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 인공지능이 깬 메타표면의 한계 [노준석 교수팀, 메타홀로그램 세계 최대 정보량 구현] [단일 메타표면에서 다색 홀로그램 최대 9개까지, 단색 홀로그램 최대 18개 이미지 인코딩 성공] ‘역설계’란 데이터 학습을 통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물질이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이다. 최근 공개된 Chat GPT(챗 지피티)는 인공지능을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 2023-03-30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미지의 신소재’ 합성하는 비밀 밝히다 [원자구조 이미징을 통해 물질 합성의 근원 밝혀] 반도체나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재를 먼저 찾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를 관찰해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소재 이미징’을 통해서 신소재가 발굴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소재 이미징 기술을 통해 품질이 뛰어난 신소재 합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최 2020-07-271,441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팀, 딥러닝 이용해 ‘2D를 3D홀로그램으로’ 간단하게 변환한다 – 백색광을 사용한 딥러닝 기반 홀로그래피 기법 개발 – 현미경에 값비싼 장비 추가 없이 2D 광학영상을 3D 홀로그램으로 본다 기존의 광학현미경(bright—field microscopy) 기법에서는 염색 과정을 포함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잘 보이지 않는 세포들을 관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오염되어 생물리학적 특성이 2020-07-23762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암 ‘표적 단백질’만 노리는 ‘암살자’ 분해제 – N-데그론 경로 이용해 단백질 분해제 개발 – 세포 종류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백질 분해…다양한 암 발생 및 전이 방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는 날아가면서도 표적을 이리저리 끝까지 추적해 표적을 정확히 명중시킨다고 해서 마법의 탄환이라 불리는 ‘스마트 탄환’을 만들었다. 이 탄환은 표적이 이동하거나, 모래바람이 불어도 2020-07-221,27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분자 끈끈이 원리를 이용한 고순도 고효율 항바이러스, 항암 단백질 의약품 정제 기술 개발 [바이러스 잡는 ‘분자 끈끈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 추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백신 개발만이 코로나19 종식의 근원적 해결책으로 꼽힌다. 하지만 어렵게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잘 정제된 의약품으로 제조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새로운 전염병에 대처할 수 2020-07-21855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거저리 유충, ‘환경 골칫덩이’ 플라스틱 먹어치운다 [산맴돌이거저리 유충 이용한 폴리스타이렌 생분해 확인] 북태평양에는 한반도의 7배의 크기에 달하는 거대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고 불리는 이 쓰레기섬은 1초마다 2만 개가 소비되는 플라스틱이 매년 1300만 톤씩 바다로 유입되며 생겨난 것이다.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썩 2020-07-151,286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헤어지면’ 효율 올라가는 연료전지 [POSTECH-KAIST-GIST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엑솔루션 현상 제어] 삼성전자가ᅠ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ᅠ일환으로ᅠ지원한ᅠ엑솔루션ᅠ연구가ᅠ결실을 맺었다. 엑솔루션*1 기술은 산화, 환원에 따라 금속산화물의 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현상은 특별한 공정과정 없이 환원 분위기에서 자발적으로 고성능·고안정성의 나노 2020-07-14879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 교수팀, 잉크젯 프린팅으로 ‘방광암’ 만들다 [잉크젯 세포프린팅을 이용해 방광암 이질성 분석] 3D 바이오프린팅은 3D 프린팅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기술로서,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쌓아 올려 생체조직이나 인공장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극복하고,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2020-07-13639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예측만 무성한 미스테리 속 ‘물질’, 실제로 존재했다 [韓‧美‧獨‧香 공동연구팀, 고차원 위상부도체 실존 여부 최초로 관측] ‘겉과 속이 다른 물질’로도 불리는 위상부도체(topological insulator)는 고체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물질이다. 위상부도체는 원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위상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전도성을 갖는다. 이 독특한 성질 때문에 양자 컴퓨터 등 미래 과학 분야의 2020-07-091,384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수소차 내구성 문제 말끔히 해결한다 [선택적 전극촉매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자전거가 비에 젖으면 프레임과 체인 등이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오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름칠을 해줘야 한다. 전지(cell, 電池)는 이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1이 분리되어 일어나도록 고안한 장치로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하지만 이 역시 산소를 만나면 부 2020-07-081,831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실리콘보다 전도성 4배 높은 ‘유사 그래핀’ 합성 [활용 목적에 맞게 물성 조정 가능…‘맞춤형’유기 반도체 소재 기대] 그래핀과 똑 닮은 새로운 유기 반도체 소재가 개발됐다.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분자의 자기조립 자기조립(Self-assembly)*1 특성을 활용해 실리콘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2차원 전도성 고분자 2020-07-0375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