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2 겨울호 / 포스텍의 일상을 그려박서연 글.그림 / 화학공학과 19학번 박서연 2023-01-1662 2022 겨울호 /Science black box 간지럼의 과학 사람들은 친근함의 표시로, 혹은 내기에서 졌을 때, 때론 그냥 장난으로 상대방을 종종 간지럽힙니다. 온몸을 비틀며 웃는 상대를 보면 괜히 더 간지럽히고 싶은 장난기가 솟구치기도 하죠. 하지만 사람마다 간지럼을 전혀 타지 않기도 하고 때론 불쾌함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는 등 간지럼에 대한 반응은 제각각입니다. 이처럼 알쏭달쏭한 간지럼에 숨어있는 과학적인 원리를 함 2023-01-16322 2022 겨울호 / 공대생이 보는 세상 찜질방 Korean dry sauna 지금처럼 추운 날씨에 생각나는 따뜻한 찜질방! 알리미들은 몸을 녹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곳곳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를 발견합니다! 찜질방을 바라보는 공대생의 시선을 만나볼까요? <신소재공학과> 컴퓨터공학과 21학번 27기 알리미 김나림 [그림] 찜질방에서 사용되는 히터 이렇게 추운 날에는 따뜻한 찜질방이지~!! 근데 저기 보이는 2023-01-16180 2022 겨울호 / 지식더하기 ① Knapsack Problem(배낭 문제) 한 도둑이 배낭을 메고 보석 가게에 보석을 훔치러 침입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도둑이 매고 온 배낭은 최대 무게가 존재하며, 이 무게를 초과하여 보석을 담는다면 배낭은 찢어진다고 합니다. 또한, 가게에 있는 보석들은 각기 다른 가격을 가진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배낭이 찢어지지 않는 선에서 보석들의 가격 합이 최대가 되도록 보석을 2023-01-16293 2022 겨울호 / 지식더하기 ② 깁스 자유 에너지 여러분은 상온에서 철이 산화1되는 반응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해당 반응의 역반응2인 산화철이 원상태로 돌아오는 반응은 상온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렇게 같은 반응이라도특정 조건에 따라 반응이 일어날 수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이것은 해당 반응의 자발성을 따짐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지식더하기에서는 자발성의 척도를 나타내는 2023-01-16261 2022 가을호 / POSTECH ESSAY 포스텍 교수님 이야기 삶을 풍요롭게 하는 중요하고 흥미로운 분야, 산업경영공학 진로 선택, 산업경영공학과 솔직히 말하면 나는 대학 입시 원서 제출 3일 전까지 산업경영공학과(내가 다녔던 학교에서는 산업공학과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라는 학과를 들어본 적도 없었다. 뭔가 특이한 것을 해보고 싶어 공대의 경영학과라는 막연한 정보만을 가지고 입학하게 되었는데, 그때부터 나의 방황 2022-10-17494 2022 가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좋아하는 일을 지키기 위해선 노력이 필요해요. 조퇴계 선배님과의 이야기 꿈을 이루기 위해 전념했는데, 막상 내 길이 아니라고 느껴지면 어떨까요? 다른 방향으로의 재빠른 도약을 위해 견고한 신념과 도전 정신이 필요할 것 같아요. 특히 남들이 흔히 가지 않는 길이라면요. 이번 <알리미가 만난 사람>에서는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출신으로, 금융계를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누 2022-10-17402 2022 가을호 / 알턴십 알리미의 일일 인턴 체험기! <요기요> 국내 대표 배달앱 이번 2022년 가을호에는 우리나라 사람이면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수 있는 대기업을 방문하고 왔는데요. 바로 국내 대표 배달앱 요기요입니다! 평소 최적화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박규은 알리미와 컴퓨터공학과 재학생으로서 딥러닝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저는 이번 촬영이 흥미롭고 놀랍게 다가왔는데요. 그럼 요기요 2022-10-17239 2022 가을호 / 포커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 6기-백창기 교수님을 만나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의 이야기는 10월 21일 공개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포커스 6기로 활동하게 된 대구일과학고등학교 3학년 김규리, 이영해입니다. 저희는 포스텍 IT융합공학과에서 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반도체 연구를 하고 계시는 백창기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요. 저희뿐만 아니라 많은 분이 2022-10-17306 2022 가을호 / 기획특집 ①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우주를 담은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컴컴하면서 반짝이는 별이 있는 곳. 어떤 공간이 생각나시나요? 대부분 우주를 떠올리실 겁니다. 분명 우주를 직접 본 적도 없는데 왜 그런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생각나는 걸까요? 이는 우리의 눈 대신 우주망원경이 우주를 관측하고 사진을 전달해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우주 2022-10-17373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2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3년 2022년 [177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클릭화학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_Polymer-based Energy Materials Lab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신년 파티 2023-01-160 2022년 [176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알리미 온에어_포스텍 vs 카이스트 학생 대제전 /사이언스 블랙박스_진짜 과학으로 반박하는 유사 과학 2022-10-170 2022년 [175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다중우주(멀티버스)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새내기 라이프 /사이언스 블랙박스 _과학사의 4대 악마 2022-07-150 2022년 [174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양자 컴퓨터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제작기 /헬로 노벨_따스함, 차가움 그리고 접촉 2022-0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