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기업시민 경영과 ESG 아이디어 공유의 장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 개최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기업시민 경영과 ESG 아이디어 공유의 장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 개최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는 대학생 및 포스코그룹 임직원 등과 함께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Corporate Citizenship Level up Ground)’를 개최하여, 기업시민 경영과 ESG에 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기업시민 레벨업 그 2023-12-0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THE 소규모 대학평가 3년 연속 세계 3위 세계대학평가기관인 영국 더타임즈(Times Higher Education, 이하 THE)가 최근 발표한 2021 소규모 세계대학평가(World’s Best Small Universities)에서 POSTECH이 3년 연속 세계 3위에 올랐다. THE는 매년 학생 수가 5,000명 미만의 대학을 대상으로 세계 랭킹을 발표한다. 소규모 세계대학평가는 세계대학평 2021-08-133,479 대학소식 화학 장영태 교수, 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 ‘앙게반테 캐미’ 국제자문위원으로 선임 화학과 장영태 교수가 독일에서 발행하는 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 중 하나인 ‘앙게반테 캐미(Angewante Chemie)의 새로운 국제자문위원단에 이름을 올렸다. 앙게반테 캐미 의결위원회와 집행위원회는 앙게반테 캐미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연구자들의 다양한 지역, 경력, 성별 등을 반영하고, 연구자와 독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하여 37명의 새로운 2021-08-1276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암 치료도 맞춤시대, 인공 암으로 미리 테스트해본다 [인-시투(in situ) 프린팅 기술 이용한 체외 암-혈관 모델 개발] 일반적으로 항암 치료는 종양의 유전체와 분자적 배경에 따라 환자마다 다른 결과를 초래한다. 만약, 환자에게서 채취한 암세포나 줄기세포를 배양해 약물 반응을 사전에 시험해보고, 환자에게 맞는 치료제를 찾는다면 어떨까? POSTECH 연구팀이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혈관화된 전 2021-08-11538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염증은 ‘콕’ 찍어 캐내고, 약물은 ‘딱’ 맞춰 전달한다 [류머티즘 관절염 복합치료를 위한 일산화질소 포집 및 감응성 약물방출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개발] 아침이면 관절이 뻣뻣하거나 아프면서 열이 나고 붓는 경험이 있었는가? 손과 손목, 발과 발목처럼 여러 관절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관절 질환인 류머티즘 관절염은 아직까지 발병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만큼 염증을 완전히 제거하는 치료제를 2021-08-10638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대체 장기 기술, 체내 장기 기능을 모사하여 실제 대(大)체적 크기로 제작하다 [한·뉴질랜드 공동연구팀, 光개시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 바이오잉크 개발] 바이오잉크란 3D 또는 4D 프린팅을 통해 체내 조직이나 장기를 만들 때 사용되는 소재이다. 세포를 보호하여 프린팅 후 세포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바이오 프린팅 기술의 핵심으로 꼽힌다. 최근 한 연구팀이 독성은 줄이고 세포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물성을 향상시킨 바 2021-08-091,217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첨단재료 손창윤 교수 공동연구팀, ‘데드존’ 없는 전고체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POSTECH 공동연구팀, 고분자 전해질의 정전기적 계면 활용한 이온 전도 향상] 전기차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태생적으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는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전지인 전고체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고체 전지의 낮은 이온 전도율은 전기차 대중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온 전도율을 떨어뜨리는 2021-08-061,161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빛으로 화학반응 조절하는 ‘코어@쉘’ 촉매 개발 [원자두께의 금속 나노박막 코팅으로 광촉매 성능·내구성 ↑] POSTECH 연구팀이 원자두께의 금속박막을 지니는 ‘코어(core)@쉘(shell)‘ 나노결정을 이용해 플라즈몬 광촉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쉘로 둘러싸인 코어의 구조를 가지는 코어@쉘 나노결정들은, 코어와 쉘을 이루는 서로 다른 물질들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 2021-08-04691 연구성과 컴공·인공지능 황인석 교수팀, AI가 소통의 방아쇠가 되는 ’순간‘을 찾아드립니다 [POSTECH – KAIST – KOREATECH, 일상생활 밀착형 모바일-클라우드 AI 서비스 개발] 우연히 발견한 한 장의 사진은 사진을 찍었던 그 날의 분위기와 기분 그리고 추억까지 떠올리게 한다. 국내 연구팀이 개인의 추억을 소환하는 서비스를 넘어 공동의 추억을 소환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세대 간 소통의 방아쇠가 되는 ’순간‘을 찾아주는 2021-08-03627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관상동맥 경화증 모사하는 3D 프린팅 폐색기 개발 [돼지 심근경색 모델 제작을 위한 맞춤형 3D 프린팅 폐색기 제작 성공] 인간을 대신해 살아있는 동물에게 약물을 투여하거나 외상을 입혀 그 반응을 조사하는 방법인 동물실험은 생물의 기능 규명에 크게 기여했으나, 개체 간 다양성으로 인해 같은 방법으로 질환 모델을 유도하더라도 그 결과는 다른 경우가 많다. 국내 연구팀이 3D 프린팅을 이용해 관상동맥 경화증을 2021-08-02463 연구성과 IT융합 유선철 교수팀 (경북씨그랜트센터), 울릉도 양식장도 24시간 스마트하게 관찰한다 [경북씨그랜트센터, 스마트 양식 시스템 운영 시작] POSTECH이 울릉도 연안 양식장에 스마트 양식 시스템을 시범 설치하고, 운영을 시작했다.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센터장 유선철)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는 울릉도 양식산업의 첨단화를 위해 ‘스마트 무선 양식 시스템’을 도입했다. 스마트 양식 시스템은 2021-08-0240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