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김진곤·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를 붙잡아라”… 트랩으로 센서 한계 돌파 [Deep trap으로 정전기 센서 성능 지속 성공] 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2023-12-0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선명한 홀로그램으로 철통 보안 가능해진다. [선명도 높이고 효율 높인 가시광 메타표면 제작 홀로그램 활용해 다양한 차세대 보안 디스플레이 활용 가능 기대] 전 세계의 비밀 요원들이 한 자리에 홀로그램으로 모여 회의를 하고, 주인공이 망토를 두르자 몸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영화 킹스맨, 해리포터 속 홀로그램이나 투명망토를 실현하는 이 기술은 메타표면이 핵심 기술이다. 메타 표면에 반사된 빛이 한 곳에 2018-01-231,176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소화제 ‘버블’로 막힌 혈관 촬영하고 뚫는 스텐트 개발 [3D프린팅 기술 이용, 스마트 스텐트 상용화 추진]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박사과정 금도희 씨는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와 공동으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진단·치료용 스마트 스텐트를 개발, 창업경진대회에서 연이어 대상을 수상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이나 장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2018-01-221,181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증발’ 이용해 6분 만에 충전하는 배터리 만든다 [계층형 다공성 금속 산화물로 고출력·고용량 전극 개발] 홍채나 얼굴인식,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 비서 서비스 등, 스마트폰의 기능은 갈수록 첨단화되어가고 있지만, 기능보다는 다소 속도가 늦은 분야가 있다. 바로, 스마트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다. 기능이 고도화될수록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만큼, 용량이 크면서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에 대한 2018-01-151,77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하이퍼렌즈로 살아있는 뉴런 관찰 최초 성공 [뉴런 실시간 관찰 가능한 초고해상도 이미징 모듈 개발 나노임프린팅으로 도장 찍듯 렌즈 배열해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물체도 쉽게 관찰]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체를, 좀 더 밝고 정밀하게 보기 위한 과학계의 시도는 계속됐다. 현미경은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과 전자빔을 사용해 사물을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으로 구분되는데 일반 광학현미경에 손쉽게 붙여 초고해상도 2018-01-121,007 연구성과 물리 김승환 교수팀, 살짝 눌러도 “아야!”…폭발적으로 동기화하는 ‘뇌’ 때문? [POSTECH-美 미시건대 공동연구팀, 섬유근육통 원인 밝힌 논문으로 “주목”] ‘동기화’는 리듬을 가진 다양한 개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시계를 맞추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런 동기화 현상 중에서도 아주 작은 자극에도 폭발적으로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폭발적 동기화(explosive synchronization)’라고 부르는데, 갑작스러운 2018-01-111,355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 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 선임 [기후 분야 최고 저널…1988년 창간 이래 첫 한국인 편집위원]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미국 기상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오브 클라이미트(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기후과학 분야에서 최고 저널로 손꼽히는 이 저널이 1988년 창간 이래 한국인을 편집위원으로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승기 교수는 독일 본대 2018-01-08834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인간이 키운 엘니뇨가 지구의 허파를 틀어막는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엘니뇨-탄소순환 관련 증폭 연구] 적도 부근의 바닷물 수온이 올라가는 현상을 의미하는 엘니뇨. 평소와 달리 따뜻해진 바닷물은 불어야 할 무역풍을 약화시켜 예상치 못한 폭우와 가뭄 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엘니뇨 현상이 지구의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탄소순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전에도 있었지만, 인간이 만들어낸 온실가스로 인해 상호작용 2018-01-051,439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김상욱 교수팀, 진행성 간암 ‘움직이는 손’ 찾았다 [CIC 유전자와 간암세포 증식 상관관계 규명 CIC-ETV4-MMP1 조절 메커니즘 밝혀내 표적 치료 가능성 제시] 간암은 우리나라 암 사망률 가운데 2위다. 간암 치료는 암 부위를 직접 떼어내는 수술, 암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차단하는 색전술, 항암제를 투여하는 항암치료나 표적 치료 방법이 있다. 하지만 주변 혈관에 암세포가 침투한 상태인 진행 2017-12-291,043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유방암 잡을 어벤져스 나노머신이 나왔다 [나노머신 이용해 삼중복합 항암치료제 개발 항암제, 열, 활성산소종 혼합치료로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에 효과] 우리나라 여성 암 발병률 2위를 차지하는 유방암. 유방암은 조기 검진이 확대되고 치료법이 다양해 생존율이 높은 암에 속하지만, 그 중에서도 삼중음성 유방암은 치료하기 까다로운 암으로 손꼽힌다. 유방암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세포막 단백질 일종인 2017-12-221,114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거미의 민감한 “촉”이 전신마비 환자의 “입”으로 [거미 발 구조 모사한 다목적 센서 개발] 대부분의 거미는 시력이 퇴화되어 거의 볼 수가 없지만, 아주 좋은 촉각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다. 발을 통해 전달되는 거미의 촉각은 날벌레의 날개 진동까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 이 예민한 ‘촉’을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들이 원하는 단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이 개발됐다. 2017-12-191,17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