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공 김진곤·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를 붙잡아라”… 트랩으로 센서 한계 돌파 [Deep trap으로 정전기 센서 성능 지속 성공]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 2023-12-01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물리 송창용 교수팀, 하나보다는 둘, 데이터도 이제는 팀 케미스트리 [송창용 교수팀, 다중 촬영법으로 나노 입자 3차원 기공 구조 촬영 성공]최근 막을 내린 한국시리즈 결과가 말해주듯 팀 스포츠에서는 개인의 뛰어난 역량보다 팀워크(teamwork)가 중요하다. 책 <팀 케미스트리(Team Chemistry)> 저자인 조앤 라이언은 팀워크를 ‘팀 전력을 끌어올리는 보이지 않는 능력’이라고 말한다. 최근 POSTEC 2023-11-2874 IT융합/전자 백창기 교수팀, “시작부터 끝까지 친환경으로!” 포논을 막으면 가능하다 [POSTECH 연구팀, 반도체 표면 가공 기술로 친환경 열전기술 상용화 앞당겨]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버려지는 에너지(폐열, 태양광, 풍력 등)를 유용한 전기로 바꾸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이다. 이 중 열과 전기를 상호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열전기술(Thermoelectric technology)이라고 부른다. 기존 열전 연구 2023-11-2761 신소재 이병주 교수팀, ‘우수한 제품 만들어주세요’ AI에 입력하면 뚝딱 [이병주·김형섭 교수 공동 연구팀, 인공지능으로 금속 제품 공정 효율 향상]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 GPT)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글을 써주는 것은 물론, 음악을 작곡하고 미술 작품도 만든다. 마치 식당에서 음식 주문을 하듯이 주문서에 입력한 대로 제품을 뚝딱 만들어내는 것이다. 최근 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금속 제품 공정의 효율을 높인 연구 2023-11-2768 화학 박수진 · 신소재 김연수 교수팀, 양쪽성 이온의 마법, 전지 수명 늘렸다 [박수진 · 김연수 교수 공동 연구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아연 전지 내구성 향상]뒤뚱뒤뚱 땅 위를 걷는 모습이 매력적인 펭귄은 바다에서도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다. 육지와 바다 생활이 모두 가능한 펭귄처럼 ‘양쪽성 이온(zwitterion)’ 분자는 양이온성과 음이온성 작용기를 모두 갖고 있어 산성과 염기성 환경에서 안정하다. 최근, 이 양쪽성 이온 분자 2023-11-24134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수술 중 조직검사를 하는 고해상도 현미경 [POSTECH·가톨릭대 성모병원, 자외선에서 투명한 센서로 조직검사 정확도 높여]수술 중 악성으로 의심되는 종양을 발견하면 수술이 끝난 후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한 경우 재수술을 한다. POSTECH 연구팀은 지난 연구에서 실시간으로 조직검사가 가능한 자외선 광음향 현미경(이하 UV-PAM*1)을 개발해 수술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그리고 최근 UV- 2023-11-2477 환경 감종훈 교수팀, ‘팬데믹 = 건강생활, ’엔데믹 =여행’ 인공지능이 읽었다 [감종훈 연구팀, 소비 패턴 분석에 대한 빅 데이터 가치 입증]코로나 엔데믹의 영향으로 해외 여행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카드사 7곳의 개인용 체크카드 해외 결제액이 전년 대비 약 38% 증가했다. 팬데믹과 엔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분석하려면 이처럼 카드나 공항 이용 실적 자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 머신러 2023-11-17194 기계 김석 교수팀, 차가운 반도체에 따뜻한 미술 한 방울 [김석 교수팀, 반도체 · 초소형 전자 소자를 위한 리소그래피 마스크 개발]스텐실(Stencil)은 판에 구멍을 낸 후 잉크를 통과시켜 그림을 표현하는 미술 기법이다. 이 기법은 전자 · 반도체 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스텐실 리소그래피(lithography)는 섀도 마스크(shadow mask)라는 도안을 사용해 기판에 금속을 쌓아 패턴을 만드는 기술 2023-11-17211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금, 이제 웨어러블 기기의 황금빛 미래를 연다 [한세광 교수팀, 금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지능형 의료용 통합 센서 개발]올림픽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사람은 금으로 된 메달을 받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금은 부와 명예의 상징이다. 금은 공기 중에서 안정하고 전기 전도성이 높아 의료용 및 에너지 분야에서 ‘1등 촉매’로 빛을 내고 있는데, 최근 최첨단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분야에서도 그 2023-11-15205 환경 감종훈 교수팀, 댐, 이제는 AI로 똑똑하게 운영한다 [감종훈 교수팀, 인공지능 모델로 댐 운영 분석 성공]수년간의 가뭄 이후 집중호우가 내렸던 2020년 8월, 섬진강 인근 댐의 물을 방류하는 과정에서 강이 범람해 1천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수해 원인은 당시 댐의 수위를 평소보다 6m가량 높게 유지했기 때문이다. 미리 이 상황을 예측하고 댐을 관리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최근 환경공학부 2023-11-1560 신소재/친환경소재 김용태 교수팀, 급정거로 늙는 수소차, 텅스텐이 방지한다 [김용태 교수팀, 텅스텐 산화물 코팅으로 수소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보통 휴대폰을 구매하면 가장 먼저 튼튼한 케이스와 액정 보호 필름을 찾게 된다.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POSTECH 연구팀은 최근 이러한 케이스와 필름처럼 친환경 수소 연료전지 전극을 보호하는 텅스텐 코팅법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최근 신소재공학과 · 2023-11-08223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