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장지원 교수, 인간 만능줄기세포 분화의 핵심 기전 규명 [POSTECH-UCSB 공동연구팀,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 막는 분자 장벽 ‘ZBTB12’ 발견] 인간 만능줄기세포는 분화를 통해 다양한 체세포를 만들어낸다. 만능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 활동의 기초원리를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미국 2023-03-2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1초 만에 ‘기름만 쏙쏙’ 걷어내는 첨단 방제막 개발 [멤브레인(막) 통한 고속 대용량 물기름 분리 99%이상의 정확도 보여] 바다에 막대한 기름이 쏟아져 바닷물과 섞이거나 각종 화학물질과 기름, 물 등의 여러 액체가 혼합된 산업 유폐수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선 대량의 물과 기름을 잘 분리해 빠르고 정확하게 기름만 걷어내는 기술이 중요하다. POSTECH 연구팀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물기름 혼합물을 연속해서 2018-03-151,366 연구성과 물리 이후종 교수팀, 깨지기 쉬운 ‘양자’상태의 안정성을 높인다 [단간극(短間極) 수평형 그래핀 초전도접합 첫 실현] 꿈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기본 양자 소자를 안정화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다. 양자는 한 개의 입자가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대화하면 막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하지만 주변과 영향을 주고받아 성질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양자 소자가 2018-02-271,234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파리지옥 닮아 ‘스스로 동작을 제어하는’ 고분자 인공근육 개발 [초저전력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 대표적인 식충식물 파리지옥은 끈적한 액체로 벌레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다른 식충식물과 달리, 먹이가 덫에 들어오면 스스로 덫을 닫아 먹이를 가둔다. 덫 안에 있는 3개의 감각모 중 2개의 감각모를 건드리면 자동으로 입구를 닫는 원리다. 이런 파리지옥처럼 2개의 자극을 조사하여 그 움직임을 멈출 수 있는 액추에이터(인공 2018-02-261,841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단 5분 만에 빠르고 정확하게 초기 대장암 진단하는 스프레이 나왔다 [형광·퀀텀닷 이용한 탐사약물로 오류 없이 초기 암 찾아내는 기술 개발 식도암, 방광암, 자궁내막암 진단에 응용 가능성 제시] 우리나라 사망률 순위에서 위암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대장암,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2001년에 비해 15년 만에 73%나 증가했다. 대장암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조기 발견이 힘들기 때문인데 초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은 2018-01-291,50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선명한 홀로그램으로 철통 보안 가능해진다. [선명도 높이고 효율 높인 가시광 메타표면 제작 홀로그램 활용해 다양한 차세대 보안 디스플레이 활용 가능 기대] 전 세계의 비밀 요원들이 한 자리에 홀로그램으로 모여 회의를 하고, 주인공이 망토를 두르자 몸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영화 킹스맨, 해리포터 속 홀로그램이나 투명망토를 실현하는 이 기술은 메타표면이 핵심 기술이다. 메타 표면에 반사된 빛이 한 곳에 2018-01-231,107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소화제 ‘버블’로 막힌 혈관 촬영하고 뚫는 스텐트 개발 [3D프린팅 기술 이용, 스마트 스텐트 상용화 추진]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박사과정 금도희 씨는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와 공동으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진단·치료용 스마트 스텐트를 개발, 창업경진대회에서 연이어 대상을 수상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이나 장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2018-01-221,086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증발’ 이용해 6분 만에 충전하는 배터리 만든다 [계층형 다공성 금속 산화물로 고출력·고용량 전극 개발] 홍채나 얼굴인식,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 비서 서비스 등, 스마트폰의 기능은 갈수록 첨단화되어가고 있지만, 기능보다는 다소 속도가 늦은 분야가 있다. 바로, 스마트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다. 기능이 고도화될수록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만큼, 용량이 크면서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에 대한 2018-01-151,69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하이퍼렌즈로 살아있는 뉴런 관찰 최초 성공 [뉴런 실시간 관찰 가능한 초고해상도 이미징 모듈 개발 나노임프린팅으로 도장 찍듯 렌즈 배열해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물체도 쉽게 관찰]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체를, 좀 더 밝고 정밀하게 보기 위한 과학계의 시도는 계속됐다. 현미경은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과 전자빔을 사용해 사물을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으로 구분되는데 일반 광학현미경에 손쉽게 붙여 초고해상도 2018-01-12937 연구성과 물리 김승환 교수팀, 살짝 눌러도 “아야!”…폭발적으로 동기화하는 ‘뇌’ 때문? [POSTECH-美 미시건대 공동연구팀, 섬유근육통 원인 밝힌 논문으로 “주목”] ‘동기화’는 리듬을 가진 다양한 개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시계를 맞추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런 동기화 현상 중에서도 아주 작은 자극에도 폭발적으로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폭발적 동기화(explosive synchronization)’라고 부르는데, 갑작스러운 2018-01-111,269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 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 선임 [기후 분야 최고 저널…1988년 창간 이래 첫 한국인 편집위원]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미국 기상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오브 클라이미트(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기후과학 분야에서 최고 저널로 손꼽히는 이 저널이 1988년 창간 이래 한국인을 편집위원으로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승기 교수는 독일 본대 2018-01-0876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