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4주 단기 앱 개발 과정 ‘Apple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앱 개발 과정을 통해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높이는 단기 집중 교육] [2월 18일까지 참여자 모집,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는 코딩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4주 단기 앱 개발 교육 과정인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이면 학력, 경력, 성별에 2025-02-1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더 크게, 더 진짜같이’…인공장기의 미래는? [장진아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 활용 인공장기 제작법 집대성] 3D 프린터로 ‘생생하게’ 움직이는 우리 몸속 장기를 만드는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최근, 살아 있는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로 인공조직을 만들어내는 바이오프린팅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인공조직을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더 큰 조직이나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어,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2022-08-19844 대학소식 POSTECH 학생들, 한국은행 통화정책 경시대회 동상 [산경 박용헌·채민주, 수학 김아라, 무은재 장윤우 씨 등 MP러닝 팀 전국결선대회서 수상] POSTECH 학생들로 구성된 ‘MP러닝’팀이 한국은행이 최근 개최한 ‘2022 통화정책 경시대회’ 전국결선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MP러닝팀은 산업경영공학과 박용헌·채민주 씨, 수학과 김아라 씨, 무은재학부 장윤우 씨 등 4명의 학부생으로 이뤄졌다. 지난달 열린 2022-08-17747 대학소식 “Made in 공대”…POSTECH SF 어워드 수상작품집 출간 [1·2회 어워드 수상작 비롯해 총 11편 수록…온라인 서점 판매] ‘제1·2회 POSTECH SF 어워드’의 수상작품집이 최근 출간됐다. POSTECH SF 어워드는 소통과 공론 연구소(소장 김민정)가 주관하는 국내 유일의 이공계 대학(원)생 대상 SF 공모전이다. 수상작품집에는 제1회 단편소설 당선작 <어떤 사람의 연속성>(이하진), 미니픽션 2022-08-17427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단일분자에 ‘이불 덮어’ 생명의 기원 밝힐 실마리 찾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1나노미터 단일분자 자세 변화 관측 성공] [“향후 난치병 원인·치료법 개발 연구에 적용 기대”] 약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단일분자는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약 100nm 크기의 코로나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생각하면 단일분자 관측이 얼마나 어려 2022-08-17679 대학소식 POSTECH, ‘2022년 ATE 가속기 여름학교’ 성료 POSTECH이 ‘2022 ATE(Accelerator Technology Expert) 가속기 여름학교’를 최근 성료했다. 가속기 분야 최정예 인력양성을 목표로 첫발을 뗀 ATE 가속기 여름학교는 포항가속기연구소 과학관에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진행됐다. POSTECH을 비롯해 6개 공동연구대(UNIST, GIST, 부산대, 서울대, 조선대, 2022-08-16442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세포’처럼 촉매 반응도 정밀하게 조절한다 [이인수 교수팀, 자기 물질 촉매와 플라즈몬 촉매 합친 나노반응기 개발] [“단계별 촉매 반응을 원격으로 조절…95% 수율의 시남알데하이드 생성”] 우리가 가만히 있을 때도 몸속 세포는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다. 세포에서는 다양한 화학반응이 잇달아 일어나는데, 반응의 각 단계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조절되면서 생명이 유지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2022-08-1651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라, 들어갔나?” 얇디 얇은 렌즈로 내시경 불쾌감 확 줄인다 [한국·독일·호주 공동연구팀, 무색수차 초박막 메타렌즈와 결합한 메타 광섬유 개발] [“이미지 선명도 높이고, 부피 줄이고…내시경 불쾌감 해소 기대”] 종합건강검진을 할 때 빠질 수 없는 위 내시경 검사. 신체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선 몸속으로 카테터를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느껴지는 불쾌감과 통증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두려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빛을 전 2022-08-11517 대학소식 전자 문승식 씨, IEEE 회로·시스템 분과 장학생 선정 [전 세계 박사과정생 중 소수만 선정…디지털 회로설계 분야에서 한국인 최초 수상 쾌거]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문승식 씨(지도교수 이영주)가 최근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회로·시스템 분과(CASS, Circuits and Systems Society)’에서 ‘박사과정생 장학금(2022 Pre-Doctoral Grants)’을 받았다. 이 상은 2022-08-11353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대사질환 잡는 단백질, 치매도 잡는다? [POSTECH-노브메타파마 공동연구팀, 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몇 해 전 방영했던 인기 드라마 ‘눈이 부시게’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주인공이 등장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치 2022-08-10528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힘과 속도’ 두 마리 토끼 한 번에 잡는 인공 근육 나올까 [박문정·손창윤 교수팀, 기계적 강도·이온 전도도 동시에 높인 이종 관능기 고분자 전해질 개발] [“강한 힘 내면서도 반응 속도 빠른 인공 근육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어”] 미국의 액션 영화 ‘퍼시픽 림’을 보면 거대한 로봇 ‘예거’가 등장해 정체 모를 괴물로부터 인류를 구하기 위한 전투를 펼친다. 생체를 모방한 인공 근육이 탑재된 이 로봇은 강한 힘과 2022-08-0954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