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2025-01-1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찰나의 빛, 얼음과 물의 미스터리 풀어내” [김경환 교수팀,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 이용 얼음-물 변화 과정 최초 관찰] 얼음이 녹거나 물이 얼어붙는 현상은 자연계에서 매우 기본적이며 중요한 현상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찰나의 순간에 진행되는 이 현상을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동안 상전이 메커니즘 대부분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찰 2023-06-22610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불임과 난임을 해결할 희망의 하이드로젤 [POSTECH·차의과학대 공동 연구팀, 자궁 내막 재생을 위한 하이드로젤 개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불임과 난임으로 병원을 찾는 인원이 37만 명을 넘었으며, 2018년 대비 불임과 난임 시술 건수가 각각 4.7%, 16% 늘어났다. 출산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임과 난임으로 병원을 찾는 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2023-06-19469 연구성과 화공/철강·에너지 김원배 교수팀, 정체된 배터리 용량과 급속 충전의 한계, ‘스핀’으로 돌파하다 [김원배 교수팀,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재의 전자 스핀을 이용하여 용량과 충전 속도 향상] 보통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약 10시간 정도 걸리며, 급속으로 충전하더라도 최소 30분이 소요된다. 그마저도 충전소에 내 차를 충전할 자리가 있을 때 가능한 얘기다. 만약 일반 자동차에 주유하듯 전기차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면 전기차 충전소 부족 현상 해소에 도움이 2023-06-14392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촉매의 효율을 높여라! [이인수 교수 · 손창윤 교수 연구팀,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 가공 공정 제어 성공] 최근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실온에서 매우 안정적인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때 에너지 장벽을 넘어 이산화탄소가 유용한 물질로 환원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2023-06-12615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북극 해빙 소멸 D-10년” 카운트 다운이 시작됐다 [민승기 교수 연구팀, 현 온실가스 배출량 유지 시 2030년대 북극 해빙 소멸 예측] 현재 수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유지된다면 2030년대에 북극 해빙*1이 소멸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더라도 2050년대에는 해빙이 모두 사라진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이는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 2023-06-1276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눈으로 볼 수 없는 영역에서도…?” ‘메타’로 또 한 번 한계를 넘다 [노준석 연구팀, 가시광선-자외선 동시 사용 가능한 가변형 메타 홀로그램 구현] ‘메타(meta)’란 ‘더 높은’, ‘초월하는’이라는 뜻으로 메타물질(meta-material)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도록 인위적으로 설계된 물질을 말한다. 메타물질로 만든 메타표면은 매우 가볍고 얇아 휴대용 AR · VR기기에 접목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소재로 2023-06-05484 연구성과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57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기를 기회로!“ 전화위복의 물리학 [POSTECH·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 ‘빛’은 아주 민감하고 취약하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튕겨져 나올 수 있고, 열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빛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光) 손실’이라고 2023-05-22594 연구성과 화공·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 “해조류+가시광선=인공배양육 잉크?” [차형준 교수팀, 해조류 활용 고해상도 바이오잉크 개발] 몇 년 전, 프랑스의 한 일간지에서 ‘지구를 위해 해조류를 요리하는 한국’이라는 기사를 보도한 적이 있었다. 물컹거리는 식감 탓에 서양인들이 거의 먹지 않는 해조류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육류 생산과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낮아 단순히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2023-05-17580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주상전하 납시오!” 전하의 움직임에 주목하라 [박태호 교수 연구팀, 고전도율 고안정성 기반 정공 수송체 개발] 태양전지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발전방식이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1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유연한 소재에 적용할 수 있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은 전하를 이동시키는 정공수송체*2에 의해 좌우된다. 2023-05-1174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