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생명/IT융합/융합 장진아 교수팀, 스스로 조립하는 뇌혈관, 알츠하이머 고칠까 [POSTECH·서울대병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신경염증 질환 연구 새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생명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 서울대병원 신경외과학교실 백선하 교수 연구팀이 ‘인간 뇌혈관 장벽(이하 Blood-Brain Barrier, 이하 BBB)’을 정교하게 모사한 3D 모델을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 2025-01-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무거운 고글은 가랏! ‘초고굴절률 렌즈’로 엣지있게 [실리콘 원자구조 조절을 통한 가시광 손실없는 투명한 실리콘 개발] POSTECH 연구진이 우리가 물체의 색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비정질 실리콘을 발견함으로써 가상·증강현실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도 종잇장처럼 얇은 안경렌즈로 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2021-02-081,017 연구성과 생명 이승우 교수팀, 장내세균 꼼짝 말라! [장 상피 면역세포 분화 메커니즘 최초 규명]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면역세포는 장(intestine)에 살고 있다. 장은 장내 공생세균과 음식물 등 다양한 항원에 노출되는 공간으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면역반응을 유도해야 한다.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문숙진 씨, 연구교수 박윤지 씨 연구팀은 장상피세포에 의한 T세포(intraepithelial 2021-02-021,112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인도 몬순이 한반도 ‘가을 태풍’ 유도해 [“지구온난화로 인도몬순 강해지면…한반도로 향하는 태풍 더 늘어날 것”] 인도몬순 변동성이 동아시아 대기의 흐름을 바꿔 한반도 가을 태풍에 영향을 끼친다는 과학적 근거가 처음으로 제시됐다.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 박사과정 성민규 씨 연구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 공주대학교, 국립기상과학원, 영국기상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록적으로 많은 2021-02-01635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공기 중에서 조립 가능한 배터리 개발 – POSTECH-울산과학대, 대기 중에 불순물 포획하는 다기능성 분리막 개발 – 드라이 룸 없이 공정비 절감하는 배터리 제조 환경 가능성 열어 2020년 노벨 화학상의 영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개발한 인물들에게 돌아갔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소형 IT기기에서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전기 기기의 필수 에너지 원천이 됐다. 최근 미국의 2021-01-281,31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빛’ 제어해 ‘철통 보안’ 달성한다 [후방 위상 일치형 제2차 조화파]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은 인류의 고차원적 지적 활동이다. 인간은 광기술 연구를 통해 정보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기술인 와이파이 통신을 실현하였고, 광학 라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가까운 미래에는 자율형 자동차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POSTECH 연구팀이 빛의 위상정보와 세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초박막 메 2021-01-26622 연구성과 POSTECH-에이비엘바이오, 4-1BB 이중항체가 종양 성장 막는다 [4-1BB 이중항체 연구결과, SCI급 학술지 ‘Science Advances’ 등재]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유기훈씨, 에이비엘바이오 공동연구팀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를 도입한 4-1BB 이중항체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내에서만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2021-01-2073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변조 완벽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나왔다 [편광 광학 암호화 가능한 나노 구조체 개발] 명품 가방, 유가 증권, 신분증 등에 부착되는 위변조 방지 장치들에도 불구하고 위조품은 날로 늘어가고 있다. 전통적인 위변조 방지 기술을 넘어 쉽게 위조할 수 없고,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차세대 위변조 방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정충환씨, 기계공학 2021-01-20661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창의IT 장진아 교수팀, 인공동맥혈관으로 몸 밖에서 동맥경화 본다 [인-배스(In-bath) 동축 세포 프린팅 기법 이용한 생체 외 죽상동맥경화증 모델 개발]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침착하면 지름이 좁아지거나 막혀 수도관이 터져버린다. 인체의 혈관도 이와 같은데,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의 가장 안쪽 막에 콜레스테롤 침착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이런 혈관을 관찰하기 위 2021-01-181,062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 [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 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데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적인 동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에서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2021-01-141,603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이중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탄소 중립’ 앞당긴다 [POSTECH–UNIST-성균관대 공동연구팀, 산소 공공 형성 메커니즘 규명]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자원고갈로 인해 탈탄소화를 위한 움직임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작년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합해 0으로 만들어 순 배출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와 수소 2021-01-1170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