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장기에 생긴 구멍, 홍합으로 메운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홍합수중접착제 활용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 제시] 최근 국내 연구팀이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소변에 노출된 상황에서도 장기에 생긴 누공(瘻孔)을 효과적으로 꿰맬 수 있는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을 개발했다.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김효정 박사(현, 한국화학연구원), 박태윤 박사 연구팀은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 2021-03-15849 연구성과 화학 심지훈 교수팀, “인공지능(AI) 연금술”을 향하여 [확장가능 인자로 무작위 다원소 합금 결정구조 예측] 납이나 구리 같은 값싼 금속을 금으로 만들려고 했던 연금술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근현대에 들어 으뜸이 되는 원소에 두세 가지의 보조 원소들을 섞는 합금이 개발되면서 현대판 연금술은 고엔트로피 합금과 같이 강도가 높은 최첨단 금속재료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이제는 인공지능과 함께 여러 번의 실험 2021-03-11811 대학소식 전자 김철홍 교수, SPIE주최 PHOTONICS WEST 학회 국내 최초 기조강연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3월 6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 국제광전자공학회(SPIE,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 PHOTONICS WEST 학회에서 국내 학자 중 처음으로 기조 강연 (Hot Topics)을 했다. 김철홍 교수는 차세대 광음향‧초음파 융합영상 시스템 2021-03-11401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초음파 한번에 4중 융합 영상 얻는다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활용한 4중 융합 영상 시스템 개발] 초음파 검사 한 번만으로 안질환, 종양은 물론 몸속 환경을 들여다볼 수 있는 ‘4중 융합 영상 시스템’이 개발됐다.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박별리 박사·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박정우씨 연구팀과 IT융합공학과 김형함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는 경북대 의과대학 2021-03-09518 대학소식 2021년도 상반기 ‘PIURI’ 박사후연구원 펠로우십 선정 우리 대학은 2021년도 상반기 ‘박사후연구원 펠로우십 PIURI(POSTECH Initiative for fostering Unicorn of Research & Innovation)’ 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증서를 전달했다. PIURI 사업은 우리 대학의 우수 박사후연구원을 선정해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혁신성장을 선도할 고급연구인재 육성하기 2021-03-08848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화공 조길원 교수 공동연구팀, “주사 맞지 말고 빛만 쬐세요” [근적외선 제어 약물전달 시스템 개발] 약물투여가 필요할 때 빛을 쬐기만 해도 체내 의료기기에서 자동으로 약물이 주입되는 새로운 개념의 약물전달 시스템이 나왔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연구팀과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연구팀은 나노 물질에 작은 빛 에너지를 쏘이면 물질 내에서 에너지가 증폭하는 ‘상향변환 나노입자’가 코팅된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를 이용해 2021-03-0849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구조 전환 DNA 기반의 진단용 ‘맞춤형’ 당(糖)칩 만든다 [POSTECH·영남대 공동연구팀, pH 감응형 DNA 링커 활용 복합당칩 개발] 당칩(glycan chip)은 고체 표면에 고밀도로 당(糖, glycan)*1을 고정해 암과 같은 질병 발생에 대한 진단 등 당과 관련한 상호작용을 빠른 속도로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microchip)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당칩을 간단히 ‘맞춤형’으로 만들 2021-03-04419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연료전지 효율 높이는 ‘촉매’의 비밀 밝히다 [POSTECH·UNIST 연구팀, 촉매 상 전이 및 엑솔루션 현상 규명]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얻는다. 그래서 반응 효율을 높여주는 촉매는 곧 연료전지의 성능과 직결된다. POSTECH-UNIST 연구팀이 원자 단위에서의 엑솔루션 현상과 상전이 현상을 최초로 밝힘으로써 고성능 촉매 개 2021-03-03628 연구성과 화학 심지훈 교수팀, ‘훈트금속의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 [POSTECH-IBS 연구팀, 강상관계 물질의 금속-절연체 전이 과정에서 훈트 상호작용으로 인한 양자결맞음 과정 직접 관찰] 강상관계 물질이란 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일반적인 도체나 부도체에서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들을 말한다. 금속-부도체 전이 현상이나 높은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되는 고온초전도 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다. 그간 2021-03-02473 대학소식 POSTECH-한림원 ‘제45회 한림국제심포지엄’ 개최 [보형형식 주기이론 최신 동향 주제로 수학 최고 영예 ‘필즈상 수상자’ 강연 등] POSTECH 수학연구소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공동으로 27일~28일 이틀 동안 제45회 한림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보형 형식의 주기이론 최신동향’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 메달 수상자를 비롯한 국내외 정수론 분야의 최고 석학들이 2021-02-2529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