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 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2025-01-16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21세기말, 파키스탄 하천 유량 3배 빨라진다 [감종훈 교수 연구팀, 기후 모델 미래 데이터 편향 수정 통한 파키스탄 지역 하천 유량의 계절적 변동성 예측] 모든 자연현상은 오랫동안 나름의 균형을 이뤄왔다. 하지만 현대 인간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자연이 오랫동안 유지해온 균형이 깨지고 있다. 자연을 이용하며 살아가야 하는 인간에게 깨진 균형은 미래를 예측하기 더욱 어렵게 만들고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와 2023-02-21429 대학소식 POSTECH 대경권, 예비 실험실 창업자 “모여라” [3월 24일까지…실험실창업 교육·최대 5천만원 지원 ] POSTECH은 대구경북 지역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2023년 공공기술 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한국형 아이코어 사업)’ 참가팀을 다음달 24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은 대학의 연구성과를 활용해 실험실창업 가능성을 검증하고 기술사업화를 2023-02-21293 대학소식 화학 박문정 교수, 美 물리학회 고분자물리분야 수석부회장 선임 [非 미국대학 소속으로 30년만 처음…3년 임기] 화학과 박문정 교수가 미국 물리학회(APS) 고분자 물리학 분과(Division of Polymer Physics) 2023년 수석부회장에 선출됐다. 지난 30년간 미국 대학 소속이 아닌 외국대학 교수가 수석부회장에 선출된 것은 처음이다. 2009년 POSTECH에 부임한 박 교수는 고분자 전해질 합성분석, 2023-02-20893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고속 충전 실현할 ‘마이크로 패터닝’ 기술 개발 [POSTECH-부경대 연구팀, 전고체 이차전지 계면 불안정성 개선] POSTECH-부경대학교 연구팀이 분자나 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해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마이크로 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로 전극 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표면을 개선할 수 있어 초급속 충전 배터리의 실현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공학과 김원배 2023-02-2067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 기계·IT융합 장진아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장-신장’ 이중장기 재현 [조동우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기반 장-신장 모사체 제작 및 장성 과수산뇨증 모사체 개발] 3D 바이오프린팅이란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쌓아 올려 원하는 조직이나 장기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장, 신장 등 장기나 근육 등 하나의 기관을 만드는 연구는 많았지만 서로 연결된 장기를 모사하는 경우는 없었다. 최근 POSTECH(포항공 2023-02-16758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파킨슨병 치료, 전극 삽입 없이 뇌심부자극술 한다 [김원종 교수팀, 초음파 감응성 전류·일산화질소 발생형 뇌-혈관 장벽 투과 압전 나노입자 이용한 뇌심부자극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신경세포의 파괴로 발생하는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이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여러 치료 방법 중에서 전기적 자극으로 신경세포 간의 신호를 직접적으로 활성화하는 ‘뇌심부자극술’ 2023-02-15801 대학소식 “제3회 포스텍 SF 어워드” 권재영‧이지효씨 당선 [단편부문 당선작 권재영의 <냉소제외대상: 라디오>] [미니픽션 부문 당선작 이지효의 <수신자 불명> 외 1편 선정]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주관하고 SF전문 출판사 아작이 후원하는 <제3회 포스텍 SF 어워드>에서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권재영씨(단편부문)와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 이지효씨(미니픽션부문)가 당선됐다. 이공계 대학 2023-02-15531 연구성과 환경 황동수 교수팀, 같은 듯 다른 ‘아르기닌’과 ‘라이신’, 왜? [황동수 교수‧홍유리 박사, 온도·염농도 이용한 아르기닌의 재진입 상거동 제어] 사람의 몸은 70%의 수분과 약 20%의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그리고 단백질을 구성하는 것이 바로 아미노산이다. 아미노산의 결합 순서와 조합에 의해 머리카락이나 피부 등 개인 차이가 생긴다. 또한, 인체가 감염과 싸우는 항체, 효소, 호르몬을 만들고,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 성 2023-02-14974 연구성과 전자‧IT융합 김철홍 교수‧기계 이승철 교수팀, ‘몸속 천둥번개’, 딥러닝으로 더 빠르고 선명하게 혈관을 찍는다 [POSTECH 연구팀, 딥러닝 이용해 3차원 소동물 전신 광음향 컴퓨터 단층촬영 시스템 개선 기술 발표] 번개가 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가면 주변 물질이 이 빛을 흡수해 빛이 열로 변하면서 순식간에 물질이 팽창해 소리가 나는 ‘광음향’ 현상이다. 최근에는 이 신비로운 자연현상을 몸속으로 가져와 조영제가 필요치 않은 다양한 2023-02-13551 연구성과 POSTECH 공동연구진, 그래핀 전자 가속기의 고에너지 빛 방출 원리 규명 [극단의 비선형 광학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야 제공] 강한 전자기장을 걸어 진공에서 전자를 빠르게 가속하면 강력한 전자기파가 방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활용하여 ‘빛 공장’이라 불리는 방사광가속기는 태양 빛보다 100경 배 밝은 빛을 만들어내며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신약 소재 등의 구조를 원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 최근 POSTECH 공동연구진이 그 2023-02-1265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