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김경태 교수팀, 대사질환 잡는 단백질, 치매도 잡는다? [POSTECH-노브메타파마 공동연구팀, 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몇 해 전 방영했던 인기 드라마 ‘눈이 부시게’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주인공이 등장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치 2022-08-1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KB국민은행, 디지털혁신 연구센터 문열어 POSTECH이 6월 23일 POSTECH 공학4동에서 ‘디지털혁신 연구센터’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 POSTECH은 KB국민은행과 손잡고 핀테크(Fintech) 분야 연구개발 협업, 공동연구 및 고급인력 교류를 통해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디지털혁신 연구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이날 현판식에는 김무환 총장, 박준원 부총장, 장봉규 2021-06-23335 대학소식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 ‘메디포스트 신진과학자상’ 수상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가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에서 수여하는 ‘메디포스트 신진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조직공학재생의학 분야에 있어 탁월한 연구업적을 나타낸 연구장 중 45세 이하 신진과학자의 연구역량 고취를 위해 마련된 상이다. 장진아 교수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H-지수(H-index)와 최근 5년간 논문실적을 바 2021-06-22511 연구성과 환경 이기택 교수팀, “해양 탄산칼슘 증가하면 탄소흡수력 복원된다” [POSTECH-美해양대기청…해양 탄산칼슘이 탄소흡수력에 미치는 영향 밝혀] 대기와 맞닿은 해양 표층(euphotic zone)에서 서식하는 미생물(pteropods, foraminifera and coccolithophores)의 탄산칼슘 형성 과정은 해양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한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2021-06-21418 연구성과 기계 이승철 교수-KRISS 공동연구팀, “살려주세요” 산속 조난 위치 소리로 찾는다 – 실시간 음원 위치 추적기술 개발 – 소리 위치‧크기를 실시간으로 파악,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도 향상 국내 연구진이 소리가 나는 곳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하며, 연산시간은 10분의 1 수준이다. 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팀은 2021-06-18464 연구성과 화학 이은성 교수팀, 120년 유기 라디칼 역사를 새롭게 쓰다 [생체 내 안정한 첫 유기 라디칼 개발] 라디칼은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 분해되지 않고 다른 분자로 이동하는 원자의 무리로, 짝지어지지 않은 홀전자를 가진 원자나 분자를 말한다. 전자가 짝지어지지 않았기에 매우 불안정하여 반응성이 큰 특징이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유기 라디칼을 개발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라디칼은 생체 2021-06-18459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수소에너지로 지구 온도 상승 막아라 [수성가스 전환 위한 니켈-페로브스카이트 촉매 개발] 산업혁명 이후 과도한 탄소 사용으로 인해 지구 온난화로 폭염, 폭설, 태풍, 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를 초과하면, 인간을 비롯한 생태계가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구 온도 상승을 1.5 ℃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 2021-06-16701 연구성과 생명 임신혁 교수-이뮤노바이옴㈜ 공동 연구팀, 난치성 과민 면역질환의 발병과 진행 멈춘다 [POSTECH 공동연구팀, 효모에서 찾은 특정 구조 다당체의 염증성 질환 발병 억제 및 치료 효과 동물모델에서 확인] 난치성 과민 면역 질환인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1과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경화증*2의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생명과학과 연구팀, 이뮤노바이옴㈜ 공동 연구팀이 효모로부터 추출한 다당체 혼합 2021-06-151,430 연구성과 산경 정우성 교수 공동연구팀, 경제 발전할수록, 도심 녹지가 시민 행복에 직결 – IBS-POSTECH, 10m 공간해상도 위성 이미지로 세계 60개국 도시 환경 분석 – 빅데이터로 분석한 행복의 원천 …“녹색 도시에 살수록 더 행복” 경제가 발전한 도시일수록 도심 속 녹지 공간이 시민의 행복에 큰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차미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2021-06-11356 연구성과 생명 황인환 교수 공동연구팀, 면역증강제 필요 없는 조류독감 백신 나온다 [POSTECH 황인환 교수 外, 식물 생산 재조합 단백질 이용한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닭이나 오리, 철새와 같은 가금류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인 조류독감이 사람에게도 전염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중국, 유럽 등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철새를 따라 전파되기 때문에 통제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한번 전파되면 급속도로 2021-06-101,448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상처난 눈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시킨다 [POSTECH-동아의대 공동연구팀, 광가교 홍합접착제 활용 혁신적인 안구 표면 재건 기술 제시] 눈은 가장 먼저 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감각기관이다. 눈을 구성하는 결막(conjunctiva)은 안구의 전반부를 감싸고 있는 얇은 점막인데, 점액과 눈물을 분비하여 눈의 윤활과 함께 미생물의 침입을 막아 안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외 2021-06-0951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