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이준구 교수팀,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한다 [POSTECH 연구팀, 무세포 시스템에서 리보솜을 이용한 피리다지논 올리고머 합성] 우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항생제와 같이 여러 화학 물질을 적절히 배합해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이런 소형 화합합성 의약품은 파마코포어(pharmacophore)라고 하는 약효를 내는 부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의약품 분자 2023-01-3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2020학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지난 2월 5일 개최 예정이었던 2020학년도 학위수여식 행사가 5월 14일 우리 대학 중앙광장에서 열렸다.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5월로 미루어졌던 학위수여식은 확진자 수가 계속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감안, 참석자를 최대한 제한해 100명 미만이 참석하는 제한적 대면행사로 개최하고, 이 행사를 대학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 2021-05-141,394 대학소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명품인재양성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POSTECH, 학생들의 열정적인 연구ㆍ교육훈련 스토리 공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기술 분야(이하 ‘ICT 분야’) 창의적ㆍ도전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2011년부터 10년간(‘11~’20년) POSTECH ICT명품인재양성사업을 지원했다. 그동안 이 사업을 통해 학생 주도로 자율주행 자전거 국내 첫 개발(‘18년) 2021-05-13379 대학소식 수학 차재춘 교수 PKC Test of Time Award 수상 수학과 차재춘 교수가 12일 공개 키 암호화 방식 컨퍼런스(Public Key Cryptography, PKC)에서 ‘2021 Test of Time Award’를 수상했다. PKC Test of Time Award는 PKC 컨퍼런스에 발표된 논문 중 15년 이상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연구와 연구자에 대해 수여하는 상이다. 차재춘 교수가 18년 전 PK 2021-05-13444 연구성과 신소재 오승수 교수-이동화 교수 공동연구팀, ‘DNA 복합구조’ 재현, 생로병사의 실마리 찾다 [다양한 DNA 공여체-수용체 상호작용 연구…차세대 DNA 복합 구조 설계·예측에 활용] DNA는 살아있는 모든 유기체나 많은 바이러스의 유전암호를 갖고 있다. 이 유전암호를 풀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DNA의 복합구조를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신소재공학과 2021-05-12628 연구성과 기계 진현규 교수-신소재 최시영 교수 공동연구팀, ‘스핀 제벡’ 소자로 열에서 전기 만든다 [고효율 스핀 제백 열전소자 구현 방향 제시] 지열이나 폐열, 체열, 태양열 등 다양한 형태의 열에너지를 회수해 탄소의 발생 없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기술이 차세대 에너지 변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열전기술의 핵심에는, 고체물질로만 구성되어 있어 소음, 진동, 오염물질의 배출이 없이 에너지 변환을 가능케 하는 열전소자가 있다. POSTECH 2021-05-1176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손가락만 한 라이다 장치 나온다 [나노 광학 기반 초소형 라이다 (LiDAR) 기술 세계적 학술지에 소개] POSTECH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광학 기반 라이다 기술이 나노과학 및 공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초청 논문으로 소개됐다. 이번 논문에서는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인기 박사, 화학공 2021-05-1185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 전용 초고속 오픈소스 시뮬레이션 ‘MAXIM’ 무료 배포 [메타물질 설계에 최적화된 초고속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온라인 무료 배포] POSTECH 연구팀이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해 모습을 숨기거나 정보를 암호화하고, 입체 동영상을 광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인 ‘메타물질’을 설계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무료로 배포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윤관호 박사(현 서울과학기술대 2021-04-28921 대학소식 2021년도 POSTECH 온라인 학부모 간담회 개최 POSTECH은 4월 23일 대면 강의 시행을 앞두고 학부모의 고민과 걱정거리들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 대학과 학부모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온라인 학부모 간담회를 개최했다. POSTECH은 전 구성원 타운홀 미팅, 학생 온라인 간담회에 이어 학부모 간담회를 진행하며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사전 질문부터 학부모의 뜨거운 반응이 있었고, 당일 2021-04-28462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수소에너지 만드는 ‘버블’ 마음대로 조절 가능해져 [지능형 버블 모션 조작 표면 기술 개발] 수소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해야 한다. 이때 물속 기포의 움직임에 따라 물분해 반응이 다르게 일어나는데, POSTECH 연구팀이 기포의 움직임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기술을 내놓았다.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통합과정 한기덕 씨 연구팀은 수소에너지를 만드는 물분해 과정에서 물방울 기포의 움직임을 2021-04-27601 대학소식 POSTECH-북경대 공동 국제 수학 학술대회 개최 POSTECH과 북경대학교가 24일 공동으로 공동 학술대회(POSTECH-Peking University Joint SIAM Student Chapter Conference)를 개최한다. POSTECH-북경대학교 공동 학술대회는 미국 산업응용수학학회(SIAM) POSTECH 지부와 북경대학교 지부 학생들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학술대회로, 대회 기간 중 참여자 2021-04-2232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