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공 김진곤·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를 붙잡아라”… 트랩으로 센서 한계 돌파 [Deep trap으로 정전기 센서 성능 지속 성공]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 2023-12-01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친환경소재/화공 조창신 교수팀, 피부에 바르지 마세요, 배터리에 양보하세요 [조창신 교수팀, 화장품 원료인 바이오 고분자로 배터리 전극 보호막 개발]양배추 등 식물에서 얻은 균에 탄수화물을 주입한 잔탄검(xanthan gum)은 화장품의 좋은 성분들이 피부에 오래 남아있도록 보호막 역할을 한다. 그런데 최근 이 물질로 피부가 아닌 배터리 전극의 보호막을 만든 흥미로운 연구가 나와 눈길을 모으고 있다.친환경소재대학원 · 화학공학과 2023-11-08148 화학 최창혁 교수팀, 수소 상용화를 위한 또 한 걸음 [POSTECH·KAIST·KIST, 촉매 성능 저하 요인 규명 및 내구성 향상한 촉매 개발]수소와 산소만으로 전기를 만드는 수소 연료전지는 친환경 수소 경제의 핵심 기술이다. 이 전지의 양극은 촉매 물질로 덮여있는데, 성능이 좋은 금속은 가격이 비싸고, 저렴한 비귀금속 물질은 내구성이 비교적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내구 2023-11-08128 환경 감종훈 교수팀, ‘농가의 재앙’ 가뭄,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POSTECH·국토연구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우리나라 기후 반영한 지표로 가뭄 전망 성공]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3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평년 수준의 절반인 28.7mm에 불과했다. 여름철 장맛비로 가뭄은 해갈됐지만 많은 물이 필요했던 파종기(3월 말~5월 초)에는 물이 부족해 농가의 피해가 극심했다. 기후 위기로 인해 날로 심각해지는 가뭄을 예측하지 못한 2023-11-0755 신소재/친환경소재 김용태 교수팀, 번개맨, 번개별 대신 지구를 지켜라! [POSTECH·홍익대 공동 연구팀, 열-전기화학 전지 효율 높일 실마리 찾아]아이들의 영웅 ‘번개맨’과 인기 드라마 ‘무빙’ 속 주인공은 전기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초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몸에서 전기를 만드는 일이 어쩌면 초능력이 아닌 일상이 될지도 모른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사람의 체온으로 전기를 만드는 전지의 효율을 높여 학 2023-10-31211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전기차, 한 번 뽑았으면 오래 타야지 [박수진 교수팀, 듀얼 이온 전지 수명 늘리는 고분자 바인더 개발]배터리(전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로 주행하는 전기차는 여러 번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리튬 이온 전지다. 그러나 제한된 에너지 저장 용량 등 여러 한계가 제기되면서 이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새로운 배터리 시스템인 ‘듀얼(dual) 이온 전지’가 주목 2023-10-30200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물체의 형태부터 윤곽선까지 원스탑으로! [POSTECH·성균관대 연구팀, 빛에 따라 촬영 모드 전환 가능한 듀얼 메타렌즈 개발]최근 애플에서 출시한 아이폰15 국내 사전 예약 고객 중 2030 세대 비율은 약 80%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바로 아이폰 특유의 감성적인 색감과 선명한 화질을 구현한 카메라다. ‘인덕션’을 떠올리게 하는 여러 렌즈 없이도 고퀄(고퀄리티)의 2023-10-23195 신소재/친환경 김용태 교수팀, 다가오는 수소 시대, POSTECH 연구가 ‘셰르파’ 역할 할까 [김용태 교수팀,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연구 방향성 제시]‘셰르파(Sherpa)’는 원래 티베트족 계열의 고산족을 부르는 이름이었지만, 이제는 세계에서 제일 높고 험준한 에베레스트 등반을 위한 안내자를 부르는 대명사가 되었다. 이런 셰르파처럼, 수소 생산용 촉매 개발이라는 쉽지 않은 도전과제를 위한 연구가 주요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어 2023-10-23143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3D 프린팅과 나노 입자 공동 조립을 통한 다중 소재 메타물질 공정 개발 [노준석 교수팀, 용액 공정 3차원 프린팅을 통해 메타물질 공정에 적용가능한 소재의 스펙트럼을 대폭 넓혀]해리포터의 투명망토로 잘 알려진 메타물질은 빛의 성질을 완전히 무시하는 나노 인공 구조체다. 이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려면 제작 공정이 상용화되어야 하는데, 거기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따른다.최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김원근 연 2023-10-13187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인덕션’ 휴대폰 카메라 렌즈, 이제는 하나로 [노준석 교수팀, 빛의 회전방향에 따라 초점 위치 조절하는 메타렌즈 기술 개발]휴대폰 뒷면에는 인덕션처럼 카메라 렌즈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사용되는 렌즈가 다르고, 매번 렌즈를 바꿔 끼울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개의 렌즈가 필요하다. 렌즈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카메라의 성능은 좋아질지 몰라도 디자인은 포기해야 한다. 하나의 렌즈로 이를 2023-10-06275 기계 안지환 교수팀, 그린 수소, 해답은 반도체 기술에 있다 [POSTECH·서울과학기술대·UC Merced 공동 연구팀, 반도체 공정으로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 효율 향상]최근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의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언급했다.이러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 중 하나 2023-09-22261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