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정규열 교수팀, 제철소 부생가스의 화려한 변신…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만든다 [한국·스페인 공동연구팀, 인공효소 이용한 이타콘산 대량 생산법 개발] [“제철소 부생가스 발효산물·농수산 부산물 등 값싼 원료 활용…생산비용 대폭 낮춰”] 간편하고 맛있는 배달 음식. 하지만 음식을 먹고 난 뒤 쌓이는 플라스틱은 환경을 급속도로 오염시키며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일명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바이오 플 2022-10-11792 대학소식 포항가속기연구소 윤영대 박사, 아시아태평양물리학연합회 신진연구자상 수상 [올해 수상자 중 한국인 ‘유일’…기초 플라즈마 물리 분야에서 큰 성과 인정받아]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소장 김광우) 윤영대 박사가 아시아태평양물리학연합회(AAPPS, Association of Asia Pacific Physical Societies) 플라즈마 물리분과(Division of Plasma Physics)에서 선정하는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했 2022-10-06569 대학소식 화공 한정우 교수, 2022년 10월 과학기술인상 선정 [성능과 안정성이 우수한 나노촉매 합성 원천기술 개발]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10월)’을 수상했다. 한정우 교수는 고성능 나노촉매 합성 방법을 개발하는 등 에너지소재 설계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고성능·고안정성의 나노촉매는 첨단 화학산업 2022-10-06816 연구성과 물리 김동언 교수팀, 분광계 없이 찰나의 빛 포착한다 [POSTECH·MPK·부산대 공동연구팀,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 레이저 펄스 파헤치는 측정 기술 개발] 바쁜 일정에 쫓겨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면 빠르게 지나가는 1분 1초가 아깝게 느껴진다. 그보다 짧은 찰나의 순간에도 쉴 새 없이 벌어지는 일이 있다. 바로 전자, 원자, 분자의 움직임이다. 펨토초(fs, 1,000조분의 1초), 아토초 2022-10-05615 대학소식 POSTECH·ETRI·서울아산병원 팀, 세계 최상위 의료 인공지능 대회서 2위 거둬 [국제의료영상처리학회 주최 뇌졸중 분석 알고리즘 경진대회서 전 세계 18개 팀 중 수상 영예] 국내 연구팀이 최근 ‘뇌졸중 분석 알고리즘 경진대회(ATLAS, Anatomical Tracings of Lesions After Stroke)’에서 전 세계 18개 팀 가운데 2위를 거뒀다. 이 대회는 뇌병변 워크숍(Brain Lesion workshop)이 주 2022-10-04550 연구성과 화학 최창혁 교수팀, 양이온이 길러내는 ‘산업의 쌀’ 에틸렌 [POSTECH·KAIST 공동 연구팀, “전기이중층 양이온 종류·농도가 이산화탄소 전환 성공의 핵심 열쇠”] 무색(無色)의 기체 에틸렌이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에틸렌이 플라스틱과 비닐, 합성고무 등 다양한 석유화학 물질의 원료가 되기 때문이다. 최근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이 화제 2022-10-04833 대학소식 세계 의과학·의공학 석학 POSTECH서 만난다 [POSTECH, 내달 11~12일 ‘시그니처 콘퍼런스 2022’ 진행 예정] [최정상 의사과학자·의과학자·의공학자 한 자리에…각 분야 연구자들과 활발한 네트워킹 기회 마련] POSTECH에서 세계 의과학·의공학 석학을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최정상 의사과학자·의과학자·의공학자들의 혁신적인 연구와 각 분야 최신 동향을 접하고, 각계 전문가들과 네트 2022-09-29747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금속’ 괴롭히는 산화 반응 이용해 친환경 화합물 “펑펑” [POSTECH·서울대 공동연구팀, 촉매의 이종 접합 구조와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 상관관계 규명] [“접합 계면에서 생기는 응력으로 포름산 전환 효율 극대화”] 귀걸이나 목걸이를 오래 보관하다 보면 거뭇하게 색이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금속이 산소에 닿으면 일어나는 산화 반응 때문이다. 이 산화 반응은 이산화탄소(CO2)를 유용한 연료로 바꿀 때 쓰이 2022-09-291,259 대학소식 POSTECH, 융복합 시대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제시한다 융합문명연구원(원장 박상준)은 오는 30일 ‘융복합 시대와 대학교양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대학이 최고 고등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언제나 필요하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의해 문명사적인 전환기에 처한 현재 상황에서는 그러한 질문이 한층 날카롭게 요청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융합문명연구원은 국 2022-09-27314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1회 충전으로 ‘630km’ 달리는 ‘이 배터리’는?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에너지밀도 극대화한 무(無)음극 배터리 개발…에너지 밀도 ‘40%’ 높여] 작년 한 해에만 국내 신규 등록 전기차가 ‘10만 대’를 돌파했다. 전 세계에서 이 같은 기록은 한국과 노르웨이 둘 뿐이다. 이제는 흔히 볼 수 있는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과 충전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소재가 바로 ‘음극재’다. 국내 배터리 업계 2022-09-2777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