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준민 교수팀, 무릎 통증을 위한 월동준비 “연골모방조직” 구현 [이준민 교수팀, 줄기세포 둘러싼 PCM-ECM 연골세포로의 분화 조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뼈마디가 시리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월동준비가 시급하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무릎 연골의 미세구조를 그대로 재현한 연골모방조직을 구현하는데 성공함으로 2023-02-0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해삼’처럼 물 만나면 모양 바꾸는 소프트 액추에이터 [수분 반응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기반 소프트 로봇 개발] ‘바다의 산삼’이라고 불리는 해삼. 해삼은 울퉁불퉁 둥글고 긴 모양을 하고 있지만, 손으로 만지면 처음엔 부드럽다가 딱딱하게 변한다. 조그마해졌다가 몇 미터씩 늘어질 수도 있고, 죽어 말라비틀어져도 물만 부으면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렇게 몸이 변하는 해삼의 조직을 모사해 POSTECH 연구팀이 가변 2021-07-28569 대학소식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부원장,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 수상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부원장이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1년 하계학술대회에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대상은 사단법인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가 시상하는 상으로 학회회원 2,500명 중에서 학회 발전 기여, 학문적 성과, 학회 활동 등 다양한 분야의 실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매년 1명을 선정, 시상하는 학회 최고 등급의 상이 2021-07-28624 대학소식 POSTECH 제16회 일주수학학교 성료 POSTECH 수학연구소(PMI, 최윤성 교수) 주관으로 열린 ‘제16회 일주(一洲)수학학교’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 국내외에서 참가하는 학부생,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그리고 교수들이 격의 없이 토론하는 개방학교로 진행해 온 일주수학학교가 올해에는 COVID 19의 영향으로 국내 초청강연자와 참가자로만 구성해, 지난 21일~23일 POSTECH 수리과 2021-07-26275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2차원 소재 차곡차곡 쌓아 새로운 인공 물질을 자유자재로 디자인한다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원자층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초격자 구조 성장법 최초 구현] 반도체 초격자 초격자(superlattice)*1는 서로 다른 원자의 주기적 배열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합성한 것이다. 이는 고성능 반도체, 레이저, 디스플레이 산업에 널리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LED(발광다이오드) 기술은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나노미터 2021-07-26491 대학소식 전자 김철홍 교수팀, ‘Light:Science and Applications’서 2020 우수논문상 수상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연구팀이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에서 발간하는 광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빛, 과학과 응용(Light:Science and Applications)’에서 수여하는 2020 우수 논문상(2020 Outstanding Paper Award)를 수상했다. 2020 우수 논문상은 2020 2021-07-2250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아무도 뚫을 수 없는 ‘광학 OTP 보안카드’ 나온다 [광학 보안 플랫폼 위한 픽셀화된 메타표면 기반 능동형 홀로그래픽 컬러 프린팅 기술 개발] 빛의 정보, 색깔, 위상, 편광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광학 소자 안에서 조절해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위조 방지 스마트 라벨 및 보안 기술이 나왔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김인기 박사,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장재혁씨, 기계공학과 통 2021-07-21471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외부 요인에 따라 내부 격자 모양 변형하는 촉매 설계법 개발 [촉매 표면과 반응물의 상호 작용 조절] 전기화학촉매는 연료전지, 수전해반응, 금속-공기전지 등과 같은 미래의 친환경 에너지 변환이나 저장 기술에 활용되는 핵심 요소이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외부 요인에 따라 촉매의 표면 구조와 전자구조를 자유롭게 변형하는 촉매 개발 방향을 제안했다.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 연구팀은 2021-07-19366 대학소식 POSTECH 최수석 교수·홍원빈 교수·조민수 교수, 2021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하반기) 선정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홍원빈 교수 그리고 컴퓨터공학과·인공지능대학원 조민수 교수의 연구가 2021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연구지원 과제에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과학 기술 분야의 석학, 전문가들과 국가적 기술 개발의 필요성, 중장기 기술 발전 방향 등을 논의해 미래 유망 과학기술 분야를 지정테마로 선정하고 있다. 올 하반기 삼성전자가 2021-07-19878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장기 유사체 배양을 위한 물질투과성 ‘3차원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 개발 [균일하고 안정적인 배양…생존력·기능 향상된 스페로이드 기대] POSTECH 연구팀이 인체 장기의 기능과 구조가 유사한 3차원 세포 응집체를 장기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고기능성 3차원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 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통합과정 김도희씨, 이성진씨 연구팀은 생존 능력과 기능성이 향상된 스 2021-07-141,014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기계 이승철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의 한계 극복한다 [POSTECH-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미세조직 이미지 초해상화 기술 개발] 최신 8K 프리미엄 TV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초해상화 영상 기술이 재료과학 연구의 필수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 영상에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POSTECH과 한국재료연구원(원장 이정환) 공동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분석장비로부터 얻은 저해상도 전자 2021-07-1441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