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장지원 교수, 인간 만능줄기세포 분화의 핵심 기전 규명 [POSTECH-UCSB 공동연구팀,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 막는 분자 장벽 ‘ZBTB12’ 발견] 인간 만능줄기세포는 분화를 통해 다양한 체세포를 만들어낸다. 만능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 활동의 기초원리를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미국 2023-03-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제8대 총장으로 김무환 첨단원자력공학부/기계공학과 교수 선임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이사장 최정우)는 7월 17일 개최된 2019학년도 제2회 이사회에서 오는 8월 31일 임기가 만료되는 김도연 총장의 후임으로 첨단원자력공학부/기계공학과 김무환 교수를 POSTECH 제8대 총장으로 선임하였다. 신임 김무환 총장의 임기는 2019년 9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 4년간이다. POSTECH 이사회는 “김무환 2019-07-174,47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AI가 자연에 없는 ‘투명망토’ 물질 설계한다 [딥러닝 활용한 메타물질 설계법 개발] SF소설이나 게임 등에 자주 등장하는 ‘투명망토’ 물질로 알려진 메타물질은 사실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물질이다.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인공원자를 정밀하게 설계해 빛의 편광이나 회전을 조절, 자연계에 없는 새로운 광학 성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문제는 원하는 특성의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번 설계하고 2019-07-151,366 대학소식 POSTECH, 서울대‧숙명여대‧연세대‧이화여대‧KAIST 등과 ‘기업가정신 해커톤 캠프’ 개최 POSTECH은 서울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KAIST 등 5개 대학과 함께 12일까지 이 대학 캠퍼스에서 ‘기업가정신 해커톤 공동캠프’를 개최한다.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기업가정신 함양 및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공동 교과목으로 진행되는 이 캠프에는 6개 대학 재학생 43명이 참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 기술창업, 사업화 등 2019-07-111,146 대학소식 김도연 총장, 韓-佛 과학기술혁신회의서 “한국 대학의 교육‧연구‧혁신” 소개 김도연 총장이 7월 10일까지(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라 빌레트 과학산업관(La Cité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에서 열리는 프랑스 교육진흥원(Campus France)이 주최하는 ‘캠퍼스프랑스 국제 연구혁신회의(Campus France Research and Innovation Meetings)’에 한국 대표로 2019-07-10535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북극 온난화 원인 찾다 바닷속에 살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흡수,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지구 온난화로 해빙이 녹을 경우, 오히려 식물성 플랑크톤이 온난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일까. 식물성 플랑크톤의 두 얼굴!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고기의 먹이로,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또 광합성으로 대기 중 2019-07-10964 연구성과 환경 최원용 교수 공동연구팀, ‘철든’얼음에서 찾아낸 지구온난화 해결의 실마리 [온실가스 흡수하는 극지방 미세조류 번성과정 규명] POSTECH과 극지연구소 (소장 윤호일)는 극지방의 얼음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해 지구온난화의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바다에 사는 미세조류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극지방의 얼음에서 미세조류의 성장을 돕는 철 이온이 방출되는 2019-07-03739 대학소식 POSTECH 국내 첫 확장형 양자컴퓨팅 구축나선다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선정…수학 차재춘 교수는 리더연구 신규 지정도] POSTECH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센터장: 전자전기공학과 심재윤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공학분야(ERC : Engineering Research Center) 국가 사업에 선정되어 7년간 국비 135억원(경상북도 13.5억원 등 총 2019-07-011,566 대학소식 우리대학 야구 및 농구 선수단, 포카전 대비 연세대에서 구슬땀 우리대학 야구 및 농구 선수단이 연세대학교에서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합숙훈련을 진행했다. 농구부 14명, 야구부 6명은 오는 9월에 열리는 포스텍-카이스트 학생대제전(포카전)의 승리를 위해 연세대의 국가대표급 코치 및 선수들로부터 밀착 지도를 받으며 기량을 끌어올리고 있다. 우리대학과 연세대는 개방공유캠퍼스를 선언하며 교육, 연구 뿐 아니라 학생분야에 2019-06-281,045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유전자 변이의 질병유발 확률 계산이 가능한 정밀의료기술 개발 [유전자변이 질병확률 예측]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변이로부터 질병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정밀의료 기술을 개발했다.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법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환자의 유전자 변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밀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에 따라 유전자 변이의 질병 확률을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있는 생물정보학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팀 2019-06-262,837 대학소식 세포막단백질연구소, 독일과 미국에 이어 세계 3번째 설립 ☞동아일보 기사 바로가기 (19.06.05) 2019-06-2584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