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조동우 교수팀, 약물 독성 미리 알아보는 인공신장 개발 [조동우·장진아 교수팀, 동축 세포 프린팅 기반 인간 사구체 모델 개발]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 생체에 유독하고 불필요한 물질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한데, POSTECH 연구팀이 약물 반응을 미리 관찰할 수 있는 ‘인공신장’을 개발했다. 2023-03-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 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 선임 [기후 분야 최고 저널…1988년 창간 이래 첫 한국인 편집위원]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미국 기상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오브 클라이미트(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기후과학 분야에서 최고 저널로 손꼽히는 이 저널이 1988년 창간 이래 한국인을 편집위원으로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승기 교수는 독일 본대 2018-01-08767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인간이 키운 엘니뇨가 지구의 허파를 틀어막는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엘니뇨-탄소순환 관련 증폭 연구] 적도 부근의 바닷물 수온이 올라가는 현상을 의미하는 엘니뇨. 평소와 달리 따뜻해진 바닷물은 불어야 할 무역풍을 약화시켜 예상치 못한 폭우와 가뭄 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엘니뇨 현상이 지구의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탄소순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전에도 있었지만, 인간이 만들어낸 온실가스로 인해 상호작용 2018-01-051,307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김상욱 교수팀, 진행성 간암 ‘움직이는 손’ 찾았다 [CIC 유전자와 간암세포 증식 상관관계 규명 CIC-ETV4-MMP1 조절 메커니즘 밝혀내 표적 치료 가능성 제시] 간암은 우리나라 암 사망률 가운데 2위다. 간암 치료는 암 부위를 직접 떼어내는 수술, 암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차단하는 색전술, 항암제를 투여하는 항암치료나 표적 치료 방법이 있다. 하지만 주변 혈관에 암세포가 침투한 상태인 진행 2017-12-29984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유방암 잡을 어벤져스 나노머신이 나왔다 [나노머신 이용해 삼중복합 항암치료제 개발 항암제, 열, 활성산소종 혼합치료로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에 효과] 우리나라 여성 암 발병률 2위를 차지하는 유방암. 유방암은 조기 검진이 확대되고 치료법이 다양해 생존율이 높은 암에 속하지만, 그 중에서도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하기 까다로운 암으로 손꼽힌다. 유방암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세포막 단백질 일종인 2017-12-221,043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거미의 민감한 “촉”이 전신마비 환자의 “입”으로 [거미 발 구조 모사한 다목적 센서 개발] 대부분의 거미는 시력이 퇴화되어 거의 볼 수가 없지만, 아주 좋은 촉각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다. 발을 통해 전달되는 거미의 촉각은 날벌레의 날개 진동까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 이 예민한 ‘촉’을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들이 원하는 단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이 개발됐다. 2017-12-191,100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창의IT 김철홍 교수 공동연구팀, 초점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액체렌즈 개발 [수술 및 영상진단에서 고품질 생체 영상 획득 기대] 기계공학과 김동성・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공동연구팀이 가변초점 액체렌즈를 개발하고, 광음향영상*1 장치에 적용하여 고품질의 생체영상을 획득하였다고 밝혔다. 고정된 형태의 고체렌즈와 달리 액체렌즈는 모양을 자유롭게 바꾸고 초점거리를 쉽게 조절하는 유연성이 있어서, 차세대 유망기술로서 연구가 활발히 2017-12-13857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과 ‘규조류’로 임플란트 회복 크게 앞당겨 [홍합접착단백질-실리카 하이브리드 소재로 2배 빠른 골 조직 재생 확인 표면 거칠기 조절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임플란트 코팅소재 개발] 충치나 사고, 노화로 인해 치아가 제 기능을 못 하게 될 때 최후의 수단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시술을 고려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지만, 초기 골 융합*1 이 일정 기간 내에 발 2017-12-111,053 연구성과 화학과 이은성 교수팀, ‘트리아지닐 라디칼’ 미국 화학회 ‘올해의 분자’ 선정 우리대학 화학과 이은성 교수∙통합과정 백지수씨 팀이 합성한 분자 ‘트리아지닐 라디칼’이 미국 화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 저널 C&EN(Chemical & Engineering News)의 ‘올해의 분자(Molecules of the Year)’로 선정됐다. 트리아지닐 라디칼은 따로 분리해내기 어려운 물질로 2017-12-071,555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자외선으로 패턴 다양하게! 고성능 반도체용 리소그라피 기술 개발 [빛으로 다중 나노 패턴 제작 쉽고 간단하게 차세대 반도체 패턴화 기술 개발] 고성능 반도체 개발을 위해선 작은 기판 위에 패턴을 매우 작고 다양하게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다. 반도체 기판 위에 패턴을 새기는 공정을 리소그라피라고 하는데 지금까지는 자기조립에 의해 하나의 기판 위에 두 가지 이상의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POSTECH 연구팀은 자외선 2017-12-061,055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아토피 멈춰” 몸 속 교통경찰이 부작용 없이 아토피 잡는다! [펩타이드 물질 활용해 아토피 치료제 개발, 면역력 담당 STAT6,NCOA1 상호작용 통해 아토피 유발 물질 억제 확인] 쉽게 낫지 않고 재발률이 높아 대표적 난치성 질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아토피 피부염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데다 부작용 때문에 약의 장기 투여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에 한계가 있다. 국내 연구진이 아토피 피부염 원인 중 하나인 과도하게 활 2017-12-011,410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