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100nm급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 개발 [POSTECH-서울대 연구팀 Nature지 발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은 서울대학교 최만수 교수팀과 공동으로 100 나노미터 수준의 3차원 나노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을 Nature지에 온라인으로 게재했다. 기존의 3차원 프린팅 기술로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 이하의 3차원 구조물 제작이 어렵지만, 연구팀이 개 2021-04-021,468 대학소식 POSTECH ‘2021 포항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 참가자 모집 POSTECH 산학협력단은 포항강소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에 참여할 예비창업자를 다음 달 11일까지 모집한다.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은 창의적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발굴해 실전창업교육부터, 아이디어 고도화 및 검증, 시제(작)품 제작 지원, 법인 설립 및 투자 유치 연계에 이르는 창업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이다. 모집 대상은 포항 지역 2021-03-3054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쉿! 땅속 진동도, 물속 소리도 사라져요!” [지진파 인공 제어…수중 스텔스 기술로도 활용 가능] 빛의 굴절 방향을 조절하거나 흡수해 모습을 감출 수 있는 투명망토를 실현케하는 메타물질이 알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POSTECH에서 음향파나 지진파까지 조절할 수 있는 메타표면을 설계했다. 이는 음파탐지기로도 추적할 수 없는 잠수함을 만들거나, 지진을 회피하는데 활용될 수 있어 관심 2021-03-29553 대학소식 철강 이어 ‘에너지소재 세계 선두 도모···’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인터뷰] 김성준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원장 철강대학원 개편···”에너지소재 분야 인재 육성할 것” “국내 산업 기여·첨단소재 영역 선도 목표” ‘세계 유일’의 철강 기술 분야 인재를 육성하는 POSTECH 철강대학원이 최근 새로운 역사를 쓰고자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으 2021-03-261,288 대학소식 환경 민승기 교수 ‘세계기상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23일 열린 2021년 ‘세계기상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행사를 주최한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이 기상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해양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해양과 기후 및 기상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해양, 우리의 기후와 날씨’를 세계기상의 날 주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념식에서는 2021-03-26348 대학소식 POSTECH 청암 10주기 추모행사 이어간다 POSTECH은 故 청암 박태준 설립이사장 서거 10주기를 맞아 고인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한 해 동안 이어가기로 했다. POSTECH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첫 번째 행사로 ‘팬데믹과 한국사회의 대전환’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미래변화 좌담회를 개최했다. 좌담회에는 이진우 교수(POSTECH 인문사회학부), 김병연 교수(서울대 경제학부), 장대익 2021-03-24350 대학소식 POSTECH, 2021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대구·경북 주관기관 선정 POSTECH이 ‘2021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대경(대구·경북) 지역 주관기관에 선정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주관 이 사업은 도약단계 혁신 창업기업의 매출 및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은 2+2년이며, 사업비는 연 70억 원 수준이다. 주관기관 선정 대상은 특화기술 및 인프라, 협업네트워크 등 지원역량을 갖춘 대학, 공공기관, 2021-03-23585 연구성과 신소재 정성준 교수-생명 유주연 교수 공동연구팀, 몸 밖에서 숨 쉬는 “인공 폐” 최초 개발 [인공 폐 모델 개발…호흡기 감염병 치료 플랫폼 활용 可] 한층 따뜻해진 기온과 봉우리를 띄우는 봄꽃으로 봄기운이 느껴진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때문에 호흡기 질환에 대한 걱정도 많아지고 있다. 호흡에 관여하는 폐는 복잡한 구조와 얇은 두께 때문에 실험용 인공 폐를 만들기 어려웠으나,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 2021-03-22744 연구성과 화학 김덕영 교수-심지훈 교수팀, 지구 깊숙한 곳에는 양성자 강이 흐른다 [POSTECH-HPSTAR 연구팀, 지구 하부 맨틀 조건에서 철 수산화물의 초이온 상태 확인] 해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얼음 행성들의 깊은 내부는 고온과 고압의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얼음은 초이온 상태로 고체 구조의 산소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양성자로 구성되어, 행성 내부의 구조와 자기장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 2021-03-17756 연구성과 포항가속기연구소, 미시세계 탐험할,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 “밝혔다”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소장 고인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선형)의 셀프시딩(Self-Seeding)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류 사상 최고 밝기의 빛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광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3월 15일자(현지시간)로 게재됐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후 PAL-XFEL)는 2021-03-1669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