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1 겨울호 / 기획특집 ② / 위드 코로나 어떻게 넣는가? : 백신의 접종 방법 체내에서 바이러스의 침입에 대해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백신을 만들었다면, 이를 어떻게 몸속에 있는 면역 세포에 전달할지 정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백신을 비롯한 다양한 약물을 체내로 도입하는 과정은 입을 통해 섭취하는 경구 투여부터 주사나 연고의 형태까지 다양한데요. 백신은 이 중에서 주사를 통해 접종하게 됩니다. 하지만 2022-01-1961 2021 겨울호 / 기획특집 ③ / 위드 코로나 어떻게 막는가? : 백신과 집단 면역 지금까지 백신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어떻게 접종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백신은 우리가 전염병에 저항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도 많은 사람이 백신을 접종하고 있죠. 그런데, 유전적인 이유나 의학적인 이유 등으로 백신을 맞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을 전염병으로부터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 2022-01-1958 2021 겨울호 / HELLO NOBEL 복잡한 현상에 숨겨진 패턴을 찾아내는 복잡계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은 복잡계 연구에 기여한 학자에게 수여되었다. 노벨상을 수여하는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이번 수상의 의의를 1) 무질서한 물질이 무작위로 하는 운동을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고, 2) 지구 기후를 이해하고 인류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낸 것이라고 하였다. 특히 기후 변화가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도 2022-01-19172 2021 겨울호 / 최신 기술 소개 01 피 한 방울로 유전자 증폭 없이 암 진단하다 출처 http://www.wiz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40 포스텍 화학과 박준원 교수 연구팀은 서울성모병원, 서울대 의대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유전자 증폭 없이 피 한 방울로 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사실상 피 한 방울만으로 암이나 질병을 진단한다는 개 2022-01-19121 2021 겨울호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 환자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생물정보학실험실 Structural Bioinformatics Lab 어떤 암 환자는 새로 나온 항암제로 건강을 되찾지만, 다른 암 환자는 전혀 치료제의 혜택을 보지 못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 감염도 어떤 사람은 아픈지도 모르고 지나가지만, 어떤 사람은 격렬한 면역 2022-01-1980 2021 겨울호 / 알리미 ON AIR 포스텍의 대면 강의 전환 전국의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날씨가 쌀쌀해지는 겨울이 되면서 2021년도 끝이 났네요! 여러분들은 한 해를 잘 마무리하셨나요? 올해도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포스텍의 강의는 대부분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는데요. 아마 포스테키안 독자분들께서도 코로나19로 인해 학교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계실 것 같아요. 이번 겨울호에서는 2022-01-1951 2021 겨울호 / 포라이프 예술의 맥을 이어 나를 돌아보다 # 예술의 맥을 이어가자 극단 ‘예맥’은 ‘예술의 맥을 이어가자’라는 취지로 창단된 극단으로 포항 극단이지만 수도권에서도 수상을 쓸어 담으며 실력을 증명한 극단입니다. 이번 10/13~10/15에 예맥 분들과 함께 포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효자동 브루스’라는 창작극을 올렸습니다. 저희는 연극 대선배님들과 함께 극을 올린다는 것 자체에서 2022-01-1956 2021 겨울호 / 크리에이티브 포스테키안 4년간의 대학 탐험기 졸업을 앞둔 학부생이 전하는 대학 생활 이야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22년 2월 졸업을 앞둔 만큼, 입학을 꿈꾸는 여러분께 이야기를 전달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습니다. 4년의 학부 생활을 돌아보며 차분히 생각해 보니, 제가 좋아하는 문구가 떠오르더군요. 바로 ‘소설 쓰는 철학자’로 알려진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의 것입니다. “시간은 2022-01-1957 2021 겨울호 /Science black box 수학으로 해결된 문제들 수학은 일반적으로 엄밀한 논리에 근거해 추상적인 대상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또한 규칙을 발견하거나,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하기도 합니다. 흔히 과학과 공학이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이라고 하지만, 만일 수학이 없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과학의 발전은 어려웠을 것입니다. 실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는데요. 이번 호에서는 2022-01-1959 2021 겨울호 / 공대생이 보는 세상 <수학과가 본 겨울나기> Dept. of Mathematics 역시 구운 고구마를 데우니까 따듯해지네. 아, 그런데 고구마에 열을 가한 건 한 부분인데 어떻게 모든 부분이 따듯해질 수 있는 걸까? 열은 한 공간에서의 온도 분포로 정의되어 일정한 식에 의해 시간에 따라 전도되는데, 이 과정을 수식화한 것을 열 방정식이라고 해.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열은 고온에서 2022-01-1979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2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2년 [175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다중우주(멀티버스)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새내기 라이프 /사이언스 블랙박스 _과학사의 4대 악마 2022-07-150 2022년 [174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양자 컴퓨터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제작기 /헬로 노벨_따스함, 차가움 그리고 접촉 2022-0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