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친환경/신소재 김형섭 교수, 인도공학한림원 외국인 석학회원 선정 친환경소재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가 최근 인도공학한림원(이하 INAE, India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외국인 석학회원(foreign fellow)으로 선정되었다. 김 교수는 고엔트로피 합금*1 연구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합금을 개발했으며, 소성 변형과 금속 3D 프린팅, 그래핀 합성법 확 2023-12-0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살아 있는 세포 ‘형광펜 긋듯’ 구분한다 [장영태 교수팀, 세포 유형별 형광 탐침 전략 제시]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선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해야 한다.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가려낸다거나, 새로운 약을 개발할 때 세포에서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알기 위해선 특정 세포를 따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세포는 아주 작을뿐더러 그 수도 많아, 형광물질을 투여해 2022-03-08675 연구성과 환경 권세윤 교수팀, 서해안 수은, 바다에 직접 유입된 산업폐수가 ‘원인’ [권세윤 교수팀, 수은 안정동위원소 활용해 서해안 퇴적물 내 수은 배출원 밝혀] 2021년 개봉된 영국 영화 ‘미나마타’는 한 미국 사진작가가 일본의 미나마타라는 마을 사람들이 한 기업이 하천에 버린 산업폐수로 인해 병을 앓게 됐다는 사실을 폭로한 실화를 그려냈다. 이 영화에서 등장하는 미나마타병은 수은중독으로 발생하는 여러 신경계통의 병으로 대표적인 공해 2022-03-07608 연구성과 기계 노준석 교수팀, 두 가지 빛으로 ‘이중 자물쇠’ 채운다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가시광선 동시 작동하는 메타표면 위변조 방지 장치 개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안 보이는 ‘자외선’, 두 가지 빛으로 이중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위변조 방지 기술이 연구팀을 통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빛의 성질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의 활용이 기대되는 ‘메타표면’을 이용한 것으로, 지금까지 자외선 영역에 작 2022-03-03708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인간 ‘똑 닮은’ 동물 유전자로 신약 개발 날개 단다 [김상욱 교수팀, 빅데이터 이용해 동물모델 유전자 네트워크 원리 규명] 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는 임상시험은 새로운 약이 세상에 나오기 전 거쳐야 하는 필수 관문이다. 임상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윤리적인 기준이 엄격하고 환자 수나 비용 등 현실적인 한계가 있어 주로 쥐와 같은 동물모델을 이용해 이뤄진다. 그 때문에 사람과 2022-03-02465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 ‘북극의 눈물’이 동아시아 꽁꽁 얼린다 [POSTECH·취리히대학 공동연구팀, 북극 온난화와 동아시아 한랭 피해 연관성 분석] [“동아시아 식물 이산화탄소 흡수 감소·개화 지연 등 생태계 영향] 입춘을 훌쩍 넘긴 지금까지도 전국에 영하 15℃를 밑도는 강추위가 찾아오고 있다. 이처럼 동아시아에 때아닌 한파가 닥친 이유가 역설적으로 수천킬로미터(km) 밖에 있는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 2022-02-28406 연구성과 신소재·IT융합 정성준 교수팀, ‘머리카락보다 얇은’ 패치로 맥파 잴 수 있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잉크젯 인쇄 기술 이용해 맥파 신호 센서 패치 개발] 맥파는 심장 박동에 의한 혈액의 흐름이 몸에 전달되는 파동으로, 심혈관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생체 신호다. 맥파 신호를 분석하면 고혈압, 동맥 경화 등 각종 심혈관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맥파 측정 기기는 사용 시 혈압을 잴 때 쓰는 커프 2022-02-27534 연구성과 물리 김윤호 교수팀, ‘작고 연약한’ 양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김윤호 교수팀, 양자얽힘 없이 하이젠베르크 한계 도달하는 약한 값 증폭 방법 발견] 슈퍼컴퓨터 이상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 원천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통신 등 대부분의 양자정보기술은 양자얽힘*1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얽힘은 아주 작은 미시 세계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측정하기만 해도 충격을 받는 ‘연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22-02-24782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빛나는 렌즈’로 당뇨성 망막 병증 막는다 [한세광 교수팀, “렌즈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안질환 예방”] 평생 관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합병증을 불러일으키는 당뇨병은 현대인이 가장 경계해야 할 질병 중 하나다. 당뇨병을 오래 앓을수록 망막 병증이 생길 위험성도 높아지는데, 이 경우 시력이 점차 낮아지고 심하면 실명까지도 이를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망막 병증을 LED 콘택트렌즈로 예방 및 조 2022-02-23483 대학소식 전자 박사과정 윤영노 씨, IEEE APS/URSI 2021 우수 논문상 수상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윤영노 씨(지도교수 홍원빈)가 국제전자전기공학회(IEEE)의 2021 APS/URSI(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and USNC-URSI Radio Science Meeting)’에서 ‘우수 논문상(2nd Prize Best Student Paper)’을 최근 2022-02-22479 대학소식 POSTECH, 대구·경북 공공기술 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팀 모집 [美 국립과학재단 연계 교육·최대 5천만원 지원…내달 24일까지 접수] 대구·경북 지역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2022년 공공기술 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한국형 아이코어 사업)’ 참가팀을 내달 24일까지 모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은 대학과 출연(연)이 보유한 실험실 연구성과를 고부가가치 기술창업으로 연계하여, 2022-02-2126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