로 게재했다. 기존의 3차원 프린팅 기술로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 이하의 3차원 구조물 제작이 어렵지만, 연구팀이 개 2021-04-021,46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쉿! 땅속 진동도, 물속 소리도 사라져요!” [지진파 인공 제어…수중 스텔스 기술로도 활용 가능] 빛의 굴절 방향을 조절하거나 흡수해 모습을 감출 수 있는 투명망토를 실현케하는 메타물질이 알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POSTECH에서 음향파나 지진파까지 조절할 수 있는 메타표면을 설계했다. 이는 음파탐지기로도 추적할 수 없는 잠수함을 만들거나, 지진을 회피하는데 활용될 수 있어 관심 2021-03-29553 연구성과 신소재 정성준 교수-생명 유주연 교수 공동연구팀, 몸 밖에서 숨 쉬는 “인공 폐” 최초 개발 [인공 폐 모델 개발…호흡기 감염병 치료 플랫폼 활용 可] 한층 따뜻해진 기온과 봉우리를 띄우는 봄꽃으로 봄기운이 느껴진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때문에 호흡기 질환에 대한 걱정도 많아지고 있다. 호흡에 관여하는 폐는 복잡한 구조와 얇은 두께 때문에 실험용 인공 폐를 만들기 어려웠으나,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 2021-03-22744 연구성과 화학 김덕영 교수-심지훈 교수팀, 지구 깊숙한 곳에는 양성자 강이 흐른다 [POSTECH-HPSTAR 연구팀, 지구 하부 맨틀 조건에서 철 수산화물의 초이온 상태 확인] 해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얼음 행성들의 깊은 내부는 고온과 고압의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얼음은 초이온 상태로 고체 구조의 산소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양성자로 구성되어, 행성 내부의 구조와 자기장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 2021-03-17756 연구성과 포항가속기연구소, 미시세계 탐험할,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 “밝혔다”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소장 고인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선형)의 셀프시딩(Self-Seeding)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류 사상 최고 밝기의 빛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광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3월 15일자(현지시간)로 게재됐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후 PAL-XFEL)는 2021-03-16696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장기에 생긴 구멍, 홍합으로 메운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홍합수중접착제 활용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 제시] 최근 국내 연구팀이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소변에 노출된 상황에서도 장기에 생긴 누공(瘻孔)을 효과적으로 꿰맬 수 있는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을 개발했다.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김효정 박사(현, 한국화학연구원), 박태윤 박사 연구팀은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 2021-03-1585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