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신소재 김연수 교수팀, 신소재의 비밀, 질서 있는 고분자가 풀었다 [POSTECH·UCSB·GIST, 고분자 자기조립 구조적 결함 극복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개발]세상은 매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일들로 가득하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모든 것이 질서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최근 혼돈 속 질서를 찾아 혁신적인 성과를 낸 국제 공동 연구팀의 연구가 발표돼 주목을 모으고 있다.신소재공학과 김연수 교수, 한지훈 박사 연구팀은 미국 U 2024-09-12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생명/융합 이승우 교수팀, 독감과 코로나19 예방과 치료, 멀티태스킹 가능한 주사 하나면 가능해 [이승우 교수팀,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에 효과 있는 신약 후보 물질 발굴]작년 겨울철을 앞두고 대한의사협회는 면역 취약 계층에게 독감과 코로나19 백신 동시 접종을 권고했다. 양쪽 팔에 주사를 맞아야 한다는 이 소식은 아이들에게 아마 청천벽력과도 같았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 독감과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동시에 예방하고 치료하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물질이 2024-02-13522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실명 유발하는 망막 박리, 끈적한 미역으로 치료한다 [POSTECH · 동아의대 연구팀, 해조류 추출 탄수화물로 생체적합 인공 유리체 소재 개발]미역국을 먹으면 시험에서 떨어진다는 속설이 있다. 미끌미끌한 미역을 먹고 시험에서 미끄러져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역이나 다시마 등 해조류의 표면이 미끄러운 이유는 알지네이트(alginate)라는 점액질 성분 때문인데, 최근 망막 박리 치료용 유리체 개발에 2024-02-07581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느 각도에서 봐도 완벽” 메타표면이 만든 다기능 홀로그램 [노준석 교수팀, 입사 각도에 따라 홀로그램 구현하는 메타표면 기술 개발]보통 연예인들의 외모를 칭찬할 때 ‘어느 각도에서 봐도 완벽하다’는 말을 쓴다. 특정한 각도나 관점에서만 잘 보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각도나 관점에서도 뚜렷하고 매력적으로 보인다는 의미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메타표면을 사용해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다기능 홀로그램을 구현해 2024-02-07780 생명/융합 김상욱 교수팀, 세포들의 SNS, 면역항암치료 효과 예측한다 [김상욱 교수팀, 세포 간 커뮤니케이션 학습한 AI로 항암 면역 치료 예측]얼마 전 한 기업이 발표한 스포츠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3분의 1 이상이 경기 시청 중 SNS로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의 일상인 SNS 소통처럼 세포 세계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술로 새로운 항암 치료법을 찾은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다.생 2024-02-07528 환경 이형주 교수팀, 락다운 기간 대기오염의 사회적 불평등 감소, 지속가능한 정책의 필요성 제시했다 [이형주 교수팀, 이산화질소 농도 감소에 따른 대기오염 노출 불평등 분석]환경오염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영향을 미칠까? 바로 이를 뜻하는 것이 197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환경 정의(Environmental justice)’다. 이 개념은 특정 집단과 지역에 환경 문제가 집중되지 않는, 환경적 공평성과 공정성을 설명한다. 미국은 엄격한 규제와 정책으로 대기 2024-02-02715 화공 손재성 교수팀, 링커 이온의 친화력으로 미세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다 [POSTECH · KIST 공동 연구팀, 무기 소재 활용 가능한 3D 마이크로프린팅 기술 개발]얼마 전 한 기업이 구인 공고에 선호하는 MBTI를 작성해 화제가 됐다. MBTI는 사람의 성향을 열여섯 가지로 구분하는데, 실제 사회는 훨씬 더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조직이 발전하려면 이를 아우를 수 2024-01-31514 화공 정대성 교수팀, 100배 저렴한 센서, 자율주행 자동차 대중화 이끌까 [정대성 교수팀, 단파 적외선 신호 분석 가능한 유기 포토다이오드 개발 성공]최근 성황리에 종료된 ‘CES 2024’에서 HD현대는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기술로 운행하는 굴착기와 트럭 등을 선보였다. 이처럼 스스로 주행하는 무인 자동차의 핵심은 장애물과 주변 도로 상황을 분석하는 센서다. POSTECH 연구팀은 최근 기존 대비 최대 100배 저렴한 센서를 제 2024-01-31405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체내 부착용 접착제, 이제는 맞춤형 제작도 가능하다 [POSTECH · K-MEDI Hub 연구팀, 홍합접착단백질로 맞춤형 수중 생체접착패치 개발]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접착제는 종이용과 섬유용, 목재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중에서 사람들은 용도에 따라 가장 잘 붙는 접착제를 선택한다. 이처럼 의료용 접착제도 체내 상처조직 봉합 그리고 센서나 의료기기를 체내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데, 최근 인체에 안전하면 2024-01-30358 화학 박수진 교수팀, 1,000km 달리는 꿈의 전기차, 젤로 가능하다 [박수진 교수팀, 전자빔 활용하여 일체형 실리콘-젤 전해질 시스템 개발]얼마 전 막을 내린 ‘CES(정보기술·가전 전시회) 2024‘에서 인공지능과 헬스케어 등 최첨단 과학기술이 소개됐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의 핵심은 효율적인 전기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기술에 있다. 특히 배터리 기술이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전기차다. 지금까지 출시된 전 2024-01-30340 기계·IT융합·생명·융합· 장진아 교수,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환자 맞춤형 위암 치료법 개발한다 [POSTECH · 연세대 공동 연구팀, 혈관 구조와 체내 환경을 재현한 위암 모델 제작]국제암연구소에 의하면 위암은 동양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 중 하나로 2020년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다. 최근 POSTECH·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위암과 암세포를 둘러싼 생체 환경을 완벽하게 구현함으로써 임상 전 단계 2024-01-30291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