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이공계의 무한 상상력 “제2의 ‘마션’을 찾아라!” [제5회 ‘POSTECH SF 어워드’ 개최, 내년 1월 12일까지 ’SF 단편소설‘ 부문 접수]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POSTECH SF 어워드’를 통해 국내 이공계 학생들에게 다시 한번 상상력을 펼칠 기회를 제공한다. ‘SF 단편소설’ 부문(200자 원고지 90매)에서 작품을 모집하며, 기한은 내년 1월 12일까지다. 세계적으로 큰 인기 2024-10-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규 교수-화공 한정우 교수 공동연구팀, 싸고 흔한 니켈로 수소에너지 만든다 [POSTECH 공동연구팀, 친산소성 전이금속이 도핑된 니켈 기반 촉매 시스템 개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문제와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소에너지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니켈을 촉매 전극으로 사용 2021-01-061,070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액체금속 잉크’로 형태의 자유 얻다 [POSTECH–연세대 공동연구팀, 형태 변형이 가능한 3차원 배선용 액체금속 잉크 개발] 요즘 전자 소자는 접거나, 늘리거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폼 팩터(form factor)*1’를 추구하고 있다. 형태가 변하거나 신축성이 높은 전자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큰 변형이나 기계적인 손상 시에도 전기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전극과 배선을 개발하 2021-01-051,090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수퍼 박테리아 잡는 ‘쟁기질 표면’ 나노결정 발견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나노구조체의 표면질감 제어한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은 신종 바이러스나 약물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 등 새로운 병원체에 대한 두려움을 안겨주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초소형 입자(100nm 이하)인 나노 소재의 표면의 미세구조 제어함으로써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화학 2021-01-041,036 연구성과 환경 이기택 교수팀, 오염물질로 인한 바다 변화가 가장 빨리 일어나는 곳은 “이어도” [동북아 해역에서의 비옥화 원인 밝혀] 최근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바다가 붉게 변하는 ‘적조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적조현상은 바닷물에 영양분이나 생활하수가 유입되면서 식물 플랑크톤이 많이 번식해 바닷물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인데,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에도 영향을 준다. 환경공학부 이기택 교수, 박사과정 문지영 씨(제1저자 2020-12-23751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가혹한 온도 변화에도 살아남는’ 안정한 고활성 촉매 나왔다 [고안정성·고활성 CO산화용 세륨산화물 촉매 설계]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환경 보존 및 생성물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촉매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자동차 정화장치의 경우에는 빈번하게 고온과 저온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촉매 물질이 초기에는 높은 활성을 갖더라도 이러한 온도변화에 대해 낮은 안정성을 보인다면 산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2020-12-22730 대학소식 생명 이승우 교수, ‘2020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선정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의 학술연구과제가 ‘2020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학문의 발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 온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우수한 성과를 널리 알리고, 연구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우수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올해도, 2019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성과물 21,505건 중 공모와 추천을 통해 2020-12-21538 연구성과 생명 신근유 교수팀, 인체장기 완벽 재현한 조립형 ‘미니장기’ 나왔다 [POSTECH–-서울대병원 연구팀, Nature지에 신개념 어셈블로이드 발표] 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키워 사람의 장기 구조와 같은 조직을 구현한 것을 ‘오가노이드(organoid)’라고 한다. 흔히 ‘미니 장기’ 또는 ‘유사 장기’라고 한다. 인체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재현할 수 있어 인공장기를 만들거나 신약 개발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최근 국내 2020-12-173,901 대학소식 전자 이남윤 교수, IEEE 통신분과 젊은 연구자상 수상 전자전기공학과 이남윤 교수가 전기·전자기술 분야 최대 학술단체인 IEEE(국제전기전자공학회) 통신분과(ComSoC) 젊은 연구자상(Outstanding Young Professional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학부 졸업 후 15년간 통신 분야에 공헌이 큰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번 수상은 통신 분야의 대표적인 학회인 IEEE GLOB 2020-12-16740 연구성과 화학 류순민 교수팀, 2차원 물질로 ‘2배 강한 빛’ 제어한다 [2차원 접합체에서 일어나는 2차 조화파 간섭 규명] 최초의 레이저인 루비(ruby) 레이저가 1960년에 발명된 이후로 빛을 제어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통신, 의료, GPS, 광센서, 광컴퓨터 등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2차원 물질로 구성된 이종접합체에서 일어나는 비선형 광학 현상을 규명함으로써 빛을 제어하려는 목표에 2020-12-15774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빛으로 결함 제어해 2차원 반도체 도핑한다 [파장 따라 가시광선에서는 p형, 자외선에서는 n형으로 … 2차원 ‘카멜레온 반도체’ 구현] 2차원 반도체*1 물질을 빛만으로 도핑*2할 수 있게 됐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원장 노도영)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단장 염한웅) 조문호 부연구단장 (신소재공학과 무은재 석좌교수)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물질을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이용해 도핑할 2020-12-151,20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8182838485868788899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