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김진곤·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를 붙잡아라”… 트랩으로 센서 한계 돌파 [Deep trap으로 정전기 센서 성능 지속 성공] 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2023-12-0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POSTECH-연세대 공동연구팀, 태양광을 활용한 과산화수소 생산용 고효율·고내구성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 태양광을 이용, 물과 산소에서 동시에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 세계적인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3.250) 표지논문으로 선정 POSTECH과 연세대학교가 개방·공유 Campus 협력 사업을 통한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친환경적인 과산화수소(H₂O₂) 생산용 고 2020-06-021,38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오는 날 스스로 밝아지는 ‘스마트 윈도’ 구현한다 –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자가발전 가능한 색변화 습도센서개발 – 스마트 윈도우, 헬스 케어, 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 햇빛의 강도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의 색이 변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는 여름철 가시광선 투과를 차단하여 냉방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0-05-27866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화산 폭발이 전 지구 강수량 줄인다 – 화산 폭발 후 강수 감소 메커니즘 밝혀 – 화산이 유발한 엘니뇨가 강수 감소 심화시켜…화산 모방한 지구공학기법 안정성 담보 못해 지구의 온도가 1℃ 상승하는 것만으로도 해수면이 높아지고, 북극의 얼음이 녹고, 때아닌 폭염과 강한 호우가 찾아오는 등 지구 곳곳에서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인위적인 기후변화를 정 2020-05-251,045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증식과 분화 촉진하는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공장’ 줄기세포(Stem Cell)는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뿌리가 되는 어린 세포를 말한다. 죽지 않고 끝없이 반복해 분열하면서 혈구와 피부 등을 만들고, 상처가 나면 스스로 치료한다. 골수, 혈액, 피부, 지방, 간, 신경 등에 주로 존재한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신체 내 어떤 조직으로든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된 장기에 인위적으로 줄기세포를 2020-05-221,066 연구성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 1/100 가격, 1/10000 두께 ‘VR·AR 장치’ 나온다 –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新나노성형소재 및 원스텝 프린팅 기술 개발 – 저비용·대면적·초박막 제작기술로 메타물질 상용화 가능성 열어 바로 눈앞에 좀비나 적들과 마주한 장면, 아찔한 절벽 위에 선 듯한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은 이제 게임이나 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전유물이 아니다. 가상공간에서 가상회의와 PPT, 동 2020-05-141,560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태양광으로 물질 만드는 ‘세포’ 닮은 촉매 나왔다 [플라즈몬 이중층 구조 나노카탈로좀 개발] 45억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태양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존재다. 최근에는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법으로 태양이 보내오는 빛, 즉 태양광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태양광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척 다양한데, 이를 활용하기 위해 2020-05-131,022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의 반란’ 식물이 숨을 안 쉬면, 북극이 녹는다 [POSTECH-취리히대학 공동연구팀, 식생의 생리학적 작용에 의한 북극 온난화 규명] 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증기는 더운 날 마당에 물을 뿌리는 것과 같이 지면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지구 기온 상승은 온실효과가 원인으로 지적돼왔지만,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서 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분량이 감소해 북극의 온도가 올라간다는 흥미로운 연 2020-05-121,351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커피 마시려고? 이제는 커피로 배터리 만든다 – 친환경 양극재와 고체 전해질 사용해 리튬유기전지 개발 – 커피 유래 자연 친화 유기원료 사용…고속 충전 차세대 리튬전지 개발 기대 커피나 코코아, 콜라, 초콜릿 등의 기호식품 등에 흔히 들어 있는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정신을 각성시키고 피로를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런 카페인으로 고속충전이 가능한 리튬전지를 2020-05-061,291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이종구조 전극 연료전지 한계를 극복하다 –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전극의 용출현상 구현 -소재 원천기술 확보…에너지 변환 및 저장 효율 개선 기대 최근 전도성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지지대 위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여 촉매 특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이종구조 전극(heterogeneous electrode)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POSTEC 2020-04-29909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시냅스 형성을 이용한 암 치료법 개발 [암 덩어리, 항암제로 중무장한 자객 세포로 살해한다] 우리 몸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 즉 자연 살해 세포가 존재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 치료와 화학 요법을 융합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는 항암 면역요법을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은 ㈜지아이셀과 공동연구를 2020-04-281,02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