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김경태 교수팀, 대사질환 잡는 단백질, 치매도 잡는다? [POSTECH-노브메타파마 공동연구팀, 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몇 해 전 방영했던 인기 드라마 ‘눈이 부시게’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주인공이 등장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치 2022-08-10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소리가 조절하는 화학반응, 눈으로 관찰 [소리로 분자 거동 제어 … 소리를 화학반응에 접목한 첫 연구] 일부 농가에서는 식물에게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농법’을 쓴다. 음파가 세포벽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광합성 등 대사를 증진시키는 원리이다. 식물의 생장뿐 아니라 가축의 사육, 질병 치료 등에도 소리가 폭넓게 사용된다. 하지만 소리는 에너지가 낮아 화학반응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정 2020-08-111,437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독기 빠진’ 황 촉매 있다?! [독성 없는 연료전지용 니켈 기반 합금 촉매 설계]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이하 SOFC)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연료를 공기와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발생시키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다른 발전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며, 태양열이나 풍력 발전보다 공간 효율성도 높다. 하지만 SOFC는 수소와 탄 2020-08-06525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밀도 높여야 오래 간다 [양이온 상호 확산을 통한 극대화된 산소 이온 반응을 가지는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 개발]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연료탱크인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좌우된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만, 장거리 이동을 고려한다면 전기차 구매를 꺼리게 된다. POSTEC 2020-08-031,220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독성 없고, 효율 높은 태양전지 소재 개발 [비독성 육면체·육팔면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광학 소재는 뛰어난 광학 성질을 가지고 있어 LED, 태양전지, 자외선 또는 방사선 검출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에 해로운 납(Pb) 이온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독성이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 상용화의 걸림돌이 됐다. 최근 납 성분이 없이, 효율은 2020-07-30763 연구성과 POSTECH 연구팀, 표면 오염 및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코팅 기술 개발 [광학용 센서를 위한 초발수성 김 서림 방지 코팅 기술 개발] 최근 미래 자동차가 큰 관심을 받으면서, 자율주행차 또한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을 위해선 전방 사물 인식 센서인 ‘라이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가 자동차의 눈 역할로써 매우 중요하다. 라이다 LiDAR는 주행 경로뿐만 아니라 전방에 위 2020-07-29771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생체 내 화학반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나노촉매” 개발 [자기장 유도 발열 ‘속 빈 나노반응기’ 개발] 우리 몸속의 다양한 생체반응에서 촉매반응을 담당하는 효소들은, 특정 분자에 한정된 반응이나 낮은 안정성 등 약점 때문에 다양한 진단 및 치료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소의 특성을 보완하거나 생체 내에서 효소와 만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인공촉매를 이용한다면, 질병 2020-07-281,534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미지의 신소재’ 합성하는 비밀 밝히다 [원자구조 이미징을 통해 물질 합성의 근원 밝혀] 반도체나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재를 먼저 찾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를 관찰해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소재 이미징’을 통해서 신소재가 발굴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소재 이미징 기술을 통해 품질이 뛰어난 신소재 합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최 2020-07-271,357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팀, 딥러닝 이용해 ‘2D를 3D홀로그램으로’ 간단하게 변환한다 – 백색광을 사용한 딥러닝 기반 홀로그래피 기법 개발 – 현미경에 값비싼 장비 추가 없이 2D 광학영상을 3D 홀로그램으로 본다 기존의 광학현미경(bright—field microscopy) 기법에서는 염색 과정을 포함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잘 보이지 않는 세포들을 관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오염되어 생물리학적 특성이 2020-07-23668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암 ‘표적 단백질’만 노리는 ‘암살자’ 분해제 – N-데그론 경로 이용해 단백질 분해제 개발 – 세포 종류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백질 분해…다양한 암 발생 및 전이 방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는 날아가면서도 표적을 이리저리 끝까지 추적해 표적을 정확히 명중시킨다고 해서 마법의 탄환이라 불리는 ‘스마트 탄환’을 만들었다. 이 탄환은 표적이 이동하거나, 모래바람이 불어도 2020-07-221,066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분자 끈끈이 원리를 이용한 고순도 고효율 항바이러스, 항암 단백질 의약품 정제 기술 개발 [바이러스 잡는 ‘분자 끈끈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 추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백신 개발만이 코로나19 종식의 근원적 해결책으로 꼽힌다. 하지만 어렵게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잘 정제된 의약품으로 제조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새로운 전염병에 대처할 수 2020-07-2171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