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생물체 내 대사작용에 의한 자율운동은 분자, 단백질, 세포기관 등 모든 규모의 생명활동에서 핵심적인 신호요소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는 자율운동을 통해 더 높은 농도의 포도당을 향해 헤엄쳐 이동하거나 독성 환경으로부터 벗어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러한 생체 내 자 2021-07-06409 대학소식 전자 이남윤 교수,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와 대한전자공학회(IEIE)의 공동상인 “젊은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 전기전자공학부 이남윤 교수가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회장: Susan K. Land)와 대한전자공학회(IEIE 회장: 삼성전자 공준진)가 공동 주관하고 해동과학문화재단(이사장: 김영재 이사장)이 후원하는 “젊은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올해의 수상자로 선정된 이 교수는 6G 통신시스템을 위한 원천 송수신 기법 및 차세대 모바일 인공지능 서비스를 2021-07-0659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창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투명성, 에너지 효율 동시에 잡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태양 빛에 투명한 복사 냉각 소재 개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가 화석연료 소비 줄이기에 나섰다. 우리 정부 역시 작년 12월 7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탄소중립 2021-07-05686 대학소식 POSTECH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 개최 POSTECH 수학연구소(PMI)와 수리 데이터과학 연구소(POSTECH MINDS)가 공동으로 주관해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을 개최한다. 이번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은 일주학술문화재단 및 태광그룹의 설립자인 고(故) 일주(一洲) 이임용 회장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개최되며, 7월과 8월에 4개의 행사로 구성된다. 주요 2021-07-02318 연구성과 환경 홍석봉 교수팀, 세계 촉매시장 판도 바꿀 제올라이트 촉매 합성 성공 [새로운 석유 접촉분해용 제올라이트 촉매 발견] POSTECH 연구팀이 정유·석유화학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올라이트 원천소재를 찾아냈다. 연구결과는 7월 2일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합성전략인 ‘다중무기 양이온 방법’과 ‘전하밀도 비대칭 방법’ 2021-07-021,968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갑상선 암, 이제 인공지능으로 진단한다 [머신러닝 기반 갑상선 결절 다중 매개변수 광음향 분석] 갑상선에 혹이 생기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고,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는 갑성선 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선 암은 치료 예후가 좋아 생존률도 높고, 재발도 적기 때문에 조기진단과 조기 치료가 특히 중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광음향 및 초음파와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해 비침습 검사로 갑상선 결 2021-07-01377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뚜껑 열었다 닫았다 하며 세포 기능 조절하는 나노 구조체 합성 – 화학-효소 구획된 실리카 나노 반응기 설계 – 살아있는 세포 내부 인공 촉매 세포 기관으로…세포 기능 조절 가능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도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희귀 혈전증 같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 때문에 두려움 또한 커지고 있다. 생명 활동은 체내의 물질이나 에너지가 이동하면서 유지되는데, 2021-06-29626 연구성과 전자 이병훈 교수팀, ‘이미지 센서의 눈’ 그래핀으로 밝히다 [그래핀-실리콘 포토디텍터의 광검출능 향상법]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포토센서는 이제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원을 넘어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식 등 생체 인식도 가능해졌다.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해 ‘이미지 센서의 눈’이라고 불리는 광검출기, 즉 포토디텍터는 그만큼 더 정교하고 안정된 인식능력이 요구된다. 간편한 방법으로 포토디텍터의 광검출 능을 높이는 2021-06-281,173 대학소식 포항강소특구,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역량강화교육 성료 포항강소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단장 POSTECH 산학협력단 김상우)이 6월 25일 ‘2021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역량강화교육’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창업에 관심 있는 POSTECH, 한동대 등 지역 대학생, 일반인이 참여해 23일부터 25일까지 3일에 걸쳐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역량강화교육에서는 76명의 수료생이 배출됐다. 이번 역량강화교육에서는 2021-06-28411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와인의 눈물” 역이용해 반도체 인쇄 성능 높인다 [POSTECH∙성균관대 공동연구팀, 고성능 유기반도체 단결정 인쇄기술 개발] 와인이 담긴 잔을 흔든 다음 그대로 두면 얇은 막이 형성되어 와인이 눈물같이 밑으로 흘러내리는데 이것을 “와인의 눈물”, 또는 “마랑고니 효과”라고 한다. 이는 물과 알코올처럼 서로 다른 표면장력을 가진 액체들이 만날 때 즉시 혼합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 2021-06-2553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