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학/친환경소재 박수진 교수팀, 불타지 않는 배터리, 수계 리튬이온배터리의 한계를 넘다 [POSTECH·서울대, 전해질 설계 및 계면 최적화로 고전압과 장기 수명 동시 구현]전기차는 친환경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지만,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런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물을 가두어’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한 배터리의 내구성과 고전압 구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이 2025-02-12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기계/화공/전자/융합 노준석 교수팀, 진동과 충격, 메타물질로 간단하게 잡았다 [POSTECH·전북대·서울대, 진동 필터링과 충격 완화 가능케 하는 폭넓은 주파수 밴드갭 구현]POSTECH·전북대·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제품과 건물 등의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탄성 메타물질(elastic metamaterials) 개발에 성공했다. 이 메타물질은 복잡한 기계 장치 없이도 단순한 3D 구조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산업 2025-02-1265 신소재/IT융합 정성준 교수팀, 진공 속 한 방울의 과학, 디스플레이의 미래를 그리다 [POSTECH · 삼성디스플레이, 진공도에 따른 고분자 액적 건조 거동 메커니즘 규명]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 김성주 박사 연구팀은 삼성디스플레이 강동진 박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진공에서의 고분자 액적(방울) 증발 메커니즘 규명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 생산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 2025-02-10112 3D 바이오프린팅으로 만든 위암 모델,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의 새 시대 열까 [POSTECH · 美 잭슨랩, 위암 환자 약물 반응성 평가 및 예측하는 체외 플랫폼 개발]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The Jackson Laboratory for Genomic Medicine) 찰스 리(Charles Lee)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약물 반응을 2025-02-07113 환경 이형주 교수팀, 기후 변화가 키운 보이지 않는 적, 오존의 역습 [POSTECH, 기후 변화에 따른 기상 조건의 변화가 오존 농도 추세에 미친 영향 규명]최근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통합과정 신민영 씨 연구팀이 오존 농도와 초과 일수에 기상 조건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후 변화가 오존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밝혀냈다. 이 연구는 환경 및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케모스피어(Chemosphere)’에 2025-02-0739 화학/융합 김원종 교수팀, 트로이 목마, 암세포 안에 항체 공장 짓다 [POSTECH, 종양 내에서 항체 생산하고 폭발적으로 방출하는 항암 치료법 개발]‘트로이의 목마’는 적진 한가운데로 은밀하게 침투해 내부에서 적을 무너뜨리는 전략으로 유명하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이와 같은 전략을 활용해 종양 내에 ‘항체 공장’을 짓고, 이를 통해 암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찾았다.‘면역관문(Immune Check 2025-02-0598 기계/화공/전자/융합 노준석 교수팀, 빛의 노이즈 잡고 평면 광학의 한계를 넘다 [POSTECH 노준석 교수팀, 극자외선부터 마이크로파까지 전 파장에 적용가능한 다차원 샘플링 이론 발표]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석우 씨, 김주훈 씨, 김경태 씨, 정민수 씨 연구팀이 평면 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설계 방법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기존 메타표면 기술에서 사용되던 샘플링 이 2025-02-0485 화학 박문정 교수, ‘배관공의 악몽’,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꿈의 기술! [POSTECH 박문정 교수팀, ‘Science’ 게재 연구로 리튬 배터리 성능 높일 고체 전해질 개발]스마트폰 배터리를 더 오래,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박문정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미래를 실현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해 학계와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지난해 ‘Scienc 2025-02-0469 기계/생명/IT융합/융합 장진아 교수팀, 스스로 조립하는 뇌혈관, 알츠하이머 고칠까 [POSTECH·서울대병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신경염증 질환 연구 새 플랫폼 개발]기계공학과·생명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 서울대병원 신경외과학교실 백선하 교수 연구팀이 ‘인간 뇌혈관 장벽(이하 Blood-Brain Barrier, 이하 BBB)’을 정교하게 모사한 3D 모델을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2025-01-22329 환경/시스템생명/융합 황동수 교수·환경 최지민 교수 연구팀, 물속에서도 척척 붙는 비밀, 복털조개에서 찾았다 [POSTECH 황동수·최지민 교수팀, 수십년 간 풀리지 않았던 EGF 수중 접착 메커니즘 규명]최근 환경공학부 · 시스템생명공학부 · 융합대학원 황동수 교수, 환경연구소 최지민 연구교수팀이 복털조개 연구를 통해 강력한 수중 접착력의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수중 접착 원리와 달리 산화 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가역적이고 견고한 접착력을 2025-01-21243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연 2025-01-17167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