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POSTECH-UTS 연구진, 상온에서 작동하는 hBN 점결함 기반 ‘양자 광원’ 기술 구현] 최근 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통합과정 박규나 씨 연구팀은 시드니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이고르 아로노비치(Igor Aharonovich)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하여 2025-01-1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CES 2024에서도 “All on” [2023년에 이어 학생 189명 파견…“혁신의 순간을 직접 걸었다”] [POSTECH-포스코공동관에선 최고혁신상 2개, 혁신상 8개 수상] 우리 대학 21학번 재학생 189명이 지난 1월 9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IT 제품 박람회인 CES(Consumer Electonics Show)에 참석했다. 지난 2023년, ‘코로 2024-01-263,220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 극성 반도체 입자인 ‘트라이온’의 생성 원리 찾았다 [POSTECH · UNIST · 충북대, 나노광학공진기 이용 트라이온 능동제어 및 생성원리 규명]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반도체는 불과 단일 원자층 수준의 두께로 인해 단위 부피 당 광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유연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면, 첨단 유연 소자(flexible device), 나노광소자,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2024-01-25356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나노 축구공, 2차원 소재 연구 골문을 흔들다 [POSTECH · UNIST 공동 연구팀, 2차원 나노 시트 ‘모서리-모서리’ 조립 기술 개발] 지난주 아시안컵 바레인전에서 이강인 선수의 발끝을 떠난 공이 골문을 흔드는 순간, 전 국민이 열광했다. 세계를 놀라게 한 이 원더골처럼 최근 POSTECH·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소재의 ‘모서리-모서리’ 조립을 통해 만든 축구공으로 2024-01-25228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팀, 전기장, 전기 덜 쓰는 반도체 개발 이끌까 [POSTECH·서울대·숭실대 연구팀, 금속성 물질 내 전기 분극과 극성 상태 유도 성공] 일반적으로 분극*1 현상과 극성*2 상태는 절연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금속에서도 분극과 극성을 유도할 수 있다면 반도체로 인한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자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학계에서는 금속 내 분극과 극성을 구현하기 위한 연 2024-01-25295 대학소식 산경 정광민 교수팀, 포스텍-삼성화재 국제보험세미나 런던서 개최 [포스텍-삼성화재 영국 런던 연수·국제 학술 세미나 진행… 국내 보험업계에서 진행된 최초의 해외 학술 세미나] 삼성화재-포스텍은 ‘제2회 데이터 기반 리스크관리 경진대회’ 수상자들과 1월 6일부터 12일까지 선진 보험시장 연수 및 국제 학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본 경진대회는 삼성화재와 포스텍이 라는 주제로 공동 주최했고, 손해보험업에 2024-01-24304 대학소식 POSTECH, ‘경북형 초청장학제도 (K-GKS)’ 수학대학으로 선정 POSTECH이 경상북도의 ‘경북형 초청 장학제도 (K-GKS)’ 수학대학으로 선정됐다. POSTECH은 오는 2월부터 원서를 접수하고, 최대 10명의 우수 대학원생을 선발하여 제약·바이오, 이차전지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장학생들은 졸업 후 지역에 최소 3년 이상 취업 또는 상위 과정으로 진학해야 한다. 대신 한국어 2024-01-22787 대학소식 김광재·전경훈·김창현 교수, 2024년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산업경영공학과 김광재 교수, 전자전기공학과 전경훈 명예교수, IT융합공학과 김창현 연구교수가 공학 기술 분야 최고 권위 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의 2024년 신입 정회원으로 최근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대학과 기관, 기업 등에서 탁월한 연구로 사회에 기여한 전문가를 일반회원으로 선정하며, 일반회원 중 심사를 거쳐 정회원을 선발한다. 올해 전기전자공학과 기계 2024-01-22581 연구성과 기계 김석 교수팀, 놀라운 암기력으로 만든 맞춤형 스탬프 [POSTECH · 美 UIUC, 형상 기억 고분자로 표면 형태나 구조에 상관없이 전사 성공] 형상 기억 고분자(이하 SMP, Shape Memory Polymer)는 마치 사진을 찍듯이 물질의 형태를 기억하고, 그 기억을 재현하는 독특한 소재다. 이 소재는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물체의 형태를 임시로 변형시키고, 다시 특정 온도 이상 가열되는 2024-01-15418 대학소식 POSTECH 김예슬·박용헌 씨, ‘2023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재 선정]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예슬·산업경영공학과 통합과정 박용헌 씨가 최근 ‘2023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장학재단이 주관하는 이 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와 성취를 통해 사회의 귀감이 된 인재를 선발하는 ‘청년 인재 포상제도’다. 김예슬 씨(지도교수 기계공 2024-01-15627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규 교수팀, 수소 생산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김종규 교수팀, 수전해 가속시키는 3차원 나노 구조 니켈 촉매 개발] 수전해(water eletrolysis) 공정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환경오염 물질 배출 없이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지만 수소 생산 효율이 낮고, 생산 비용이 높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POSTECH(포항 2024-01-1250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