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준민 교수팀, 무릎 통증을 위한 월동준비 “연골모방조직” 구현 [이준민 교수팀, 줄기세포 둘러싼 PCM-ECM 연골세포로의 분화 조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뼈마디가 시리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월동준비가 시급하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무릎 연골의 미세구조를 그대로 재현한 연골모방조직을 구현하는데 성공함으로 2023-02-0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유방암 잡을 어벤져스 나노머신이 나왔다 [나노머신 이용해 삼중복합 항암치료제 개발 항암제, 열, 활성산소종 혼합치료로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에 효과] 우리나라 여성 암 발병률 2위를 차지하는 유방암. 유방암은 조기 검진이 확대되고 치료법이 다양해 생존율이 높은 암에 속하지만, 그 중에서도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하기 까다로운 암으로 손꼽힌다. 유방암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세포막 단백질 일종인 2017-12-221,026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거미의 민감한 “촉”이 전신마비 환자의 “입”으로 [거미 발 구조 모사한 다목적 센서 개발] 대부분의 거미는 시력이 퇴화되어 거의 볼 수가 없지만, 아주 좋은 촉각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다. 발을 통해 전달되는 거미의 촉각은 날벌레의 날개 진동까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 이 예민한 ‘촉’을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들이 원하는 단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이 개발됐다. 2017-12-191,088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창의IT 김철홍 교수 공동연구팀, 초점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액체렌즈 개발 [수술 및 영상진단에서 고품질 생체 영상 획득 기대] 기계공학과 김동성・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공동연구팀이 가변초점 액체렌즈를 개발하고, 광음향영상*1 장치에 적용하여 고품질의 생체영상을 획득하였다고 밝혔다. 고정된 형태의 고체렌즈와 달리 액체렌즈는 모양을 자유롭게 바꾸고 초점거리를 쉽게 조절하는 유연성이 있어서, 차세대 유망기술로서 연구가 활발히 2017-12-1384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과 ‘규조류’로 임플란트 회복 크게 앞당겨 [홍합접착단백질-실리카 하이브리드 소재로 2배 빠른 골 조직 재생 확인 표면 거칠기 조절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임플란트 코팅소재 개발] 충치나 사고, 노화로 인해 치아가 제 기능을 못 하게 될 때 최후의 수단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시술을 고려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지만, 초기 골 융합*1 이 일정 기간 내에 발 2017-12-111,040 연구성과 화학과 이은성 교수팀, ‘트리아지닐 라디칼’ 미국 화학회 ‘올해의 분자’ 선정 우리대학 화학과 이은성 교수∙통합과정 백지수씨 팀이 합성한 분자 ‘트리아지닐 라디칼’이 미국 화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 저널 C&EN(Chemical & Engineering News)의 ‘올해의 분자(Molecules of the Year)’로 선정됐다. 트리아지닐 라디칼은 따로 분리해내기 어려운 물질로 2017-12-071,543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자외선으로 패턴 다양하게! 고성능 반도체용 리소그라피 기술 개발 [빛으로 다중 나노 패턴 제작 쉽고 간단하게 차세대 반도체 패턴화 기술 개발] 고성능 반도체 개발을 위해선 작은 기판 위에 패턴을 매우 작고 다양하게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다. 반도체 기판 위에 패턴을 새기는 공정을 리소그라피라고 하는데 지금까지는 자기조립에 의해 하나의 기판 위에 두 가지 이상의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POSTECH 연구팀은 자외선 2017-12-061,038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아토피 멈춰” 몸 속 교통경찰이 부작용 없이 아토피 잡는다! [펩타이드 물질 활용해 아토피 치료제 개발, 면역력 담당 STAT6,NCOA1 상호작용 통해 아토피 유발 물질 억제 확인] 쉽게 낫지 않고 재발률이 높아 대표적 난치성 질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아토피 피부염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데다 부작용 때문에 약의 장기 투여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에 한계가 있다. 국내 연구진이 아토피 피부염 원인 중 하나인 과도하게 활 2017-12-011,393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버려지는 양파 껍질로 전기 만든다 [양파껍질 셀룰로스 성분으로 스마트 압전소자 개발, 인체무해한 압전소자로 안전하게, 기침하거나 걷기만 해도 전기 생성 가능] 눈을 깜박이고 기침을 하고, 무언가를 잡고 걷는 등 움직임을 통한 압력이 전기 에너지가 되는 압전소자 기술은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압전소자를 만들 때 꼭 필요한 결정 물질이 PZT*1와 BTO*2와 같은 유해물 2017-11-161,740 연구성과 화학 정성기-융합 김경태 공동연구팀, 한 번 실패했던 알츠하이머 치료제, ‘트로이 목마’로 “살렸다” 우리 몸속에도 적게 존재하는 사일로이노시톨(scyllo-inositol)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환자의 뇌에 모여 뇌세포를 죽게 하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던 물질이었다. 하지만, 임상실험에서 높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심각한 신장독성을 일으킨다는 결과를 얻고 결국 실패 2017-11-021,27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휴대폰 플래시에서도 선명한 홀로그램이 ‘차세대 에코 디스플레이’ 만든다 [실리콘 이용한 유전체 메타홀로그램 개발] 신용카드 뒷면에 붙은 무지개빛의 스티커나, 5만원권 지폐에 길게 붙은 은선은 모두 홀로그램을 이용한 위조방지 장치다. 이러한 홀로그램 기술은 공연이나 영상에도 활용되지만, 무엇보다 광원이 없이 외부의 빛을 그대로 반사해 영상을 띄우는, 차세대 ‘반사형 디스플레이’ 기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2017-10-2490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